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w Concept of Average River Bed and General Trend of River Bed Change in the Nakdong River

새로운 평균하상 개념과 낙동강의 하상 변동 경향성 분석

  • Received : 2011.05.23
  • Accepted : 2011.06.13
  • Published : 2011.06.28

Abstract

River bed change due to various factors in watershed and/or river environment would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river management. To judge whether the river bed was aggrading or degrading, normally we use the change in thalweg or average bed, calculated using the design flood of the river. The present study is to figure out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ethods and to propose a new concept of average river bed using annual maximum flood. To evaluate the new method, it was applied to the Nakdong River. We use the river bed data surveyed in 1983, 1993, and 2005.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river bed change during 1983 and 1993, while the river bed was degraded significantly during 1993 and 2005. In the latter period, the river had severe degradations, 2~3 m in average sense and 5 m for the maximum in the middle reach(120~200 km from river mouth), and 1~2 m in average in the upper reach(200~240 km from river mouth). For the upstream reach of the confluence of the Naesung River(about 240 km from river mouth), most of the river bed change seemed to be only local phenomena. The main cause of the river bed change in the Nakdong River seems to be massive gravel mining in the middle reach of the river.

유역이나 하천의 변화에 따른 하상의 상승이나 하강은 하천 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이다. 하천의 하상 변동을 분석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최심 하상고나 평균하상고의 변화이다. 이 때 평균하상고는 계획 홍수위에 대한 하상의 평균이다. 본 연구는 하상 변동 분석에서 기존의 최심 하상고나 평균하상고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제반 문제를 지적하고, 연평균 홍수위에 대해 하상을 평균하는 새로운 평균하상고 개념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검토하기 위해 낙동강의 1983년, 1993년, 2005년의 3개년의 하상 자료를 이용하여 하상 변동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에서는 1983~1993년 사이에는 대규모 하상 저하는 없었으나, 1993~2005년 사이에는 상당한 규모의 하상 저하가 발생하였다. 1993~2005년 사이에 중류부인 120~200 km 구간에서는 평균적으로 2~3 m, 최대 5 m 정도의 하상 저하가 발생하였고, 그 상류부인 200~240 km 구간에서는 1~2 m 정도의 비교적 작은 규모의 하상 저하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내성천 합류점보다 상류 구간 (240 km 이상의 구간)에서는 하상 상승과 하강은 거의 대부분 국부적인 현상에 머물고 있으며, 대규모 하상 변동이 없다. 이러한 낙동강 하상 저하의 주 원인은 대규모 골재 채취임을 밝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낙동강 하천정비보고서, 1983a.
  2. 건설교통부, 낙동강(황강)하천정비기본계획, 1983b.
  3. 건설교통부, 낙동강 하천정비보고서, 1993.
  4. 건설교통부, 황강, 사천강 하천정비기본계획, 1992.
  5. 건설교통부, 황강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 2007.
  6. 국토해양부, 낙동강 수계 하천기본계획[변경] [낙동강: 국가하천기점-금호강 합류점] 보고서, 2009a.
  7. 국토해양부, 낙동강 수계 하천기본계획[변경] [낙동강: 금호강 합류점-하구] , 밀양강, 양산천, 보고서, 2009b.
  8. 한국수자원학회, 하천설계기준해설, 2005.
  9. 建設省, 河川砂防施設基準(案)同解說調査編, 山海堂, 2007.(일본어)
  10. 国土技術硏究センタ一, 河道計劃檢討の手引き, 山海堂, 2002.(일본어)
  11. 国土技術硏究センタ一, 護岸の力学設計法, 山海堂, 2005.(일본어)
  12. US Army Corps of Engineers, HEC-RAS, River Analysis System, User's Manual, Version 4.0, 2008.
  13. http://www.wamis.go.kr

Cited by

  1. Natural and Artificial Bed Change Analysis through Sediment Budget Analysis of Nakdong River Channel (before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vol.48, pp.1,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