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객관적 화질 평가와 주관적 화질 평가의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 Research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Image Quality Assessment

  • 박형주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 하동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투고 : 2011.04.05
  • 심사 : 2011.07.11
  • 발행 : 2011.08.28

초록

최근 소비자의 화질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관련 시장 경쟁력이 가열되었으며, 이에 따라 제조사는 고객만족을 위한 제품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진보하고 있다. 그러나 제품의 객관적 성능 향상이 실제 소비자가 인지하는 화질의 선호도에 항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객관적 성능 평가 방법과 주관적 화질 평가 결과 간의 상관관계를 찾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객관적 화질 재현 성능이 이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관적 화질 평가 요소들을 측정하고 이러한 수치들이 이미지 선호도와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ISO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질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선호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러한 결과가 객관적 화질 평가 요소들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화질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분석할 수 있으며 단순한 고화질 추구를 위한 성능 개발뿐만 아니라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을 파악하여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로 기대된다.

Due to the high interests of image quality by consumers, the concerned market becomes more heated. Recent digital camera development tendency shows to perform the higher image quality to meet consumers demand of quality satisfaction. However it is hard to confirm that development of objective image quality performance means positive subjective image quality preference. And also, we cannot find out the previous researches concerned on correlation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image quality comparis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sumers preferred images based on objective image quality performance. Throughout this paper, we analyz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image quality assessment methods by using ISO standards. In these results, we try to find attributes that enhance image quality. We suggest not only to analyze and reflect on customers' preferences, but also to pursue the high quality image performance practically.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paper to positively influence product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J. Clark, D. Hertel, B. Hultgen, and L. Scarff, Subjective and Objective Image Quality Evaluation, CPIQ Working Group Workshop, 2006.
  2. 노연숙, "사진의 감성적 만족도에 근거한 주관적 화질 평가 방법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 N. E. Dalal, R. Rasmussen, F. Nakaya, A. P. Crean, and M. Sato, "Evaluating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hardcopy output," IS&T PICS conference, 1998.
  4. ISO 12233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Cameras-Resolution measurement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0.
  5. ISO 15739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imaging-Noise measurement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3.
  6. 김선주, "디지털 카메라의 최적 화질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전자공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2006.
  7. CPIQ Initiative Phase 1 White Paper, Fundamentals and review of considered test methods, International Imaging Industry Association, 2007.
  8. ISO 14524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Cameras-methods for measuring Opto- Electronic Conversion Fuctions (OECF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5.
  9. ITU-R Rec. BT. 500-11. Methodology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television pictures.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02.
  10. ISO 20462 Photography - Psychophysical experimental methods to estimate image quality.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4.
  11. 정우현, 한재현, 박수진, 신수진. "사진의 시각적 속성 평가와 감성 반응의 비교를 통한 감성모형 검증", 한국사진학회지, 제15호, pp.52-59, 2006.
  12. J. Radun, T. Leisti, J. Häkkinen, H. Ojanen, J. L. Ilives, T. Vuori, and Gote Nyman, "Content and Quality: Interpretation - Based Estimation of Image Quality," ACM Transactions on Applied Perception, Vol.4, No.4, p.21. 2008. https://doi.org/10.1145/1278760.1278762
  13. 장은혜, 최상섭, 이경화, 손진훈, "TV 화질에 대한 감성평가 척도 개발", 감성과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21-1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