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ribulus terrestris on Model of Allergic Rhinitis

백질여(白蒺藜)가 알레르기 비염 유발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 주경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김윤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Received : 2011.07.07
  • Accepted : 2011.08.18
  • Published : 2011.08.25

Abstract

Background & Objectives : Allergic rhinitis is an inflammation or irritation of the mucous membranes that line the nose. Common symptoms include sneezing, a stuffy or runny nose, itchy eyes, nose and throat, and watery eyes. We aimed to determine therapeutic effects of Tribulus terrestris by observing changes of total IgE level and the scratching or rubbing around the nose behavior. Materials and Methods : Fifteen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AR group(allergic rhinitis elicitated), TT group(which ate herbal medicine) and AH group(which ate antihistamine). Allergic rhinitis was induced in the three groups by intraperitoneal and intranasal sensitization with 0.1% ovalbumin solution. Then Tribulus terrestris was orally administered only to the TT group of 28days, while the AH group was given antihistamine. We observed changes of total IgE level and the scratching or rubbing around the nose behavior. We used Kruskal-Wallis test statistically(p<0.05). Results : 1. Tribulus terrestri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IgE level on the serum of the rat model. 2. Tribulus terrestri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scratching or rubbing around the nose behaviors of the rat model.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ribulus terrestris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process of allergic rhinitis and it can be used in relieving symptoms of allergic rhinitis.

Keywords

References

  1. 김윤범, 남혜정, 박외숙, 김희정, 김규석, 차재훈. 蔓荊子, 柴胡의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한 효과.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6;19(2):40-9.
  2. 정의령, 김윤범. 석창포가 알레르기성 비염 유발동물 모델이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8;21(1):16-25.
  3. 조용주, 채병윤. 溫衛湯이 항알레르기 및 해열소염 진통효과에 미치는 영향. 동의학회지.1997;1(1):16-30, 97.
  4. 박진구, 채병윤. 麗澤通氣湯과 麗澤通氣湯 가미방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학회지. 2001;5(1):76-97.
  5. 최은성, 채병윤. 辛夷散과 辛夷散 가미방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학회지.1999;3(1):31-47.
  6. 이영규, 채병윤. 辛夷淸肺湯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0;13(2):165-81.
  7. 이태헌, 채병윤. 細辛散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동의학회지. 2000;4(1):70-85.
  8. 안찬근, 조준기, 홍석훈, 황충연. 溫肺湯이 알레르기 비염 유발 흰쥐 모델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3):29-42.
  9. 양태규, 김윤범, 채병윤. 葛根湯과 加味葛根湯의 항알레르기 및 소염 해열 진통 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2;15(1):76-95.
  10. 한희철, 채병윤. 川椒散과 加味川椒散의 항알레르기 효과 및 진통 해열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학회지. 2001;5(1):116-38.
  11. 송생엽, 심성용, 김경준. 小靑龍湯이 알레르기 비염 유발 백서의 과립구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4;17(1):75-81.
  12. 김종성, 심성용, 엄유식. 補中益氣湯이 알레르기 비염 유발 백서의 과립구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4;17(1):66-74.
  13. 정세연. 祛痰補肺湯이 알레르기 비염 모델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5;6(3):55-65.
  14. 구영희. 알레르기 비염 동물모델에서 按葉油가 비염치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4; 25(1):40-8.
  15. 유윤조, 이호섭. 白蒺藜 煎湯液의 自然發證高血 壓 白鼠 血壓에 미치는 影響. 한국전통의학지. 1999;9(1):192-9.
  16. 홍석. 白蒺藜가 白鼠의 血壓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내과학회지.1991;18(2):151-9.
  17. 강성용, 한종현, 김경요, 백승화. 白蒺藜가 局所腦血流量 및 腦軟膜動脈에 미치는 影響. 한국전통의학지. 1998;8(1):82-8.
  18. 이다홍, 유현희, 정수영외. 백질려 추출물이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치아우식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5):1148-53.
  19. Jun-Dong ZHANG, Yong-Bing CAO, Zheng XU외. In Vitro and in Vivo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Eight Steroid Saponins from Tribulus terrestris L. with Potent Activity against Fluconazole-Resistant Fungal. Biol. Pharm. Bull. 2005;28(12):2211-5. https://doi.org/10.1248/bpb.28.2211
  20. 倪尉, 周刚, 胡丽玲, 田丹丽, 姜晓茜, 欧阳昌汉. 刺蒺藜提取物抗炎, 耐缺氧及抗疲勞作用的實驗硏究. 時珍國醫國葯. 2007;18(11):2778-9.
  21. Salib RJ, Lau LC, Howarth PH. The novel use of the human nasal epithelial cell line RPMI 2650 as an in vitro model to study the influence of allergens and cytokines on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gene expression and protein release. Clin Exp Allergy 2005;35:811-9. https://doi.org/10.1111/j.1365-2222.2005.02258.x
  22. Chae BY. The Korean Medical Op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Jipmoondang. 1997:321-6.
  23. 김영기. 알레르기성 비염의 역학조사. 천식 및 알레르기 학회지. 1999;19(3):440-1.
  24. Skone DP. Definiton,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detection and diagnosis. J Allergy Clin Immunol. 2001;108:52-8. https://doi.org/10.1067/mai.2001.116574
  25. 이상철. 알레르기성 비염환자에서 비유발시험의 임상적 고찰. 인제의학. 1990;11(1):63-72.
  26. Gell P, Combs R. Classification of allergic reactions responsible for clinical hypersensitivity and disease. In clinical aspects of immunology. FA Davis Co. 1968:317.
  27.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면역 및 알레르기학 편찬 위원회. 면역 및 알레르기학. 전남대학교 출판국. 1999:19-29, 178-83.
  28. Saldanha JC, Gargiulo DL, Silva SS et al. A model of chronic IgE-mediated food allergy in ovalbumin-sensitized mice. Braz. J Med Biol Res. 2004;37(6):809-16. https://doi.org/10.1590/S0100-879X2004000600005
  29. 나기상, 전우진, 김용민. 백서에서 실험적으로 유발된 알레르기성 비염. 충남의대잡지. 1999; 26(2):137-43.
  30. 肖培根. 新編中葯志. 北京 : 科學出版社. 2001.
  31. 李瑞海, 李君玲, 楊松松. 蒺藜總皂苷提取工艺硏究. 中國實驗方劑學雜誌. 2006;12(8):1-2.
  32. Sur DK, Scandale S.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m Fam Physician. 2010;81:1440-6.
  33. Min YG. The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0;2:65-76. https://doi.org/10.4168/aair.2010.2.2.65
  34. Simons FER. H1-receptor antagonist: safety issues. Ann Allergy Asthma Immunol. 1999; 83:481-8. https://doi.org/10.1016/S1081-1206(10)62855-4

Cited by

  1. 퇴예명목(退翳明目) 약재에 관한 문헌적 고찰과 활용연구 vol.34, pp.3, 2011, https://doi.org/10.6114/jkood.2021.34.3.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