DOI QR코드

DOI QR Code

Overseas Expansion Strategy of Korean Fashion Character through Sensitive Space Creation

감성적 공간창출을 통한 한국 패션 캐릭터의 해외진출전략

  • Park, Hyun-He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1.20
  • Accepted : 2011.03.16
  • Published : 2011.05.30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overseas expansion strategy of Korean fashion character through sensitive space creation.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and did internet searching and observation. For the research methods were the analysis of the main retail spaces utilizing character and case study for the classification of collaboration types between retail space and character. As a results, 8 collaboration types between space and character were extracted: collaboration between retail distribution space and character, collaboration between product space and character, collaboration between service space and character, collaboration between experience space and character, collaboration between moving space and character, collaboration between publicity & advertising space and character, and collaboration between exhibition space and character.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sistent identity strategy between character and retail space for a new character brand and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on strategy for enhancement of character brand awareness.

Keywords

References

  1. 강은미, 오인영(2010). 영화속 캐릭터 특징에 따른 스타일 요소 연구-영화배우 송강호, 설경구가 출연한 작품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8(2), 290-303.
  2. 김민정, 박은경(2008). 트레이딩업으로서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사례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8(3), 79-94.
  3. 김선영(2010). 현대패션에 나타난 만화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표현유형과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34(11), 1912-1922.
  4. 김수경, 이인성(2010). 판타지영화 캐릭터와 의상에 관한 연구-신화적 캐릭터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8(5), 1031-1047.
  5. 김용민(1997). 소비자 공간 이동의 유형과 그 영향 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진애(2008). 공간정치읽기. 서울: 서울포럼.
  7. 네이버 지식백과(2010). 둘리.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 =705&docId=1932에서 2010년 11월 2일 인출.
  8. 문화체육관광부(2008). 캐릭터산업 진흥 중장기계획(2009-2013), 2008.11.
  9. 박경애, 김수경(2009). 패션,예술, 산업의 협업사례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33(7), 1152-1163.
  10. 박소연(2003). 캐릭터 마케팅. 서울: 소담출판사.
  11. 박재민, 천종숙, 최선희, 최은아(2010). 국내 캐릭터 커리어 여성복 브랜드의 스타일 정체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 복식문화연구, 18(2), 337-347.
  12. 박진아, 이주현(2005).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 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897-908.
  13. 시정뉴스(2010. 01. 12).' 달려라하니'만화영화주인공하니의 고향, 강동구 성내동에'하니테마마을'조성. http://www.newsbriefing.kr/sub_read.html?uid=2321§ion=sc1§ion2=%BB%E7%C8%B8에서 2010년 11월 2일 인출.
  14. 신혜경, 이인성(2009). 콜레보레이션을 통한 패션디자인 개발-TV드라마와 여성복 브랜드를 중심으로-. 복식, 59(7), 50-64.
  15. 안영로(1992). 록 카페를 통하여 본 젊은이 문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오지혜, 이인성(2010). 파티웨어 디자인 개발을 위한 국내 여성 캐릭터 캐주얼 브랜드 디자인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34(5), 856-865.
  17. 오태헌(2010). 일본 캐릭터 비즈니스에 관한 연구-성장요인을 중심으로-. 일본연구논총, 32, 117-146.
  18. 유창조, 김미나(2007). 경험적 가치기반의 매장에 관한 Ethnography: 홍대 앞 프리마켓(free market)을 중심으로. 유통연구, 12(3), 1-21.
  19. 이경아(2008). 현대도시와 복합개념 소비 공간 디자인에 관한 고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2), 301-309.
  20. 이수철, 김소현(2009). 아트(Art)와 패션브랜드(Fashion Brand)의 콜레보레이션(Collaboration)에 관한 고찰-2008 S/S Collection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3), 225-233.
  21. 이승환(2002). 캐릭터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찰, 디자인과학연구, 5(1), 65-74.
  22. 이혜림, 이수진(2008). 패션브랜드 제휴-누구와 무엇으로 제휴할까? -의복관여수준에 따른 전략적 제휴 모형 제안-. 한국의류학회지, 32(9), 1467-1477.
  23. 임성희(1994). 90년대 새로운 소비주의 문화의 성격-홍대앞 사례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전해은, 이기춘(2002). 현대소비공간과 소비행동: 동대문 쇼핑몰의 소비문화적 의미분석. 소비자학연구, 13(2), 99-125.
  25. 정숙경(1998). 탈근대 소비문화의 근대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정훈실, 김영인(2008). 패션산업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영역간의 콜레보레이션. 복식, 58(6), 110-123.
  27. 정희진, 박소영(2005). 우리나라 캐릭터 비즈니스에 대한 연구-씨엘코사와 지원메니아사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1(4), 194-202
  28. 조현아, 명혜진, 장남경(2005). 패션산업에서의 콜라보레이션 전략-개인과 기업간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5(1), 19-37.
  29. 조혜진, 최석준(2003). 캐릭터 브랜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 문화학회지, 9(3), 100-112.
  30. 조희진(2010). 문화콘텐츠 속 전통복식 활용의 문제점과 고증의 필요성-지자체와 지역축제의 캐릭터 복식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45, 299-344.
  31. 최인혁, 오동욱(2003). 캐릭터상품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종합유통센터 설립에 관한 연구. 2003년 한국유통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34.
  32. 최정윤(2003). 문화이벤트 캐릭터의 효율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문화 관광부 지정 축제"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션학연구, 12, 127-151.
  33. 홍원표, 황진숙(2008). 한국패션기업의 콜레보레이션 동기 유형에 따른 콜레보레이션 분야, 신뢰와 몰입, 성과 및 만족도. 한국의류학회지, 32(5), 692-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