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갈나무림의 식생구조와 생태적 복원모델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 이미정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 송호경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Lee, Mi-Jeong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ong, Hokyung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11.08
  • 심사 : 2011.02.15
  • 발행 : 2011.02.28

초록

The composition of species for each community of Quercus by vegetation and soil survey,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by TWINSPA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were used and analyzed during the period of 2000~2004 for Quercus mongolica forest. And the resulting suggestions for a subsequent planting model for forest are as follows.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had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for Quercus mongolica followed sequentially by Acer pseudosieboldianum, Acer mono,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ilia amurensis, Fraxinus rhynchophylla, and Fraxinus sieboldiana. As a result of suggesting a planting modeling for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in the areas with the warmth index of both $60.90{\sim}79.79^{\circ}C$ and $53.96{\sim}64.82^{\circ}C$, Quercus mongolica was absolutely dominant in case of the subtree layer for the accompaniment species of distribution in the planting modeling by tree layer in the two areas depending on the warmth index, while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shown in case of the lower tree layer. While Acer pseudosieboldianum, Tilia amurensis, Fraxinus rhynchophylla, Sorbus alnifolia, Acer mono, etc. were appeared in the subtree layer for the areas with the warmth index of $60.90{\sim}79.79^{\circ}C$. Cornus controversa, Quercus mongolica, Fraxinus sieboldiana, etc. were many appeared in the subtree layer for the areas with the warmth index of $53.96{\sim}64.82^{\circ}C$. And, when we made ecological Quercus mongolica community, subtree layer planting is different by warmth index.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준․최철수. 2000. 신갈나무군락의 Gap내 재생과정. 한국생태학회지 23(1):1-8.
  2. 성덕․김윤동. 1995. 점봉산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er)림의 갱신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4(4):447-455.
  3. 김정언․길봉섭. 2000. 한국의 신갈나무 숲. 원광대학교 출판국. pp.511.
  4. 김현숙. 2010. 덕유산국립공원 산림 식생의 생태적 특성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207.
  5. 박관수. 1999. 충주지역의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지상부 및 토양 중 탄소 고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8(1):93-100.
  6. 송종석․송승달․박재홍․서봉보․정화숙․노광수․김인선. 1995. 서열법과 분류법에 의한 소백산의 신갈나무군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8(1):63-87.
  7. 송칠영․이수욱. 1996.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천연림 생태계의 현존량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3);443-452.
  8. 송칠영․장관순․박관수․이승우. 1997.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의 탄소고정량 분석. 한국임학회지 86(1):35-45.
  9. 송호경. 1990. DCCA에 의한 신갈나무군락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충남대학교 환경연구보고 8:1-5.
  10. 송호경․장규관. 1997. 소나무림과 신갈나무군락의 흉고직경급 분석과 천이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6(2):223-232.
  11. 송호경․장규관․김성덕. 1995. TWINSPAN과 DCCA에 의한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84(3):299-305.
  12. 송호경․장규관․오동훈. 1998.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462- 468.
  13. 송호경․이미정․이선․김효정․지윤의․권오원. 2003. 신갈나무림의 식생구조와 생태적지. 한국임학회지 92(4):409-420.
  14. 이경재 외 14인. 1995. 도시 및 공업단지 주변의 green복원 기술 개발(III). 환경부.
  15. 이경재․한봉호. 1998. 부천시 산림지역 아까시나무림 식물군집구조를 고려한 식생관리 모델. 한국조경학회지 26(2):28-37.
  16. 이미정. 2007. 우리나라 주요 참나무림의 군락구조분석 및 생태적 식재모델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73.
  17. 이우철․백원기․김문기. 1994. 설악산 신갈나무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7(3):319-331.
  18. 이호준․이재석․변두원. 1994. 명지산 신갈나무군락의 군락분류와 식생패턴. 한국생태학회지 17(2):185-201.
  19. 이호준․전영문․김창호. 1998. 월악산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림의 종조성과 토양환경. 환경생물학회지 16(2):169-180.
  20. 장규관. 1996. 강원도 신갈나무군락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91.
  21. 장규관․송호경․김성덕. 1997. 식물사회학적방법과 TWINSPAN에 의한 강원도 신갈나무군락의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6(2):214-222.
  22. 정태현․이우철. 1965. 한국의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소론.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0:329- 434.
  23. 최선덕․이돈구․마상규. 1998. 중왕산 지역 신갈나무림의 임분형 구분 및 육림작업에 적절한 미래목 본수의 결정. 한국임학회지 87(4):631-641.
  24.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 Ecology 32: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5. Hill, M. O. 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pp.50.
  26. Walter, H. 1973. Vegetation of the Earth:In Relation to climate and the Eco-physiological Condition. Springer-Verlag, New York. pp.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