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es Composition of Juvenile and Immature Fishes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on the Coasts of Gujora and Geoje Bay on Geoje Island, Korea

거제도 구조라와 거제만 연안에서 소형 beam trawl로 채집된 치어와 미성의 종조성

  • Lee, Dae-Hee (College of Marine Science, Th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Byung-Gi (Department of Ocean Science, Inha University) ;
  • Kim, Tae-Jin (Susan Marine Fisheries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
  • Lee, So-Jeong (College of Marine Science, Th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Gwak, Woo-Seok (College of Marine Science, The Institute of Marine Indust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대희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
  • 김병기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 김태진 (부산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 ;
  • 이소정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
  • 곽우석 (국립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산업연구소)
  • Received : 2011.05.19
  • Accepted : 2011.06.2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Collections were made monthly using beam trawl from March 2005 to February 2006 in Gujora, and from June 2006 to May 2007 in Geoje Bay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of Juvenile and Immature Fishes of both coastal areas. Fishes collected in the sandy shore of Gujora were 6 orders, 14 families, 20 species, 224 individuals, and 534.9 g in total. Favonigobius gymnauchen, Trachioncephalus myops, Pseudoblennius percoides, Sagamia geneionema, Repomucenus beniteguri, and Pseudorhombus cinnamoneus were mainly collected. These 6 species accounted for 83.9% of total individuals and 47.1 % of total biomass. On the other hand, fishes collected in Geoje Bay were 4 orders, 8 families, 14 species, 1,406 individuals and 1,899.7 g in total. Acentrogobius pflaumii, Platyce phalusindicus, Chasmichthy dolichognathus, Acanthogobius flavimanus, Gymnogobius urotaenia, and Synechogobius hasta were mainly collected. These 6 species accounted for 97.7% of total individuals and 96% of total biomass. The greatest numbers and biomass of fishes were collected in summer and the lowest in winter. In Geoje Bay,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reached the peak in September and August, respectively. However, both species and individual numbers were highly fluctuated in Gujora.

