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이용-교통 통합적 분석을 통한 도로 기반 도시 형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vement of Street-based Urban Morphology Using Analysis of Integrated Land Use-Transportation

  • 주용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융합도시연구센터)
  • 투고 : 2011.04.12
  • 심사 : 2011.06.09
  • 발행 : 2011.06.30

초록

도시의 공간구조는 교통로와 같은 도시 인프라의 정비에 따라 상당한 영향과 변화를 나타낸다. 이에 도시의 발전 과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도로 접근성과 도시 인프라 수준 변화를 동시에 고려하여 공간적 분포 및 패턴을 규명하기 위한 계량적 분석 방법론의 정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십 년 간 급격한 인구증가와 도시화 지역의 급속한 팽창이 이루어진 서울을 중심으로 도시 지역의 인구 및 공간 구조와 교통 인프라 중 도로의 분포 패턴을 고려한 시공간 도시 형태(Urban morphology)를 상호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시 공간구조와 교통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시계열로 분석하기 위해 지난 70여 년간의 지형도와 Landsat MSS, TM 등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공간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특히, 가로체계 변화 분석은 가시 접근성과 공간 인지를 통해 위계적 공간 구조를 파악하는 공간구문이론을 사용하였으며, IPA 분석을 통해 권역별 도시 공간 형태와 가로체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가시화 하였다. 토지이용 교통 통합 측면에서 공간 구문론의 접근은 교통의 다양한 현상이 도시 개발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 효과적인 공간계획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Urban space structure tends to have a significant change in accordance with maintenance of urban infrastructure such as a traffic route. For this reason, quantitative analysis has been needed to establish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 patterns by considering change of both road accessibility and urban infrastructure level, which can have the most pervasive influence in urban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spatio-temporal urban morphology through considering distribution patterns of road among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s, popula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metropolitan areas, focusing on Seoul where population growth and the size of urban area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For this, we firstly developed and constructed time-series GIS database by using satellite images and topographic maps of the last 70 years to analyze variables which affect urban growth and transportation.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transform of the system of the street by Space Syntax which is able to grasp hierarchical spatial structure through visibility of space and spatial cognition in terms of accessibility. What's more, we analyzed and visualized the relationship urban morphology and road according the regions of Seoul through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n terms of the integration land-use and transportation, Space Syntax approa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fficient urban plann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influence which various transportation phenomena has an effect on urban development patterns.

키워드

참고문헌

  1. Y. Asami, A. S. Kubat, K. Kitagawa and S. I. Iida, 2003 "Introducing the third dimension on Space Syntax: Application on the historical Istanbul," Proceedings. 4th Interntional Space Syntax Symposium, London.
  2. A. Chiaradia and others, 2009, Residential property Value Patterns in London, Ref015.
  3. A. C. Gatrell, 1983, Distance and Space: A Geographical Perspective, Clarend on Press, Oxford.
  4. B. Hillier,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B. Hillier, 1996,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B. Hillier, 2007, Space is the machine,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Cambridge.
  7. H. K. Kim and D. W. Sohn, 200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density of office buildings and urban street configuration," Cities, Vol. 19, No. 6, pp. 409-418. https://doi.org/10.1016/S0264-2751(02)00071-9
  8. H. Yu, J. Tosu, J. Long, 2009, Space syntax analysis of Foshan street network transformation in support historic area redevelopment, Yildiz Technical University.
  9. 권순일, 박수홍, 주용진, 2010, "GIS 도로 데이터의 일반화를 이용한 Axial map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4호, pp. 99-108.
  10. 김승제, 1998, "Space Syntax에 관한 기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4권 제3호, pp. 149-157.
  11. 김영욱, 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구조 속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 관련성 연구," 국토계획, 제38권 제4호, pp. 7-17.
  12. 김창석, 2005, 도시중심부연구, 보성각
  13. 박창수, 안종복, 2003, "Axwoman을 이용한 도로기능분류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8권 제5호, pp. 185-19.
  14. 오충원, 2004, "GIS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도시공간구조 분석," 지리학연구, 제38권, 제4호, pp. 573-583.
  15. 유경환, 이명훈, 김영욱, 2006. "서울시 균형발전사업이 도시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41권 제6호, pp. 51-63.
  16. 이우형, 김영욱, 2001, "서울의 도시공간구조와 기능의 변천에 관한 연구:space syntax를 이용한 공간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통권 제3호, pp. 41-57.
  17. 이석권, 김영욱, 이낙운, 2004, "도시의 성장과 변화에 따른 춘천시 도시 공간구조 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4권 제2호, pp. 579-582
  18. 장동국, 2004, "도시공간구조와 공간이용: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공간이용패턴 예측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 39권 제2호, pp. 35-46.
  19. 조지혜, 2003, 신도시 인접도시의 공간구조 변화의 특성과 원인에 관한 연구: 용인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전철민, 2006, "GIS 기반 Space Syntax를 이용한 대중교통 접근성",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8권 제3호, pp. 25-33.
  21. 한국토지공사, 2004, 신행정수도의 객관적 도시설계안 작성 및 평가와 공간적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Space Syntax 모델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