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구본호․구제동. 1995. 산사태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GIS 이용. 한국GIS학회지 3(1):81- 92.
-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http://map.ngii.go. kr). 2010. 수치지형도.
-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http://www.wamis. go.kr). 2002-2006. 강우자료.
- 김경수․송영석․조용찬․김원영․정교철. 2006. 지질조건에 따른 강우와 산사태의 특성분석. 대한지질공학회지 16(2):201-214.
- 김기흥․정혜련. 2009. 경남지역의 산사태와 강우량 상관 분석. 2009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 3366-3369.
- 김원영․이사로․김경수․채병곤. 1998. 지형특성에 따른 산사태 유형 및 취약성-연천․철원지역을 대상으로. 대한지질공학회지 8 (2):115-130.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흙토람)(http://asis. rda.go.kr). 1995. 토양도.
- 산림청(산림GIS포털)(http://fgis.forest.go.kr/fgis/Main.aspx). 2009. 식생도.
- 산림청. 2006. 2006년 산지토사재해 특성파악 및 영향인자 분석. pp.145.
-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 2005. 사면붕괴 감지 및 관측에 관한 연구(II). pp.105-207.
- 오경두․홍일표․전병호․안원식․이미영. 2006. GIS 기반 산사태 예측모형의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9(1):23-33.
- 우충식․윤호중․이창우․정용호. 2008.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지토사재해 영향인자 분석-강원도 평창군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1):14-22.
- 이명진․이사로․원중선. 2004.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연구(I)-산사태 발생 위치와 영향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 자원환경지질 37(4):425-436.
- 이창우. 2005. 자연재해와 산지토사재해에 의한 희생자 수의 변화경향. 한국임학회지 94 (2):252-257.
- 이천용․최경․이종학․이창우. 2002.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기법 개발. 산림과학논문집 65:1-10.
- 조남춘․최철웅․전성우․한경수. 2006. RS와 GI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성의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54-66.
- 채병곤. 2006. 산사태 현장조사 및 예측기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p.184.
- 함양군. 2002. 태풍루사가 남긴 교훈(safe.hygn.go. kr).
- 환경지질연구정보센터(http://ysgeo.yonsei.ac.kr/ map/map_ieg.html). 2006. 지질도.
- Campbell, R. H. 1975. Soil slips, Debris Flows, and Rainstorm in the Santana Monica Mountains and Vicinity, Southern California, US Geological Survey, Reston, VA, USGS Professional Paper 851, pp. 51.
- Crozier, M. J. 1997. The Climate-landslide Couple:A Southern.
- Giannecchini, R. 2005. Rainfall Triggering Soil Slip in the Southern Apuan Alps, Advances in Geoscience(2005), 2:21-24. https://doi.org/10.5194/adgeo-2-21-2005
- Griffiths, J. S., and Heam, G. J. 1990. Engineering Geomorphology. Bull. of engineering Geology 42:39-44. https://doi.org/10.1007/BF02592618
- Jacob, M., and O. Hungr. 2005. Debris-flow hazards and related phenomena Springer. pp. 275-290.
- Johnes, D. K., Brunsden, D., and Goudie, A. S. 1983. A preliminarily geomorphological assessment of part of the Karakoram highway. The Q. J. of Engineering Geology 16(4):331-355. https://doi.org/10.1144/GSL.QJEG.1983.016.04.10
Cited by
- MaxEnt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산사태 발생가능성 예측 vol.22, pp.1, 2011, https://doi.org/10.14249/eia.2013.22.1.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