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 A Comparis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 및 의사소통능력 :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 원혜준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11.09.15
  • Accepted : 2011.12.01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communication ab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family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A total of 154 pairs consisting of 77 pair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77 pairs of children and mothers from general families along with 76 teachers in charge of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hildren's playful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their children's playful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levels differed according to family type. Therefore, to underst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gene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ach child's environ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보라(2009). 집단치료놀이가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혜련(2000).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 및 사고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소영(2003).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광주드림(2008). 다문화가정 '학교 밖 자녀들: 10명 중 7명 고등학교 미진학. 2008. 11. 10.
  5. 구수연(2010). 보육교사들이 인식하는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특성.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119-146.
  6. 구효진(2009). 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사회-정서 발달수준과 공격성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9(3), 1-21.
  7. 권순희(2006). 다문화가정을 위한 언어교육정책 모색-호주의 언어교육 정책 검토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27, 223-251.
  8. 김보라(2008). 국제결혼이민 실태와 이민자 여성의 한국사회 적응.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수정(2007). 가정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자녀관계 및 유아의 놀이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오남(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11. 김정년(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기질이 자녀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가정과 농촌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경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숙(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지위 및 놀이성.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선(2006). 국민, 半국민, 非국민-한국 국민형성의 원리와 과정. 사회연구, 12, 77-106.
  14. 김혜영(2010). 구조화된 집단놀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혜영(2010). 구조화된 집단놀이 활동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미경.엄정애(2007).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17. 박성연.이숙(1990).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41-156.
  18. 박윤자(2005).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놀이성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법무부(2011).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서울: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 보건복지부(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 서울: 다문화 가족과.
  21. 백미옥(2007).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생활문화와 한국어의 통합 교육 연구: 초급 단계 학습자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서현.이승은(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23. 선우현.김하정(2009).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아동교육, 18(4), 143-155.
  24. 송요현.현온강(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유아-어머니간 놀이상호작용: 동남아시아 결혼이민자가정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2), 35-52.
  25. 송유민(2010). 전통놀이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가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세계일보(2007). 다민족사회 코리아 리포트: 2050년엔 외국인 400만 명 10명 중 한 명 꼴. 2007. 4. 27.
  27. 신은수.강의정(2003). 사회극 놀이에서의 가작화 수준에 따른 의사소통전략 연구. 사회과학연구, 9, 147-170.
  28. 안산신문(2007). 이주여성 고민 자녀양육-국적-가정폭력 많아. 2007. 1. 31.
  29. 양옥경.김연수.이방연(2007). 서울거주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원서비스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도시연구, 8(2), 229-251.
  30. 오가실.김희순.원대영.김태임.전화연.이인혜 외(2006). 입원 아동의 자연적 놀이활동. 아동간호학회지, 12(4), 486-494.
  31. 우현경.정현심.최나야.이순형..이강이(2009).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 23-36.
  32. 유영의(2006).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239-257.
  33. 유애열(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의 개입에 관한 관찰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4. 윤형숙(2004).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서울: 한울.
  35. 이경연(2007). 문화교육 겸용 초급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승은.서현(2008). 결혼이민자 가정 유아들의 교육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9(4), 147-166.
  37. 이영주(2008).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에 따른 적응요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3(1), 79-101.
  38. 이지혜(2007).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관계 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혜경(2010).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및 정서능력과 사회적유능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혜련.이귀옥(2005). 아동의 초기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205-216.
  41. 임윤주(2010).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장영숙.조혜정(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유아교육학회지, 10(1), 251-268.
  43. 장유경.이근영.곽금주.성현란(2003).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이 영아의 초기 어휘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6(4), 227-241.
  44. 장은정(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귀자(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응과 통합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민영.정정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유아교육연구, 30(3), 141-168.
  47. 정예리.이숙희(2010). 거주지역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적 힘의 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 63, 79-108.
  48. 정정희.정민영.김민정.허경아.홍희주(2010).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의사소통능력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1, 23-44.
  49. 주영희(1983). 유아의 언어 및 사고능력의 연구. 유아교육연구, 4(1), 79-96.
  50. 조유나.홍지은(2010). 영아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에 대한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의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64, 99-117.
  51. 최나야.우현경.정현심.박혜준.이순형(2009).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 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255-268.
