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peration of the Effective VMD utilizing the Information Design

정보디자인을 이용한 효과적인 VMD운영

  • 양근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Received : 2011.07.01
  • Accepted : 2011.08.08
  • Published : 2011.08.28

Abstract

VMD should be shifted from the store for the exhibition to the top selling store, the store that has something people want to buy, the store where people want to visit and the store that is convenient for shopping. To become the top selling store by using VMD to the information design, the primar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femal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by the questionnaire on the propensity to consume and purchase type. The secondar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females in university who are fashion conscious. The tertiary research, by the questionnaire, has been conducted on the apparel store at the department stor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can be said that the best effect of VMD has been shown in the department store, and as the overall problem, it has become obvious that the standardized design was followed without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ore.

VMD는 보여주기 위한 매장에서 잘 팔리는 매장으로써 갖고 싶은 것이 있는 매장, 찾아가고 싶은 매장, 사기 쉬운 매장으로 만들어가야 한다. 정보디자인을 VMD에 이용하여 잘 팔리는 매장을 만들기 위하여 1차 조사로써, 광주광역시의 여성을 대상으로 소비성향과 구매형태를 질문지조사 방법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2차 조사는 디자인과 유행에 민감한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3차 조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백화점 내 의류를 취급하는 매장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조사결과 VMD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곳은 백화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문제점으로 각 매장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획일적인 디자인을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VMD의 추진 운영상 당면한 문제점으로 디스플레이, 진열 등 미관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실제로 매출 증대에 기여하지 못하고 비용만 많이 들어가고 일만 많아졌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다. 정보 디자인은 VMD운영에 필수적이고,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그래픽 요소를 활용 시각화되어야한다. 정보는 조직화되어야하고, VMD운영은 획일화 되어서는 안 되고, 업종과 특성에 따라 차별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전사적으로 토탈화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애, "여성은 왜 쇼핑을 하는가", 어문학사, pp.20-21, 2007.
  2. 홍성태, "대한민국 여성소비자", 세종서적, pp.28-30 2006.
  3. 이상민, "고객만족 경영 실전 바이블", 팬덤하우스, pp.56-57, 2010.
  4. 심낙훈, "비주얼 머천다이징&디스플레이", 우용출판사, p.13, 2009.
  5. 정경혜 "패션리테일 VMD" 도서출판 서우, 2009.
  6. 오병근, 강성중, "정보디자인 교과서", 아그라픽스, pp09-10, 2008.
  7.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pp.24-26, 2011.
  8. 이호정, "패션 머천다이징", 교학연구사, pp.24-25, 1991.
  9. 광주상공회의소, "광주시민의 소비성향 및 구매 형태", 광명, p.63, 2007.
  10. 강석호, "정보체계론", 박영사, pp.100-102, 1995.
  11. 김원수, "마케팅 관리론", 경문사, p.74, 1990.
  12. 신언모, "커뮤니케이션 디자인론", 태학원, pp.88-89, 2004.
  13. 류신영, "백화점 VMD가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7-68, 2003.
  14. 안건숙, "지역별 소비자 특성에 따른 패션 전문점의 VMD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45-46, 2001.
  15. R. Colbome, "Visual Merchandising," Prentice Hall, Inc, New Jersey p.36, 1996.
  16. K. Davis and P. Ward, "Visual Merchandising and the creation of discernible retail brands & Distribution Management," International Jounal of Retailing, p.4,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