거제도 구조라 사질 연안과 거제만 치어와 미성어의 종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조라에서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거제만에서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매월 1회 소형 빔트롤 (beam trawl)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구조라 사질 연안에서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6목 14과 20총, 224개체, 534.9 g 이었다. 주요 어종으로는 날개망둑, 황매퉁이, 돌팍망둑, 바닥문절, 날돛양태, 별넙치 등이 많이 채집되었으며, 이들 6종은 총 개체수의 83.9%를 차지하였다. 생체량에 있어서는 전체 생체량의 47.1%를 차지하였다. 거제만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4목 8과 14종, 1,406개체, 1,899.7 g 이었다. 주요 어종으로는 줄망둑, 양태, 점망둑, 문절망둑, 꾹저구, 풀망둑 등이 많이 채집되었으며, 이들 6종은 총 개체수의 97.7%를 차지하였다. 생체량에 있어서는 전체 생체량의 96%를 차지하였다. 구조라와 거제만에서 출현종수와 개체수는 비교적 고수온 시기에 증가하였고, 수온의 하강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거제만은 조사를 시작한 6월 이후 증가하든 양상을 보여 출현종수는 9월, 개체수는 8월에 최대를 기록하였다. 구조라의 출현종수와 개체수는 불규칙한 양상을 보였는데 특히 11월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가장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기, 곽우석. 2006. 거제도 지세포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8: 234-243.
  2. 김삼곤, 김종화, 박창두. 1999. 소형저인망에 채집된 진해만 저서어류의 분포. 수산해양교육연구, 11: 98-113.
  3. 김영호. 2006. 거제 연안에 분포하는 어류상. 여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pp.
  4. 김익수, 최 윤, 이충열,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5. 김준섭, 이대희, 한동훈, 박준수, 이헌종, 곽우석. 2010a. 경남 연안에 분포하는 잘피밭 (Zostera beds) 및 사질 연안(Sandy shore)의 어류 군집에 관한 연구-V 거제도 명사 잘피밭. 한국어류학회춘계발표, 제주, 5월 7-8 2010, pp. 31.
  6. 김준섭, 이대희, 한동훈, 박준수, 이헌종, 곽우석. 2010b. 경남 연안에 분포하는 잘피밭 (Zostera beds) 및 사질 연안(Sandy shore)의 어류 군집에 관한 연구-VI 거제도 명사사질 연안. 한국어류학회춘계발표, 제주, 5월 7-8 2010, pp. 32.
  7. 백근욱, 김재원, 허성회. 2004. 광양만에서 채집된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i)의 성숙과 산란. 한국수산학회지, 37: 226-231.
  8. 백혜자, 김형배, 이택열, 이병돈. 1985. 점망둑, Chasmichthy dolichognathus의 성성숙과 산란. 한국수산학회지, 18: 477-483.
  9. 이대희, 김태진, 최병언, 이소정, 곽우석. 2010. 거제도 거제만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2: 179-185.
  10. 이정식, 김재원, 강주찬, 신윤경, 진 평. 2000a.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생식주기 및 생식소 발달. 한국수산학회지, 33: 219-224.
  11. 이태원. 1989. 천수만 저서성어류군집의 계절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2: 1-8.
  12. 이태원. 1991. 아산만 저어류-I. 적정 채집 방법. 한국수산학회지, 24: 248-254.
  13. 이태원. 1993. 아산만 저어류-II. 종조성의 주야 및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26 : 438-445.
  14. 이태원. 1996.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I. 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29: 71-83.
  15. 이태원, 문형태, 황학빈, 허성회, 김대지. 2000b. 남해 안골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3: 439-447.
  16. 차병열. 1999. 거제도 연안해역의 어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11: 184-190.
  17.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한국동물명집 (곤충제외). 한국동물분류학회, 489pp.
  18. 허성회, 곽석남. 1997.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9: 202-220.
  19. Abookire, A.A., J.F. Piatt and M.D. Robards. 2000. Nearshore fish distributions in an Alaskan estuary in relation to stratification, temperature and salinity. Estuar. Coast. Shelf Sci., 51: 45-59. https://doi.org/10.1006/ecss.1999.0615
  20. Arntz, W.E. 1973. Periodicity of dielfood intake of cod Gadus morhua in the Kiel bay. Oikos, 15: 138-145.
  21. Fonds, M. 1973. Sand gobies in the Dutch Wandden Sea (Pomatoschistus gobiidae, Pisces), Neth. J. Sea Res., 6: 417-478. https://doi.org/10.1016/0077-7579(73)90001-X
  22. Gwak, W.S., T. Tanaka, O. Tominaga, T. Tsusaki, H. Fushimi and M. Tanaka. 2003. Field evaluation by RNA/DNA ratios on post-release nutritional status of released and wild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uveniles. J. Exp. Mar. Biol. Ecol., 293: 107-124. https://doi.org/10.1016/S0022-0981(03)00216-8
  23. Horinouchi, M., P. Tongnunui, K. Nanjyo, Y. Nakamura, M. Sano and H. Ogawa. 2009. Differences in fish assemblage structures between fragmented and continuous seagrass beds in Trang, southern Thailand. Fish Sci., 75: 1409-1416. https://doi.org/10.1007/s12562-009-0166-1
  24. Jaccard, P. 1908. Nouvelles researches sur la distribution florale. Bull. Soc. Vaudoise Sci. Nat., 44: 223-270.
  25. Kimoto, K., K. Fujita, M. Noguchi and Y. Koshiishi. 2001. Development of the two meter beam trawl (NRIFE II type) and estimate of the catch efficiency for juvenile Japanese flounder. Bull. Natl. Res. Int. Fish. Eng., 22: 67-90.
  26. Lie, H.J. and C.H. Cho. 2002.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circulation and hydrography of the East China Sea. Fish. Oceanogr., 11: 318-328. https://doi.org/10.1046/j.1365-2419.2002.00215.x
  27. Nakabo, T.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1749pp.
  28. Nakamura, Y. 2010. Patterns in fish response to seagrass bed loss at the southern Ryukyu Islands, Japan. Mar. Biol., 157: 2397-2406. https://doi.org/10.1007/s00227-010-1504-7
  29.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ely & Sons, Inc., Canada, 601pp.
  30. Shannon, C.E. and W. Wi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sis Press, Urbana, 177pp.
  31. Tanaka, Y., H. Yamaguchi, O. Tominaga, T. Tsusaki and M. Tanaka. 2006. Relationships between release season and feeding performance of hatchery-reared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situ release experiment in coastal area of Wakasa Bay, Sea of Japan. J. Exp. Mar. Biol. Ecol., 330: 511-520. https://doi.org/10.1016/j.jembe.2005.09.022
  32. Tanaka, Y., H. Yamaguchi, W.S. Gwak, O. Tominaga, T. Tsusaki and M. Tanaka. 2005. Influence of mass release of hatchery- reared Japanese flounder on the feeding and growth of wild juveniles in a nursery ground in the Japan Sea. J. Exp. Mar. Biol. Ecol., 314: 137-147. https://doi.org/10.1016/j.jembe.2004.08.021
  33. Van der Veer, H.W., L. Phil and M.J.N. Bergman. 1990. Recruitment mechanisms in North Sea plaice Pleuronectes platessa. Mar. Ecol. Prog. Ser., 64: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