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il Surface Fixation by Direct Sowing of Zoysia japonica with Soil Improvement on the Dredged Soil Slope

해저준설토 사면에서 개량제 처리에 의한 한국들잔디 직파 지표고정 공법에 관한 연구

  • Jeong, Yong-Ho (Division of Forest Water and Soil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Im-Kyun (Division of Forest Water and Soil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eo, Kyung-Won (Division of Forest Water and Soil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im, Joo-Hoon (Division of Forest Water and Soil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Jung-Ho (Kalim Environment Co., LTD.) ;
  • Shin, Moon-Hyun (Division of Forest Water and Soil Conserv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정용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토보전과) ;
  • 이임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토보전과) ;
  • 서경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토보전과) ;
  • 임주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토보전과) ;
  • 김정호 (가림환경개발) ;
  • 신문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수토보전과)
  • Received : 2011.03.18
  • Accepted : 2011.07.19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depending on different soil treatments in Saemangeum sea dike, which is filled with dredged soil. Zoysia japonica was planted using sod-pitching method on the control plot. On plots which were treated with forest soil and soil improvement, Zoysia japonica seeds were sprayed mechanically. Sixteen months after planting, coverage rate, leaf length, leaf width, and root length were measured and analyzed. Also, three Zoysia japonica samples per plot were collected to analyze nutrient contents. Coverage rate was 100% in B treatment plot(dredged soil+$40kg/m^3$ soil improvement+forest soil), in C treatment plots (dredged soil+$60kg/m^3$ soil improvement+forest soil), and D treatment plots (dredged soil+$60kg/m^3$ soil improvement), while only 43% of the soil surface was covered with Zoysia japonica on control plots. The width of the leaf on C treatment plots (3.79mm)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 treatment (3.49mm), B treatment (2.40mm) and control plots (1.97mm). Leaf and root length of D treatment was 30.18cm and 13.18cm, which were highest among different treatments. The leaf length of D treatment was highest followed by C, B, and A treatments. The root length of D treatment was highest followed by C, A, and B treatments. The nitrogen and phosphate contents of the above ground part of Zoysia japonica were highest in C treatment, followed by D, B, and A treatments. The nitrogen and phosphate contents of the underground part of Zoysia japonica were highest in D treatment, followed by C, A, and B treatments. C and D treatments showed the best results in every aspect of grass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dentify the cost effective way to improve soil quality for soil surface fixation on reclaimed areas using grass species.

