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Personal Traits, Family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Aged Men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Working in Large Corporations

개인내적 특성과 가족 특성 및 직업만족도가 중년남성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베이비붐 세대 대기업 근무자를 중심으로

  • Jang, Mi-Ja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Deuk-Sung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Research Institute of Ecology for the Elderly, Pusan National University)
  • 장미자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김득성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노인생활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0.03.29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research surveyed middle aged men, who were from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worked for large corporations in Seoul, Busan, Ulsan, Cheonan, Yeoju, Sugi, Suwon and Daejon. A total of 166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worked in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were professionals with high educational levels and incomes. Second, the middle aged men were found to enjoy high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they had high ego-resilience, when they had high satisfaction with fatherhood, when they expressed themselves more(emotional expression), when they had higher job satisfaction, and when they had experienced less of a burden in supporting their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affe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Keywords

References

  1. 강모성, 전영주, 손태홍(2008). 기혼 중년남성의 직무 및 가족 스트레스와 자살구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105-134.
  2. 고기숙(2003).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지은(2002).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민, 한경혜 (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 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4(3), 211-230.
  5. 김경신, 이선미(1998). 중년부부의 노부모 부양부담과 관련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9), 93-106.
  6. 김명자(2003). 중년기 발달. 서울: 교문사.
  7. 김민철, 박시영, 김경화(2010). 베이비붐 세대 '2010년 쇼크' - 30년 일한 직장인의 경우. http://news.chosun.com에서 2010년 1월 9일 인출.
  8. 김애순(2004).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서울: 시그마프레스.
  9. 김영선(2003). 가족기업 종사자의 일-가족갈등 및 직업만족도와 생활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원(2008). 아동의 정서강도, 정서표현성, 정서표현의 갈등과 공격성간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윤민(2003). 중년기 남성의 일.가족역할 수행부담 및 심리적 복지감.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경(2010).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부양부담. 방하남 외.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13. 김태현, 김양호(2003). 중년남성의 남성 의식, 직장생활 및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1), 99-120.
  14. 나일주, 임찬영, 박소화(2008).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대비를 위한 정책 방향: 국가인적자원개발측면에서. 노인복지연구, 42, 151-174.
  15. 류지수(2007). 베이비붐 세대의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문경실(1995). 남편의 직업만족도와 결혼만족도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업주부 부부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근희(2004). 한국 중년남성의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주연(2009). 남자나이 50, 그 쓸쓸함에 대하여. weekly 경향, 823호, 14-17.
  19. 박준희(2004). 기혼남녀의 성격특성, 가족관계스트레스, 여가활동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서정아, 한경혜(1998). 가족 및 직업 특성이 중.장년기 남성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2), 165-177.
  21. 안정신(2005).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전생애 발달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의 영향. 한국노년학회, 25(2), 245-266.
  22. 안정신, 한경혜, 차승은(2004). 한국 중년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 척도구조와 문항정보. 한국인간발달학회, 11(4), 75-93.
  23. 여성한국사회연구회(1997). 남성과 한국사회.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24. 윤정기(2008). 내 남자를 위한 관계의 심리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5. 윤진(1985). 성인.노인 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6. 이은아(2007). 중년기 남성의 가족 및 직업관련 변인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547-562.
  27. 임정숙(2007). 부부친밀감이 노부모 부양의식 및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장휘숙(2008). 성인심리학-성인발달, 노화, 죽음. 서울: 박영사.
  29. 정성호(2006). 중년의 사회학. 서울: 살림.
  30. 정옥분(2008).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학지사.
  31. 정채기(1997). 남자도 사람이다. 서울: 집현전.
  32. 정현숙(1997). 결혼만족도 연구와 척도의 고찰을 통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척도의 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5(1), 191-204.
  33. 조선화(1998). 아버지만족감 및 스트레스와 아버지 역할수행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조원지, 한경혜(2001). 직업역할 및 아버지역할이 남성의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연령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1-20.
  35. 최정혜(1999). 가족주의 가치관과 효 및 부모부양의식의 세대별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9), 85-101.
  36. 하유진(2007). 자아존중감 및 내외통제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20, 30대 성인 남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하정(1997). 정서표현 성향과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 사고, 행동영역의 통합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한경혜(2010).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에 대한 이해, 베이비붐 세대의 Lifestyle과 가족. 2010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9-31.
  39. 한경혜, 이정화, 옥선화, Ryff, C., Marks, N.(2002).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2(2), 209-225.
  40. 한남제(1984). 가족연구의 성과와 문제점.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0년 특집 심포지움 자료집. 46-61.
  41. 허미화(2003). 중년기 기혼남녀의 결혼생활 및 만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허정선, 현명호(2005). 가족의 애착, 귀인양식 및 자아탄력성과 표출정서(Expressed Emotion)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1). 37-51.
  43. 허유정(2000). 행복감과 정서표현 성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홍윤기(2009). 어머니 자녀간 정서표현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관련성.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황신덕(2004). 상사의 리더십 및 상사에 대한 신뢰와 구성원 태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자아탄력성(Ego-Resilience)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Barnett, R. C., Marshall, N. L., & Pleck, J. H.(1992), Men's multiple ro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men's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May), 358-367. https://doi.org/10.2307/353067
  47. Bauer, R. A.(1966). Social Indicators. Mass: M. I. T. Press.
  48. Campbell, A.(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2. 117-124.
  49. Canfield, K. R.(1995). Effective fathering practice and fathering satisfaction related to a father's life course. Kansas State University Dissertation.
  50. Clausen, J. A.(1981). Men's occupational career in the middle years. In D. H. Eichorn, J. A. Clausen, N. Haan, M. Hnonzik, & P. Mussen(Eds.), Present and past in middle life. New York: Academic Press.
  51. Jaques, E.(1965). Death and the mid-life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6, 502-14.
  52. Levinson, D. J., Darrow, C. N., Klein, E. B., Levinson, M. H., & Mckee, B.(2007) The Seasons of a Man's Life. N. Y.: Knopf.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김애순(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8 년 원저발간)
  53. Lois, M. T.(1982). Men at middle age: Developmental transitions.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464, 47-56. https://doi.org/10.1177/0002716282464001005
  54. Neugarten, B. L.(1979). Time age, and the life cycl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6(7), 887-894. https://doi.org/10.1176/ajp.136.7.887
  55.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56. Ryff, C. D., & Keyes, C. L. M.(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 https://doi.org/10.1037/0022-3514.69.4.719

Cited by

  1. 순차분석을 활용한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이동 분석 vol.15, pp.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146
  2. Color Cosmetics Market's Segmentation for Korean New Seniors vol.44, pp.6, 2011, https://doi.org/10.5850/jksct.2020.44.6.1189
  3. 간호사의 삶에 대한 가치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에 따른 차이 vol.19, pp.1, 2021, https://doi.org/10.14400/jdc.2021.19.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