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서관용품 권장기준과 관리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Recommended Standards and Management Guidelines of Library Goods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안인자 (동원대학 아동문헌정보과) ;
  • 박미영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
  • Noh, Young-Hee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onkuk University) ;
  • Ahn, In-Ja (Dept. of Child and Library Services, Tongwon College) ;
  • Park, Mi-Young (College of Information & Media, Seoul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1.06.08
  • 심사 : 2011.07.26
  • 발행 : 2011.07.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의 용품 구매 및 관리업무의 효율화, 물품관리예산의 절감, 친환경적이고 디지털 친화적인 도서관용품의 발전 도모, 도서관용품 규격에 대한 표준적인 지침을 마련하기 위하여 도서관용품 권장기준과 관리지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용품을 6개 영역 117개의 용품으로 구분하여 각 용품에 대한 권장기준과 관리지침을 개발하였으며, 각 기준과 지침을 제공할 규격표 항목을 결정하여 통일된 표를 작성하였다. 규격표 항목은 각 용품명, 용품분류코드, 나라장터 물품 분류번호, 각 용품에 관한 '정의', '사용범위 및 용도', '용품규격', '종류와 치수', '구조', '비치장소', '관리요령', '비고'의 총 11개 항목이다. 본 연구가 도서관관련 법령, 도서관기준, 도서관편람에 반영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도서관용품 표준화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tries to develop standards of library goods and managerial guidance. It is developed to make buying and managing library goods efficient in promoting environmental and digital-friendly library, and to set a standard guidance of library goods. The research divides 117 library goods into 6 categories, and develops a table of recommended standard and managerial guidance of library goods. The table has 11 indicators of information, which includes the name of each library goods, classification code, identification number of 'Narajangteo', definitions of the goods, purpose and usage, type and size, structure, place to install, goods management, and note. The research hopes to be reflected in library related laws, standards, and manuals, and finally to standardize library goods in the national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윤호. 2005. 공공도서관 어린이열람실 공간 계획에 따른 가구 배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 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한국산업표준(KS) [인용 2010. 1. 15]. .
  3. 김기태, 이만수. 1998. 학교도서관 경영론. 서울: 교학연구사.
  4. 김신중, 이정세. 2008. 제품 표준화 수준에 따른 공급업체 선전요인별 중요도 평가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13(1): 261-272.
  5. 노영희, 안인자, 박미영, 정현태. 2011. 도서관용품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123-135.
  6. 박지민, 윤정숙. 2003. 유아도서관의 공간구성과 가구배치 유형계획을 위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3): 127-136.
  7. 서울특별시교육청. 2001. 학교도서관 길라잡이. 서울: 동교육청.
  8. 송기호. 2005. 학교도서관 교구․설비기준 개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57-84.
  9. 신동준, 이상호, 임채진. 2009. 초등학교 학교도서관 기능 공간의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65-179.
  10. 안인자, 노영희. 2010. 도서관용품 표준화 및 인증제도 개선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1. 한국도서관협회. 1994. 학교도서관 비품 권장기준. 서울: 동협회.
  12.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동협회.
  13. 한국도서관협회. 2009. 도서관편람. 서울: 동협회.
  14. 한국도서관협회. 편람편찬위원회. 1994. 도서관정보관리편람. 서울: 동협회.
  15. ACRL. 2005. Guidelines for University Library Services to Undergraduate Students: Approved at ALA Annual Conference, June 2005. [cited 2010. 12. 27]. .
  16. ACRL. 2006. Guidelines for Media Resources in Academic Libraries: Prepared by The Guidelines for Media Resources in Academic Libraries Review Task Force. [cited 2010. 12. 27]. .
  17. ALA. 2003. "ALA Standards Manual" [online]. [cited 2010. 12. 27]. .
  18. Brown, Carol R. 1989. Selecting Library Furniture: A Guide for Librarians, Designers, and Architects. Phoeniz, Ariz.: Oryx Press.
  19. Brown, Carol R. 2002. Interior Design for Libraries: Drawing on Function and Appeal.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 IFLA. 2001. IFLA/UNESCO Guidelines: The Public Library Guidelines. .
  21. IFLA. 2002. IFLA/UNESCO Guidelines: School Library Guidelines. [cited 2010. 12. 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