본 연구는 새만금방조제의 해저준설토 매립지반에서 한국들잔디(Zoysia japonica)에 의한 효율적인 지표고정 공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관행적 방법인 줄떼붙이기 시공지(A처리구 : 해저준설토 위에 15cm의 일반 흙을 복토)를 대조구로 하고, 해저준설토와 토양개량제를 혼합한 처리구와 여기에 일반 흙을 추가로 혼합한 처리구 등 생육기반이 다른 3개의 처리구에 한국들잔디를 기계파종 하였다. 관행방식으로 처리한 대조구인 A는 일반 흙을 15cm나 복토한 상태에서 시공한 것임에도 피복률이 43%이었으나 해저준설토 개량처리구인 B(천층)와 C, D(심층) 처리구는 모두 100%로 피복률이 높게 나타났다. 생육상황 분석은 엽장, 엽폭, 뿌리길이에 대해 실시하였는데 토양개량 효과가 뚜렷하였다. 엽장은 대조구 A는 5.73cm, 천층처리구 B는 5.97cm로 유사하였으며, 심층처리구인 C와 D처리구는 27.42cm, 30.18cm로 높게 나타났다. 엽폭은 C와 D처리구가 각각 3.79mm, 3.49mm이었으며 천층처리구 B는 2.40mm, 대조구 A는 1.97mm에 그쳤다. 뿌리길이는 D, C, B처리구에서 각각 13.18cm, 12.20cm, 8.56cm이었으며 대조구 A는 9.38cm이었다. 식물체 내 양분 분석 결과 전질소를 비롯하여 다른 양분함량에 대해서도 토양개량 효과가 확인되었다. 전질소 함량은 심층개량구인 C처리구의 지상부가 1.014%로 가장 높았으며 D와는 근소한 차이를 보였고 천층개량구 B, 대조구 A처리구 순으로 나타났다. 질소는 식물의 생장에 가장 큰 영향을 하는 양분으로서 지상부 생육상황 조사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지하부는 D처리구가 0.892%, C > A > B처리구 순이었다. 뿌리생장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인산의 함량에 있어서는, C처리구의 지상부가 0.442%로 가장 높았으며 D > B > A 처리구 순으로 나타났고, 지하부는 D > C > A > B처리구 순으로 높게 나타나 전질소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칼륨 함량은 지상부에서 C > D > B > A 순으로, 지하부에서는 D > C > B > A 순으로 나타나 전질소만큼의 차이는 아니지만 뚜렷한 토양개량 효과를 보였다. 나트륨은 칼슘과 더불어 간척지, 건조지 등에서 토양의 염분집적으로 식물생장에 장애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염류로서 토양을 개량하지 않은 대조구 A에서 지상부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이에 반해 지하부의 함량은 나트륨, 칼슘 모두 모든 처리구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엽록소의 생성에 영향하는 마그네슘도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한 수치를 나타냈는데 지상부는 0.226~0.237%, 지하부는 0.167~0.211%이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해저준설토만의 생육기반에 일반 흙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화를 추구하면서 식재가 아닌 파종에 의한 지표고정공법을 개발하였다. 즉, 피복률은 물론 엽장, 엽폭, 뿌리길이 등 생장에서 심층개량구(C와 D)는 물론 천층개량구(B)도 관행방법이나 다른 집약관리 시험지에 비해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C와 D 심층처리구는 수목식재기반까지 고려한 것이므로 잔디가 필요이상으로 생장한 것이다. 따라서 교목성 수목 식재를 고려하지 않고 지표고정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B 처리구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방조제 사면에 대한 지표고정은 해저준설토 위에 산지채취토를 15~30cm 복토하고 한국들잔디(Zoysia japonica)를 평떼나 줄떼붙이기로 시공되어 있는데 특히 줄떼붙이기 시공지의 경우 피복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고 잡초와의 전쟁을 하고 있으며, 더욱이 일부 구간에는 2종의 녹화매트류가 시험적 규모로 시공된 상태이나 1년도 못되어 완전히 고사하는 등 충분한 지표고정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일반 흙을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적은 양을 사용하면 훼손산지가 줄게 됨으로 자연을 보호하고 보전하는 효과와 가치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지대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관행적으로 시공하고 있는 현행의 지표고정공법은 바꾸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가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09. 국내기후자료 전라북도 군산. www. kma.go.kr.
  2. 김경남.박원규.남상용. 2003. 모래 토양에서 켄터키블루그라스.퍼레니얼라이그라스.톨훼스큐 및 한지형 혼합구 뗏장의 피복도.균일도.근계 형성력 및 잔디품질 비교. 한국잔디학회지 17(4):129-146.
  3. 김영선.김택수.함선규.코스관리부. 2008. 골프코스에서의 월동 전 크리핑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및 한국잔디의 부위별 양분함량. 한국잔디학회 22(2):141-148.
  4. 김우영. 2010. 서해안 바다매립지 골프장의 식재지반 토양환경과 잔디생육특성.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0.
  5. 김준범.양근모.최준수. 2008. 염해지에서 크리핑벤트그래스 10개 품종의 생육 비교. 한국잔디학회지 22(2):149-160.
  6. 김준범.양근모.최준수. 2009. 염해지에서 모세관수 차단층 설치 유무에 따른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류의 생육. 한국잔디학회지 23(1):35-44.
  7. 서경원. 2010. 새만금방조제 수목생육기반 조성 기술 개발. 월간산림과학정보 235:4-5.
  8. 안병구. 2009. 지반유형이 한지형 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2.
  9. 이경주.유용권.김기선. 1994. 한국잔디류의 내염성에 관한 연구 II. 여덟가지 한국잔디류의 종간 내염성 비교. 한국원예학회지 35 (2):178-182.
  10. 이임균.손요환. 2006. 질소와 인 시비가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의 낙엽 생산량 및 양분 동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9(3):205-212.
  11. 이임균.임종환.김춘식.김영걸. 2006. 계방산 장기생태시험지의 낙엽 생산량 및 낙엽 분해에 따른 동태. 한국생태학회지 29(6):585-591.
  12. 임용우.김기용.김맹중.성병렬.임영철.정의수.신홍균.김용선. 2003. 한국잔디 수집계통들 중에서 우수계통들의 생육특성 비교. 한국잔디학회지 17(2,3):75-80.
  13. 정용호. 2009a. 새만금 간척지, 매립토 확보가 어렵다는데. 월간 산림 9월호 p. 84-89.
  14. 정용호. 2009b. 새만금 묘목장 조성사업 활성화 방안. 새만금 묘목장 조성사업 심포지엄. p. 41-59.
  15. 정용호. 2010a. 새만금 노출간척지에 '묘포 조성' 가능한가(1). 월간 산림 1월호. p. 90-93.
  16. 정용호. 2010b. 새만금 노출간척지에 '묘포 조성' 가능한가(2). 월간 산림 2월호. p. 81-83.
  17. 주영규.김두환.이재필.모숙연. 1997. 한국잔디류(Zoysia Grass)의 육종현황. 한국잔디학회지 11(1):73-85.
  18. 한국농어촌공사. 2008. 새만금 사업개요. www. isaemangeum.co.kr.
  19. 한국잔디협회. 2009. 잔디의 종류별 환경적응성. www.ktia.or.kr.
  20. Watson, J. R. 1989. The USGA research committee activiti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utilization.problems and perspective of zoysiagrass in the USA. The 6th Interna- tional Turfgrass Research Conference, Tokyo, July 31-August 5, 437-440.
  21. 日本芝草學會. 1983. 新訂 芝生と綠化。ソフトサイエンスt社. pp. 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