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망개나무자생지의 식생특성과 활력도 분석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itality Analysis of the Berchemia berchemiaefolia Habitat

  • 박인환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 조광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Park, In-H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Kwang-J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2.25
  • 심사 : 2011.04.13
  • 발행 : 2011.04.30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and tree vitality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habitat to recommend basic information for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Totally 9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one plant community (Quercus serrata-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including 43 families 66genera 72 species 8 varieties and 3 forma was differentiated. Quercus serrata-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was subdivided into Typical subunit and Quercus mongolica subunit. Species showing the higer r-NCD value in the plant community were Berchemia berchemiaefolia, Quercus serrata, Lindera obtusiloba, Fraxinus rhynchophylla, Acer pseudo-sieboldianum,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In tree vitality result, Berchemia berchemiaefolia population containing 35 individual was estimated 3 monitoring categories; 1) General 2) Principal 3) Absolute. These categories frequencies arranged by the order General Monitoring (85.7%; 30 individual), Principal Monitoring (11.4%; 4 individual) and Absolute Monitoring (2.9%; 1 individua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준․김홍은․이창석. 1991. 망개나무림의 분포, 구조 및 유지기작. 한국생태학회지 14 (1):25-38.
  2. 김대신․김철수. 2006. 멸종위기야생식물 자주땅귀개의 분포특성. 임업시험연구․조사 보고서 제9호 pp.15-19.
  3. 김은정․김용식․신현탁․이명훈. 2010. 경상북도 망개나무 야생개체군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89-193.
  4.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5. 김종원․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6. 산림청. 2000. 산림과 임업기술편 제2권. 산림청.
  7. 송재모․이기영․이재선. 2009. 멸종위기식물 층층둥굴레의 자생지 생육환경 및 식생구조. 삼림과학연구 25(3):187-194.
  8. 송재모․이기영․김남영․이재선. 2010. 멸종위기 식물 왕제비꽃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한국임학회지 99(3):267-276.
  9. 유주한․조흥원․정성관․이철희. 2005.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112-118.
  10. 이명도. 2004. 부산지역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영로. 1996.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13. 이준혁. 1999. 망개나무림의 식생구조와 개체군 동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5. 이창복. 1979. 망개나무의 분포와 이의 보존을 위한 조사. 식물분류학회지 9(1,2):1-6.
  16. 의성군. 2001. 사촌 가로숲 보존 및 활용 기본계획. 의성군.
  17. 장진성․이흥수․박태윤․김휘. 2005. IUCN 적색목록 기준에 의한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식물종에 대한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28(5):305-320.
  18. 한성교. 2007. 경기도 및 충청북도의 신갈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현화자․강창훈․송국만․문명옥․송관필․김문홍. 2010.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환경 및 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3(4):350- 359.
  20.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법․시행령․시행규칙. 환경부.
  21. 환경부. 2007.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환경부.
  22. 환경부. 2010. 멸종위기종인 광릉요강꽃과 털복주머니란의 증식․복원 및 서식지보전기술개발. 환경부.
  23. 환경부. 2008. 멸종위기종인 섬시호의 종 보전생물학적 연구. 환경부.
  24. Kim, J. W., and Y. 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
  25. Westhoff, V., and E. van der Maarel.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R.H. Whittaker, 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r. W Junk b. v., The Hague.

피인용 문헌

  1. 주왕산국립공원 내 주산지 유역의 관속식물상 및 관리방안 vol.15, pp.1, 2011, https://doi.org/10.13087/kosert.2012.15.1.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