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보라(2009). 집단치료놀이가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혜련(2000).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 및 사고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소영(2003).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광주드림(2008). 다문화가정 '학교 밖 자녀들: 10명 중 7명 고등학교 미진학. 2008. 11. 10.
- 구수연(2010). 보육교사들이 인식하는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특성.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119-146.
- 구효진(2009).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사회-정서 발달수준과 공격성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9(3), 1-21.
- 권순희(2006). 다문화가정을 위한 언어교육정책 모색-호주의 언어교육 정책 검토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7, 223-251.
- 김보라(2008). 국제결혼이민 실태와 이민자 여성의 한국사회 적응.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수정(2007). 가정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자녀관계 및 유아의 놀이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오남(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 김정년(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기질이 자녀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가정과 농촌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경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숙(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지위 및 놀이성.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현선(2006). 국민, 半국민, 非국민-한국 국민형성의 원리와 과정. 사회연구, 12, 77-106.
- 김혜영(2010). 구조화된 집단놀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혜영(2010). 구조화된 집단놀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미경.엄정애(2007).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 박성연.이숙(1990).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41-156.
- 박윤자(2005).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놀이성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법무부(2011).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서울: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보건복지부(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 서울: 다문화 가족과.
- 백미옥(2007).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생활문화와 한국어의 통합 교육 연구: 초급 단계 학습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현.이승은(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 선우현.김하정(2009).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아동교육, 18(4), 143-155.
- 송요현.현온강(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유아-어머니간 놀이상호작용: 동남아시아 결혼이민자가정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2), 35-52.
- 송유민(2010). 전통놀이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가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세계일보(2007). 다민족사회 코리아 리포트: 2050년엔 외국인 400만 명 10명 중 한 명 꼴. 2007. 4. 27.
- 신은수.강의정(2003). 사회극 놀이에서의 가작화 수준에 따른 의사소통전략 연구. 사회과학연구, 9, 147-170.
- 안산신문(2007). 이주여성 고민 자녀양육-국적-가정폭력 많아. 2007. 1. 31.
- 양옥경.김연수.이방연(2007). 서울거주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원서비스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도시연구, 8(2), 229-251.
- 오가실.김희순.원대영.김태임.전화연.이인혜 외(2006). 입원 아동의 자연적 놀이활동. 아동간호학회지, 12(4), 486-494.
- 우현경.정현심.최나야.이순형..이강이(2009).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 23-36.
- 유영의(2006).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239-257.
- 유애열(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의 개입에 관한 관찰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윤형숙(2004).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서울: 한울.
- 이경연(2007). 문화교육 겸용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승은.서현(2008).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들의 교육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9(4), 147-166.
- 이영주(2008).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에 따른 적응요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3(1), 79-101.
- 이지혜(2007).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관계 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혜경(2010).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및 정서능력과 사회적유능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혜련.이귀옥(2005). 아동의 초기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205-216.
- 임윤주(2010).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영숙.조혜정(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유아교육학회지, 10(1), 251-268.
-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이 영아의 초기 어휘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6(4), 227-241.
- 장은정(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귀자(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과 통합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민영.정정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유아교육연구, 30(3), 141-168.
- 정예리.이숙희(2010). 거주지역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적 힘의 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 63, 79-108.
- 정정희.정민영.김민정.허경아.홍희주(2010).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의사소통능력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1, 23-44.
- 주영희(1983). 유아의 언어 및 사고능력의 연구. 유아교육연구, 4(1), 79-96.
- 조유나.홍지은(2010). 영아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에 대한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의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64, 99-117.
- 최나야.우현경.정현심.박혜준.이순형(2009).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 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255-268.
- 최주연(2001). 극놀이 유형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통계청(2011). 2010년 혼인이혼통계 보도자료. 대전: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8). 다문화가족의 실태조사. 보건복지포럼, 151, 29-52.
-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7).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 한국사회의 수용현실과 정책과제(07-19-0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한석실.박주희(2007). 유아의 성, 놀이성, 기질 및 발달수준과 사회구성놀이 질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209-230.
- 하영례(2001). 놀이 연구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다학문접근이 주는 시사점 고찰. 놀이치료연구, 5(2), 95-110.
- 한충효(1984). 초기환경의 효과: 모자관계의 상호작용. 인문학 연구, 19(1), 175-190.
- 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언어치료연구, 19(1), 193-209.
- 황상심.정옥란(2008).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 특성관련 상관연구. 언어치료연구, 17(1), 81-102.
- 황윤세(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및 교사-유아 관계성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11-228.
- 행정안전부(2010). 2010년 지방자치단체 외국계주민 현황조사결과. 서울: 자치행정과.
- 毆陽俊林(1999). 人童語義習得與認知發展硏究述略. 語言文字應用, 30(2), 47-50.
- 夏瑞雪.周愛保(2008). 回漢藏3-6歲幼人語言發展的差易與影響因素. 學前敎育硏究, 158(2), 35-60
- Aquilar, T. E.(1985). Social and enviornmental barriers to playfulness. In J. L. Frost & S. Sunderine (Eds.), When Children play (pp. 73-76). Wheaton, England: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 Barnett, L. A.(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 52-74.
- Bruner, J.(1986). Play, thought and language. Quarterly Review of Education, 16(1), 77-83.
- Carew, J.(1980). Experience and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in young children at home and in daycare. Monograph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5, 6-7.
- Choi, S.(2000). Caregiver input in English and Korean : use of nouns and verbs in book-reading and toyplay contexts. Journal of Child Language, 27, 36-96.
- Elardo, R., Bradley, R., & Caldwell, B. M.(1977).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language development at age three. Child Development. 48, 595-603. https://doi.org/10.2307/1128658
- Farver, J. A.(1992). Communicating shared meaning in social pretend pla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4), 501-516.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047-3
- Giffin, H.(1984). The coordination of meaning in creation of a shared make-believe reality. In J. Bretherton (Ed.), Symbolic play: The development of social understanding (pp. 73-100). Orlando, FL: Academid Press.
- Hymes, D.(1974). Foundation in sociolinguistics.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Howes, C.(1983). Preschool children's peer relations: Issue on sociometric assessment. Merrill-Palmer Quarterly, 29, 237-260.
- Howes, C., & Matheson, C. C.(1992). Sequence in the development of competent play with peer: Social and social pretend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28(5), 961-974. https://doi.org/10.1037/0012-1649.28.5.961
- Lieberman, J. N.(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 219-224. https://doi.org/10.1080/00221325.1965.10533661
- Mccabe, P. L., & Meller, P. J.(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cial competence: How language impairment affects social growth. Psychological in the Schools, 41(3), 313-321. https://doi.org/10.1002/pits.10161
- Owens, R. E.(2005). Language Development: Pearson Education, Inc. 언어발달. 이승복․이희란(역)(2005). 서울: 시그마프레스
- Singer, D. G., & Rummo, J.(1973). Identical creativity and behavior style in kindergarten aged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8(2), 154-161. https://doi.org/10.1037/h0034155
- Smilansky, S.(1968).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preschool children. NY: Wiley.
- Tamis-LeMonda, C. S., & Bornstein(1989). Habituation and maternal encouragement of attention in infancy as predictors of toddler language, play, and representation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60, 738-751. https://doi.org/10.2307/1130739
- Udwin, O., & Shmukler, D.(1981).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economics, and home background factors on children's ability to engage in imaginative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17(1), 66-72. https://doi.org/10.1037/0012-1649.17.1.66
Cited by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4- to 5- 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Communication Skill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vol.53, pp.5, 2015, https://doi.org/10.6115/fer.2015.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