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지털미디어 등장과 새로운 위험유형 -융합매체로서 스마트폰의 위험특성과 이용자 위험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Introduction of Digital Media and Consequent New Risk Types -Focus on the Analysis of User Risk Perception and Risk Features of Smart Phones as Convergence Media-

  • 투고 : 2011.06.08
  • 심사 : 2011.08.02
  • 발행 : 2011.08.28

초록

본 연구는 기존 디지털미디어에 관한 논의들이 기술 생산성과 효과성에 주목하며 낙관적 관점에 경도되어 있다는 비판에서 출발, 디지털미디어가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이러한 위험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위험성평가와 위험관리에 대한 의견 등 총체적 위험인식을 확인하였다. 대표적 디지털융합매체인 스마트폰을 구체적 연구대상으로 삼은 결과, 총 4개 차원의 위험유형, '경제적 차원의 위험, 사회-문화적 차원의 위험, 개인적 차원의 위험, 병리적 차원의 위험'을 포함한 17개 위험유형이 분류되었다. 각 위험유형별로 위험성(발생가능성${\times}$위험심각성)을 분석한 결과 발생가능성 측면에 있어서 병리적 차원의 위험이 타 위험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그 발생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심각성 평가에서는 개인적차원의 위험을 타 위험유형들보다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높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음으로 위험예방과 대응측면에서 예상 외로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지 않고, 개인의 역할론에 대한 기대감과 책임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위험에 대한 심각성과 발생가능성, 책임성에 대한 평가, 예방대책, 사후처리 방식 등의 요인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적용한다면 향후 타 분야의 디지털미디어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중요한 정책적 대응방안으로도 확장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began from the criticism that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existing digital media have focused on the technical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to focus on the positive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will concretely confirm the dangers that may be caused by digital media and confirm the overall risk perception for digital media such as the user's opinions for risk evaluations and risk management for such dangers. As a result of making the digital convergence media, the smart phone, as the detail study subject, the 17 risk types including the 'risks of financial dimensions, risks of social-cultural dimensions, risks of individual dimensions and risks of pathological dimensions' were classified. Furthermore, the users appeared to highly evaluate the seriousness and possibilities of risk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isk-factor per each risk type(risk magnitude ${\times}$ development possibility). Next, it appeared that the users did not have high degree of reliability for the government in the aspects of countermeasures and prevention of risks and appeared to highly evaluate their expectation and liability for their individual roles. If the seriousness and development possibilities, the evaluations for liability, preventative measures and post-management methods for the risks of smart phones can be thoroughly analyzed and applied, it will be able to expand them as significant political countermeasures that can reduce the risks of other digital media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M. McLuhan, Understanding Media. New York: Mentor, 1964.
  2. J, Ellul, The Technological Society, Trans. John Wilkinson, New York : Knopf, 1964.
  3. M. Shin(水越伸), 디지털미디어 100년 후를 상상한다, Tokyo Iwanami Shoten Pub, 2009; 백성수 외 역, 한국학술정보, 2000
  4. 최흥석, 디지털 위험사회 대응 정책방안,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9.
  5. 김원석, 디지털생존교양: 위험한 변화에서 살아남기 위해 알아야 할 거의 모든 것, 갤리온, 2010.
  6. 김영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3.
  7. 박창희. 디지털 시대 수용자 패러다임의 변화 : 수용자의 어제, 오늘, 그리고 미래; 이은미 외, 디지털 수용자.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8. 이호영, 디지털미디어의 사회적 사용에 관한 연구-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I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9. 최홍석, 김현준, 디지털 위험사회 대응 정책방안 연구 - 제2회 정보문화 국제컨퍼런스 '새로운 도전: 디지털 위험사회의 도래' 발표 자료집, 행정안전부, 2009.
  10. 정국환, 유지연, 디지털재난, 그 의미와 대응의 새로운 패러다임(KISDI 이슈리포트 09-0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11. 서보윤, 디지털사회의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정보보호캠페인 전략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5.
  12. 한세억, 성숙한 인터넷 강국을 위한 정책과제와 시사점,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8.
  13. 이상기, 김주희, "휴대폰의 기능, 위험에 대한 인식과 중독적 이용의 관계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540-575, 2009.
  14. 송해룡, 페터 비데만, 휴대전화 전자파의 위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5. 홍성태, 정보위험사회의 도래와 대응에 관한 연구: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16. 손용,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텔레커뮤니케이션, 한울아카데미, 2003.

피인용 문헌

  1. Teenagers with Smartphones Exposed to Sexual Content vol.14, pp.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