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민정(2003) 한국 여성노인들의 노년기 적응과 노년기 삶의 모습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131-146.
- 강이주(2008), 노인의 삶의 질 관련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29-142.
- 곽인숙, 홍성희(2009), 노인의 노후부양과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4), 17-38.
- 권중돈, 조주연(2000)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 김미령(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 김미혜, 신경림, 최혜경, 강미선(2005),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6(1), 91-104.
- 김성연, 박미석(2000). 도시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67-84.
- 김수연(1987). 도시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수연(2002). 음악치료가 뇌졸중환자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수정(2006). 노인의 종교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노인복지연구, 33, 29-50.
- 김영주(2009). 농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노인복지연구, 46, 77-104.
- 김재중(2007).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재호(1987). 노인의 여가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지연(2002). 자녀와의 관계와 성격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태현, 한은주(2004).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 9(3), 81-106.
- 김효정, 최선남(2010). 회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 성질환 입원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99-118.
- 박경란(1988). 노년여성의 생활만족도 연구-장남부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상규(2006).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785-796.
- 박선영(1998).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층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진희(2004).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사회복지정책, 20,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97-216.
- 심경혜(2005).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증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옥경(1994). 삶의 만족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24, 한국정신건강복지연구소, 157-198.
- 윤현숙, 유희정(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 이민숙(2005). 노인의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신숙(2004). 자기진술에 의한 유.무배우 여자노인의 생활 실태. 한국가정과학회, 7(2). 73-81.
- 이신숙(2009). 유.무배우 여자노인의 연령, 경제상태, 신체 만족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6), 215-227.
- 이인정(2007).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6, 159-180.
- 이혜자, 서명옥, 신윤아(2003). 대도시 여성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인구학적 관련변수-심리적 복지감과 우울감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2(겨울), 127-150, 한국노인복지학회.
- 장혜경, 최외선(2005).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13-128.
- 정명숙(2007).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노인복지연구, 37, 249-274, 한국노인복지학회.
- 통계청(2010). 장래인구추계. http://www.kostat.go.kr에서 2010년 9월 28일 인출.
- 홍성희(1998).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107-123.
- 홍성희, 곽인숙(2010). 세대간 노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2), 177-199.
- 홍성희, 이경희, 곽인숙, 김순미, 김혜연, 김성희(1997). 노년기 생활설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3), 151-169.
- Chatfield, W. F.(1977), Economic and sociological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 of Gerontology, 44, 169-171.
- Cohen, J., & Mansfiled(1989) Employment and volunteering roles for the elderly: characteristics, attributions and strategies.
- Cumming, E., & Henry, W. E.(1961), Growing Old ; The Process of Disengagement, N.Y.; Basic Books.
- Pynoos, J., Cohen, E., Davis, L., & Bernhardt, S.(1987) Home modifications improvements that extend independence. In Reginer, V., and Pynoos, J, Housing for the aged; Design directives and policy considerations. New York : Elsevier, 277-303.
-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 Stroebe, M., Stroebe, W., & Hansson, R. O.(1993), Handbook of bereavemen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N.Y.: Cambridge Univ.Press.
- Tinsley, T., & Kaufman, E.(1985) A System of Classification Leisure Activities in Terms of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Participation Reported by Older Persons. J. of Gerontology, 40(2), 172-178. https://doi.org/10.1093/geronj/40.2.172
Cited by
- Study on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of the Pre-Elderly and the Elderly vol.51, pp.1, 2013, https://doi.org/10.6115/khea.2013.51.1.001
- Study on Developing the Scale of Korea Citizen's Intentionality out of Inborn Ability and Mission vol.15, pp.10,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10.6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