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ype of Shaman's Costume in Honam District: Centering on the Field Survey of Years 2006~2010

호남지역 무속복식의 유형에 관한 연구: 2006년~2010년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 Kim, Eun-Jung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Human Ecology Rese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은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12.30
  • Accepted : 2011.03.02
  • Published : 2011.05.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stumes, which a shaman wears for the ritual of exorcism in the Honam region. The findings are based on a field survey of the exorcism ritual, which is performed by hereditary shamans and forms part of an annual event in the Honam region. Two main features of the shamans' costumes were observed. Firstly, the types of shamanic costume worn for gut reflected the general traditional costume but with some variations. White-colored costumes are largely found in the Honam region. Secondly, the types of costumes, which shamans wear in the Honam region. are also varied. The different types of shamanic costumes, regardless of Ga-sa, can be classified into Jang-sam, Jeon-bok, or Duru-magi, variations in the patterns of costumes, differences in the types of conical hat, and modifications in the dress code.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2008).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巫具. 서울: 민속원.
  2. 김순덕(1981). 한국 무속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은정(2003a). 망자천도굿에서 상징하는 무복의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27, 152-159.
  4. 김은정(2003b). 무복 장삼의 고찰. 비교민속학 25집, 545-564.
  5. 김은정(2004). 한국의 무복. 서울: 민속원.
  6. 김태곤(1985). 한국무속연구. 서울: 집문당.
  7. 김태곤(1993). 韓國의 巫俗. 서울: 대원사.
  8. 박영주(1975). 한국무속복식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정애(1991). 무복의색과 문양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소황옥(2003). 무속복식의 역할에 관한 논의. 비교민속학 24집, 227-262.
  11. 순천 한옥글방(2010). 김명례 굿마당 혼맞이굿 팜플렛.
  12. 유효순(2000). 한국 무속복식의 조형성 고찰. 服飾, 50, 5-20.
  13. 이자연(1996). 서울지방의 무속복식에 관한 연구. 服飾, 30, 117-126.
  14. 이경엽(2004). 삶의 끝자락에서 펼치는 축제 씻김굿. 서울: 한얼미디어.
  15. 양미경(1997). 한국무복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服飾 31, 5-16.
  16. 최진아(1999). 진도 씻김굿의 물질문화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편성철(2009). 씻김굿에서 희설의 의미. 한국무속학, 18, 173-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