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ource Transfers between Mothers and Adult Children : Financial Resources and Caregiving

어머니와 성인 자녀간 자원이전 : 경제적 자원과 돌봄

  • 이윤정 (성동구건강가정지원센터) ;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1.07.15
  • Accepted : 2011.12.0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 of transfers between mothers and adult children,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in such transfers.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financial transfers and economic resources on financial transfers and grandchild caregiving between mothers and adult children. The sample of 3719 mothers with adult children was extracted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Mothers'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financial transfers between mothers and adult children. Mothers who have jobs and spouses are more likely to provide economic resource to their adult children than those who don't have. In terms of receiving economic resources from adult children, statistically meaningful factors are mothers' age, labor market participation,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household asset, and childr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Especially,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others and adult children is statistically powerful factor in financial transfers and caregiving.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02). 노부모의 금전이전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6(2), 53-64.
  2. 고선강(2005).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87-195.
  3. 고선강(2008). 치매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자원이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209-229.
  4. 구인회․손병돈(2005). 노후 소득보장의 사각지대: 1990년대 후반기의 변화 추이와 변화 요인. 한국노년학, 25(4), 35-52.
  5. 김경신(1993). 가족학의 이론적 관점과 적용. 대한가정학회지, 31(1), 137-151.
  6. 김순미․박미려(2008). 중,고령자가구의 경제적 자원 교류유형 및 교류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14.
  7. 김승권․김유경․조애저․김혜련․임성은(2009). 2009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8. 김지경(2008). 부모와의 경제적 교류여부 및 교류액의 결정 요인: 따로 사는 부모가구와 자녀가구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75-89.
  9. 김지경․송은경(2004). 부모와의 경제적 교류여부 및 교류액의 결정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75-89.
  10. 김지경․송현주(2008). 결혼으로 분가한 자녀와 부모 간의 사적소득이전. 사회보장연구, 24(3), 77-98.
  11. 김희삼(2008). 사적소득이전과 노후소득보장. 한국개발연구, 30(1), 71-130.
  12. 문숙재․김지연.(2006). 소득계층에 따른 경제적 자원교류 결정 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29-329.
  13. 배지희․노상경․권경숙(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410.
  14. 배진희(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29, 67-94.
  15. 백경숙․김영란(2006). 손자녀 양육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1(3), 109-128.
  16. 서문희(2005). 2004년 전국 보육, 교육 실태조사보고.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보고서.
  17. 성지미․차은영(2001). 한국노동패널 특집 : 세대간 동거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노동경제논집, 24(1), 97-124.
  18. 손병돈(1998). 가족간 소득이전 결정용인의 계층간 비교. 사회복지연구, 11(1), 79-106.
  19. 손병돈(1999). 부모 부양의 동기와 재분배 효과 : 가족간 소득 이전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9(2), 59-78.
  20. 심영숙․서영미(1999).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돌보기 실태. 노인간호학회지, 1(2), 203-212.
  21. 윤선영(2008). 사적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진재문(1999). 사회보장 이전과 사적 이전의 관계 분석. 사회복지연구, 13(1), 167-199.
  23. 통계청(2006). 경제활동인구조사. www.nso.go.kr
  24. 통계청(2008). 2008 사회조사 결과. www.nso.go.kr
  25. 통계청(2010). 2010 사회조사 결과. www.nso.go.kr
  26. 한경혜.홍진국(2000). 세대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가족과문화, 12(2), 55-80.
  27. 한지수․홍공숙(2007). 노부모와 동거하는 기혼여성자녀의 시장노동 참여 및 참여 시간 결정 요인: 기혼여성자녀와 노부모와의 시간자원이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6), 61-75.
  28. Cox, D.(1987). Motives for private income transfer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5(3), 508. https://doi.org/10.1086/261470
  29. McGarry, K., & Schoeni, R. F.(1995). Transfer behavior in the health and retirement study. Journal of Human Resources, 30(4), S184-S226. https://doi.org/10.2307/146283
  30. Secondi, G.(1997). Private monetary transfers in rural china: Are families altruistic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33(4), 487. https://doi.org/10.1080/00220389708422478

Cited by

  1. Intergenerational Transfers Between Parents and Their Multiple Adult Children in South Korea vol.15, pp.2, 2014, https://doi.org/10.6115/ijhe.2014.15.2.69
  2.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Unmarried Adult Children and Their Coresident Parents: Focus on Intergenerational Exchanges and Family Values vol.27, pp.3, 2016, https://doi.org/10.7856/kjcls.2016.27.3.387
  3. The Effect of Widowhood on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Korea: Do Parents’ Filial Expectations and Geographic Proximity to Children Matter? vol.31, pp.1, 2016, https://doi.org/10.1007/s10823-016-9280-6
  4. Intergenerational Contact and Financial Support Between Parents and Married Children : Children's Gender and Birth Order as Correlates vol.34, pp.2, 2016, https://doi.org/10.7466/JKHMA.2016.34.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