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상남도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생육환경 연구

Growth Conditions of Natural Monument Old Big Trees in Gyeongsangnamdo, Korea

  • 김효정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Kim, Hyo-Jeong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1.09.09
  • 심사 : 2011.10.17
  • 발행 : 2011.10.30

초록

Old big tree transcends the simple meaning of trees as they are the natural monuments that embody the people's history and culture of this l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CHA) defines and protects old big tree based not only on the size of the tree but also on its definitive cultural and natural factors such as value, implications, and originalit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growth conditions, soil conditions and location character of 20 old big tree in Gyeongsangnamdo korea. The research examined the soundness of the arboreal form, the degree of damage on the bark, as well as the quantity of leafs levels to evaluate the overall condi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Also, 9 elements such as soil texture, nitrogen and organic matter content, soil pH, phosphoric acid and EC were further analyzed The research analyzed in correlation of Growth condition and soil. Tree health related positivity that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 The result which analyzes location character, With natural monument old big trees raising a hand the area where is contiguous appeared with the fact that the farming village style where the rice field and the arable land of field etc. This research aimed at generating some foundational reference data for the analysis of the habitation and management conditions of natural monument old big tree within the Gyeongsangnamdo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천연기념물센터 14-15.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천연기념물 노거수 실태조사 보고서. 전라남․북도. 1-215.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천연기념물 노거수 실태조사 보고서. 강원도․경상남도. 8-238.
  4. 강현경․이승제. 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I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36-45.
  5. 강호철․이정환․이광수․사공영보. 2002. 농촌지역 노거수의 생장활력도와 주변 환경에 대한 평가(1). 한국정원학회지 20(4):27-36.
  6. 강호철․이정환. 2005.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실태와 보전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69-81.
  7. 강전유. 2005. 수목외과수술, 나무종합병원.
  8. 건설교통부. 2007. 조경설계기준. 356.
  9. 김용수․임원현․노정화․윤영환. 1996. 노거수목의 보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4(2):1-18.
  10. 김태헌. 2007. 노거수목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경북 영양지방을 사례로. 경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5.
  11. 김효정․박동진․이종성. 2008. 노거수의 과학적 보존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108-114.
  12. 남태호. 1994. 도시지역에 있어서 노거수의 잔존요인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농촌진흥청.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농촌진흥청 29-130.
  14. 문화재청. 2009. 관리메뉴얼. 천연기념물 노거수 수림지 관리메뉴얼. 1-206.
  15. 문화재청. 2010. 천연기념물 식물 보존 관리 워크숍 논문집.
  16. 박교수․주명칠. 1989. 후박나무 발아와 유묘생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연습림 보고. vol.1 88-94.
  17. 박종민․서병수․이정택. 2000. 우리나라의 노거수 자원 보호관리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임학회지 89(3):440-451.
  18. 방광자․설종호. 1999. 노거수의 이식시 뿌리활착을 위한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산업과학연구. NO 7.
  19. 유창민. 2004. 조경적 측면에서의 천연기념물 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용한․주진희. 2010. 제천시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관리현황 평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67-74.
  21. 이선․배상원. 2005. 창덕궁 노거수의 수령 측정 및 생육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19-35.
  22. 이승우․이충화․오관세․이윤희․정진현․오정수. 2004. 후박나무 인공조림지 표층토양의 화학성과 호흡량 변화에 미치는 석회처리 효과. 한국임학회 학술연구발표논문집 157- 159.
  23. 이인복․임재현․임명순. 2000. 알칼리성 토양 pH 교정시 완충곡선법을 이용한 황 시용량 결정. 한국토양비료학회 33(6):405-415.
  24. 임혁성․심우경. 2005. 노거수의 문화경관 가치와 조경적 활용.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94-101.
  25. 정근․서정영․이재근. 2009. 노거수 환경여건 개선을 위한 은행나무와 소나무의 생육환경 분석. 천연기념물 및 시․도기념물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57-65.
  26. 정종수․주상현․이재근. 2008. 노거수 외과수술 실태 및 보존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전통조경학회지 26(1):97-105.
  27. 정진철․전경수․장규관․최정호. 1993. 노거수관리실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12:369-383.
  28. 정진현․구교상․이충화․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94-700.
  29. 최만봉․이규완. 1992. 천연기념물 지정수의 현황과 관리실태 및 그 대책에 관한 연구. 도시 및 환경연구 7:225-250.
  30. 하태주․이재근․유창민․박근엽. 2006. 충청남도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활력도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87-93.
  31. 하태주․방광자. 2005. 천연기념물 노거수 활력도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8(1):100-107.
  32. 한국환경과학회. 2009. 그린조경학. 서울. 문운당. 6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