  52. 최주연(2001). 극놀이 유형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통계청(2011). 2010년 혼인이혼통계 보도자료. 대전: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54.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8). 다문화가족의 실태조사. 보건복지포럼, 151, 29-52.
  55.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7).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 한국사회의 수용현실과 정책과제(07-19-0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6. 한석실.박주희(2007). 유아의 성, 놀이성, 기질 및 발달수준과 사회구성놀이 질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209-230.
  57. 하영례(2001). 놀이 연구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다학문접근이 주는 시사점 고찰. 놀이치료연구, 5(2), 95-110.
  58. 한충효(1984). 초기환경의 효과: 모자관계의 상호작용. 인문학 연구, 19(1), 175-190.
  59. 황상심(2010). 다문화가정 유아의 초기 표현어휘 발달과 성차. 언어치료연구, 19(1), 193-209.
  60. 황상심.정옥란(2008).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 특성관련 상관연구. 언어치료연구, 17(1), 81-102.
  61. 황윤세(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및 교사-유아 관계성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11-228.
  62. 행정안전부(2010). 2010년 지방자치단체 외국계주민 현황조사결과. 서울: 자치행정과.
  63. 毆陽俊林(1999). 人童語義習得與認知發展硏究述略. 語言文字應用, 30(2), 47-50.
  64. 夏瑞雪.周愛保(2008). 回漢藏3-6歲幼人語言發展的差易與影響因素. 學前敎育硏究, 158(2), 35-60
  65. Aquilar, T. E.(1985). Social and enviornmental barriers to playfulness. In J. L. Frost & S. Sunderine (Eds.), When Children play (pp. 73-76). Wheaton, England: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66. Barnett, L. A.(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 52-74.
  67. Bruner, J.(1986). Play, thought and language. Quarterly Review of Education, 16(1), 77-83.
  68. Carew, J.(1980). Experience and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in young children at home and in daycare. Monograph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5, 6-7.
  69. Choi, S.(2000). Caregiver input in English and Korean : use of nouns and verbs in book-reading and toyplay contexts. Journal of Child Language, 27, 36-96.
  70. Elardo, R., Bradley, R., & Caldwell, B. M.(1977).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language development at age three. Child Development. 48, 595-603. https://doi.org/10.2307/1128658
  71. Farver, J. A.(1992). Communicating shared meaning in social pretend pla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4), 501-516.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047-3
  72. Giffin, H.(1984). The coordination of meaning in creation of a shared make-believe reality. In J. Bretherton (Ed.), Symbolic play: The development of social understanding (pp. 73-100). Orlando, FL: Academid Press.
  73. Hymes, D.(1974). Foundation in sociolinguistics.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74. Howes, C.(1983). Preschool children's peer relations: Issue on sociometric assessment. Merrill-Palmer Quarterly, 29, 237-260.
  75. Howes, C., & Matheson, C. C.(1992). Sequence in the development of competent play with peer: Social and social pretend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28(5), 961-974. https://doi.org/10.1037/0012-1649.28.5.961
  76. Lieberman, J. N.(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 219-224. https://doi.org/10.1080/00221325.1965.10533661
  77. Mccabe, P. L., & Meller, P. J.(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cial competence: How language impairment affects social growth. Psychological in the Schools, 41(3), 313-321. https://doi.org/10.1002/pits.10161
  78. Owens, R. E.(2005). Language Development: Pearson Education, Inc. 언어발달. 이승복․이희란(역)(2005). 서울: 시그마프레스
  79. Singer, D. G., & Rummo, J.(1973). Identical creativity and behavior style in kindergarten aged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8(2), 154-161. https://doi.org/10.1037/h0034155
  80. Smilansky, S.(1968).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preschool children. NY: Wiley.
  81. Tamis-LeMonda, C. S., & Bornstein(1989). Habituation and maternal encouragement of attention in infancy as predictors of toddler language, play, and representation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60, 738-751. https://doi.org/10.2307/1130739
  82. Udwin, O., & Shmukler, D.(1981).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economics, and home background factors on children's ability to engage in imaginative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17(1), 66-72. https://doi.org/10.1037/0012-1649.17.1.66

Cited by

  1.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4- to 5- Year-Old Children’s Playfulness, Communication Skills,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vol.53, pp.5, 2015, https://doi.org/10.6115/fer.2015.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