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e Role of Resources, Type of Care and Perception of Caregiving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2.27
  • Accepted : 2011.04.19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at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grandparents providing daily care to their grandchildren. More focus on the role of various mediators such as caregiving perception and resources were given to investigate the complicated relationships between providing care and psychological function. I used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2008 Korean National Survey of Welfare Need in the Elderl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verse circumstances of caregiving. Grandparents who cared their grandchildren on behalf of dual career parents emerged predominantly from them.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type of caregiving was related to external factors. Grandparents shouldering greater responsibility for their grandchildren showed lower levels of resources such as financial conditions and social support, and more negative perception of caregiving, which in turn was associated with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more financial resource and neighborhood support directly influence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caregiving. To enhance resources and empower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community-based intervening mechanism incorporating various environments and effective services to meet the needs of grandparents should be discussed in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생활실태조사'를 토대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양육 상황, 양육지각, 자원 등을 손자녀 양육경험의 주요 차원으로 설정하여, 매개모형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 간의 상호복합적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손자녀 양육동기의 대부분이 맞벌이가정의 자녀양육을 돕기 위함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대다수가 양육에 대한 대가를 받지 않았다. 둘째, 돌봄 상황 자체가 직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고, 돌봄 상황의 차이가 가져온 양육지각과 자원의 차이가 매개역할을 하면서 간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 중 경제형편과 이웃도움은 양육지각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것과 관련되었으며 자녀지지는 양육지각과 관련이 없었다. 결국,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조부모가 손자녀 양육을 통해 성인자녀세대의 경제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사회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서비스 제공자임을 보여준다. 또한 손자녀 양육경험은 관련요인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된 복합적 과정이며, 특히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작용하는 개인, 가족, 사회적 자원의 유용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이 더 이상 개인과 가족차원의 논의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차원 이상의 관심사로 다루어짐으로써, 이들의 외적자원을 강화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현수 (2009)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 주관적 건 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8(5): 995-1008.
  2. 김동배.박은영.김세진 (2010) "손자녀 주양육자 및 공동양육자의 사회참여가 우 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183-209.
  3. 김영주 (2009) "농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46: 77-104.
  4. 김오남 (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부담과 보상감" <<한국노년학연구>> 16: 59-84.
  5. 김미혜.이금용.정순둘 (2000) "노년기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20(3): 211-226.
  6. 김혜선 (2004)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8: 85-117.
  7. 박경애 (2007) "사회적 지지가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 보상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3): 25-45.
  8. 박미진 (2010) "빈곤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0(3): 895-910.
  9. 박충선 (2010) "조손가정의 형성원인과 양육경험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2): 105-125.
  10. 배나래.박충선 (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761-779.
  11. 배진희 (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육 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 67-94.
  12. 백경숙.김영란 (2006) "손자녀 양육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한국 가족복지학>> 11(4): 109-128.
  13. 보건복지가족부 (2008) <<노인생활실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14. 송유미.이윤형 (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기능 간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3: 111-134.
  15. 신창환 (2010)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2): 453-469.
  16. 양소정.정경미.김원경 (2008) "공동양육 조모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관련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3(4): 415-432.
  17. 양순미.임춘식.오윤자 (2008) "농촌 조손가족 조부모들이 손자녀에 대한 비용: 보상적 가치관이 손자녀 양육 이후의 생활만족 변화에 미치는 영향" <<농촌 사회>> 18(2): 145-178.
  18. 오인근.오영삼.김명일 (2009)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1): 113-136.
  19. 이선형.이경림.임춘희 (2009)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 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4): 57-77.
  20. 이상균 (2008) "청소년 비행행동에 대한 부모양육행동과 비행친구집단간의 조절 된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7: 121-151.
  21. 이정화.한경혜 (2008) "농촌 조손가족의 세대관계와 손자녀 양육 조모의 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 28(1): 177-196.
  22. 이지연.정경미.김원경 (2008) "중산층 양육조모와 비양육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3(3):325-341.
  23. 최혜경 (2002)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 노년학>> 22(3): 207-222.
  24. 최혜지 (2004) "손자녀 양육형태가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3): 31-49.
  25.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 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6. Bowers, B. F. and B. J. Myers (1999)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Grandchildren: Consequences of Various Levels of Caregiving" Family Relations 48(3): 303-311. https://doi.org/10.2307/585641
  27. Brown, D. R. and A. Boyce-Mathis (2000) "Surrogate Parenting Across Generations: African American Women Caring for a Child with Special Needs"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ging 6(4): 339-351.
  28. Bunch, S. G., Eastman, B. J., and L. W. Griffin (2007) "Examining the Perception of Grandparents Who Parent in Formal and Informal Kinship Care"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15(4): 93-105. https://doi.org/10.1300/J137v15n04_06
  29. Daly, S. S. and D. S. Glenwik (2000) "Personal Adjustment of Grandchild Behavior in Custodial Grandmother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9(1): 108-118.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901_11
  30. Dolbin-MacNab, M. L. (2006) "Just Like Raising Your Own? Grandmothers Perceptions of Parenting a Second Time Around" Family Relations 55(5): 564-575.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6.00426.x
  31. Emick, M. and B. Hayslip (1999) "Custodial Grandparenting: Stresses, Coping Skill, and Relationships with Grand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8: 35-61 https://doi.org/10.2190/1FH2-AHWT-1Q3J-PC1K
  32. Fuller-Thompson, E., Minkler, M. and D. Driver (1997) "A Profile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Gerontoligist 27: 406-411.
  33. Gatz, M. Bengston, V. L. and M. J. Blume (1990) "Caregiving Families" In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edited by J. E. Birren and K. W. Schaie, CA: Academic Press.
  34. Goodman, C. and M. Silverstein (2002)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Family Structure and Well-Being in Culturally Diverse Families" Gerontologist 42(5): 676-689. https://doi.org/10.1093/geront/42.5.676
  35. Haglund, K. (2000) "Parenting a Second Time Around: an Ethnography of African American Grandmothers Parenting Grandchildren due to Parental Cocaine Abuse" Journal of Family Nursing 6(2): 120-135. https://doi.org/10.1177/107484070000600203
  36. Jendrek, M. P. (1993)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Effects on Lifesty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609-621. https://doi.org/10.2307/353342
  37. Kelly, S. J., Whitley, D. and T. A. Sipe (2007) "Results of an Interdisciplinary Intervention to Improve the Psychosocial Well-Being and Physical Functioning of African American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s 5(3): 45-64. https://doi.org/10.1300/J194v05n03_04
  38. Kelly, S. J., Whitley, D., Sipe, T. A. and B. C. Yorker (2000) "Psychosocial Distress in Grandmother Kinship Care Providers: the Role of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Child Abuse and Neglect: The International Journal 24: 311-321.
  39. MacKinnon, D.P., Warsh, G. and J. H. Dwyer (1995) "A Simulation Study of Mediated Effect Measur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0: 41-62.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3001_3
  40. Mills, T. L., Gomez-Smith, Z. and J. M. DeLeon (2005) "Skipped Generation Families: Sources of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Grandmothers of Grandchildren Who Live in Homes Where neither Parent is Present" Marriage and Family Review 37: 191-212. https://doi.org/10.1300/J002v37n01_12
  41. Musil, C. (1998) "Health,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in Grandmother Caregiver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5): 441-456. https://doi.org/10.1080/073993398246205
  42. Sands, R. G. and R. S. Goldberg-Glen (2000) "Factors Associated with Stress among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Family Relations 49(1): 97-105.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0.00097.x
  43. Thoits, P. A. (1995)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Where Are We? What N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extra issue): 5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