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the Information Portal for the Disabled

장애인 정보포털에 관한 연구

  • 윤정옥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
  • Received : 2011.04.16
  • Accepted : 2011.08.04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 new information portal for the disabled by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rvices, resources, and external links of five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portals for the disabled, and 104 websites of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Information portals for the disabled examined in this study include the 'Bokjiro' portal and Dibrary Disability portal in Korea, the NARIC portal in the U.S.A., the National Accessibility Portal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and the National Interactive Portal of India. The following were proposed: (1) Consider both the disabled and the general public as potential users, (2) Identify the specific subject categories appropriate for their needs, (3) Secure information from high quality information sources, (4) Provide th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channel for the disabled, and (5) Observe Web Accessibility Standards.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이 장애인 정보포털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장애인 관련 기관, 단체 104개의 웹사이트 및 국내외 장애인 정보포털 다섯개의 제공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인 정보포털 구축 시 고려할 요소를 추출 및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의 '복지로' 포털, 국립중앙도서관 디브러리의 '장애인 포털', 미국 NIDRR의 NARIC 포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National Accessibility Portal, 인도의 National Interactive Portal을 포함하였고, 이들의 목표 이용자, 주요 서비스와 자원, 주요 연계 서비스 등 특성을 살펴보았고, 도서관의 장애인 정보포털 구축 시 다음과 같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1) 장애인 및 비장애인 잠재적 이용자층 고려, (2) 장애인 관심 주제 정보 제공, (3) 고품질 외부정보원 정보의 확보와 제공, (4) 장애인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경로 역할, (5) 웹접근성기준 반영한 인터페이스 설계.

Keywords

References

  1. 강숙희. 2001. 시각장애인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4): 229-256.
  2. 강숙희. 2011.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97-123.
  3. 변용찬 등. 2006. 생애주기별 장애인의 복지욕구 분석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17.
  4. 보건복지부. 통계포털. 2008. 장애인실태조사. "<부표 2-12-79>사회 및 국가에 대한 요구사항"
  5. 서옥연, 장덕현. 2008. 발달장애아 가족의 정보빈곤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107-128.
  6. 심경, 윤정옥. 2009. 지식의 관문, 도서관 포털. 경기도: 경기도사이버도서관.
  7. 심경, 윤정옥. 2010. 장애인 전자도서관 등 종합정보망 구축 정보화 전략계획 (ISP).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8. 오선경. 2010. 시각장애인의 정보요구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립수성도서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41(1): 97-126. https://doi.org/10.1633/JIM.2010.41.1.097
  9. 이영숙. 2007. 장애인정보격차에 관한 소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69-91. https://doi.org/10.4275/KSLIS.2007.41.4.069
  10. 통계청. 2010. e-나라지표. "등록장애인수." [online]. [cited 2010.7.10]. .
  11. 통계청. 2011. e-나라지표. "장애인현황." [online]. [cited 2011.6.25]. .
  12.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1. The Association of Specialized and Cooperative Library Agencies (ASCLA). "Issues: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olicy." [online]. [cited 2011.6.10]. .
  13. Boss, R. W. 2002. "How to plan and implement a library portal." Library Technology Reports, 38(6): 1-63.
  14. Childers, Thomas. 1975. The Information-Poor in America. Assisted by Joyce A. Post. Metuchen, N. J.: The Scarecrow Press, Inc.
  15. Davies, R. 2007. "Library and institutional portals: A case study." The Electronic Library, 25(6): 641-647. https://doi.org/10.1108/02640470710837083
  16. National Accessibility Portal. 2010a. "Project Overview." [online]. [cited 2010.11.4]. .
  17. National Accessibility Portal. 2010b. "The Team." [online]. [cited 2010.8.30]. .
  18. National Accessibility Portal. 2010c. "About." [online]. [cited 2011.4.15]. .

Cited by

  1. A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Outreach Service at Public Libraries vol.46, pp.1, 2012, https://doi.org/10.4275/KSLIS.2012.46.1.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