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lanning Features in Condominiums with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친환경건축물인증 아파트의 친환경계획요소 관리 실태

  • Seok, Hee-Jean (Department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 Hong, Hyung-Ock (Department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0.10.27
  • Published : 2011.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lanning Features(EFPF) in condominium with Green Building Certification(GBC).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anagement office staff and residents on six housing estates in Seoul. The data from 200 respondents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ings : 1) Most of the staffs considered that garbage collection and recycling, and green spaces were well-managed. 2) The residents indicated that garbage collection and recycling, and green spaces were properly handled, but they failed to recognize these as EFPF. 3) Residency duration was unrelated to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EFPF and their management. In conclusion, neither the residents nor the staff were aware of the GBC system or that their housing estates were built using EFPF. To remedy this, it can be assumed the residents' lack of appreciation of the EFPF can be resolved if they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these features. So the residents will need education, and the management staff will require professional training.

Keywords

References

  1. 강미란(2004). 환경친화형 주거단지를 위한 인센티브 적용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토해양부, 환경부(2006).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세부시행 지침. 과천: 국토해양부, 환경부.
  3. 국토해양부(2009a). 2009년도 주택업무편람. 과천: 국토해양부.
  4. 국토해양부(2009b). 친환경건축물 인증심사 기준 개선 및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과천: 국토해양부.
  5. 권성실, 오덕성, 김경배(2006), 지속가능한 정주지 계획요소의 중요도 분석. 서울도시연구, 7(3), 1-14.
  6. 권오진(2004). 아파트 단위주거의 친환경적 계획요소에 관한 실무자 의식조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선숙, 양인호, 김광우(2002). 공동주택 거주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9(2), 154-159.
  8. 류지원(2004). 공동주택 환경친화 계획요소에 관한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영기(1990). 공동주택의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 후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6(1), 41-48.
  10. 소경용(2008). 아파트 브랜드화에 따른 주택시장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신영숙, 조명은(2006). 친환경아파트 단지 거주자들의 친환경계획요소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8), 135-145.
  12. 유성정(2007). 친환경건축물인증지표와 거주만족도의 비교 분석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유은미(2008). 친환경건축물인증 아파트단지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울산 S 아파트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수진(2009). 친환경건축물 공동주택단지 내 비오톱 조성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도형(2003). 친환경공동주택의 특성분석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원논문.
  16. 이지영(2005). 거주자의 생태적 환경 및 친환경 주거계획요소 인식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승남(2006). 주거단지 친환경계획요소에 대한 만족도 및 중요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정선모(2005). 사례분석을 통해 본 한국의 집합주거단지 계획에서의 친환경적 문제점에 관한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희석, 정동훈, 제해성(2009). 초고층 주거복합건축물 옥외 공간의 친환경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1), 145-148.
  20. 최영현(2006). 도시근교형 전원주택단지의 친환경적 계획특성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유리(2007). 브랜드아파트에 적용된 친환경적 계획요소에 관한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윤아, 송병하(2007). 공동주택 주거환경 계획요소 및 친환경계획요소의 특성 및 경향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 109-118.
  23. 환경부(2009).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방안. 과천: 환경부.

Cited by

  1. Human Ecology Research (2000-2013) on Sustainable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vol.53, pp.1, 2015, https://doi.org/10.6115/fer.2015.007
  2. POE를 통한 친환경건축물 인증 공동주택 인공환경 녹화 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vol.40, pp.6, 2011, https://doi.org/10.9715/kila.2012.40.6.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