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er 3 방식에 의거한 지목별 온실가스 배출 실태평가

Evaluating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Cadastral Category based on Tier 3 Approach

  • 투고 : 2011.02.28
  • 심사 : 2011.06.09
  • 발행 : 2011.06.30

초록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식은 주로 제련소, 화력발전소 등 제조공정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통계에 의거하여 배출량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목이 토지이용패턴에 따라 다르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감시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리하여 사례 연구지역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여 토지이용의 관점에서 지목별 변화 추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정부통계에만 의존하는 간접추계 방식과 달리 지목 기반의 평가는 광역적인 이산화탄소 농도의 분포실태를 단시간에 제시하였다. 특히 대지 등 비자연적인 지목에서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반면, 임야 등 흡수원으로 특성을 지닌 지목은 전체적으로 배출원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지목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 실태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개발사업의 계획단계부터 배출원과 흡수원을 지정하고 관리함에 있어 지목에 의거 도로 건설 등 저탄소 도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발사업을 규제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표로서 설득력을 지닌 근거자료로 지목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지목 기반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시"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다는 데 있을 것이다.

It is usual for the carbon dioxide emission to be calculated by official energy consumption statistics produced from a number of specialized industrial process such as refinery, power plant etc.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potential of cadastral system in monitoring carbon dioxide emitted from land use. An empirical study for a cadastral categor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how a on-site measurement can be used to assist in estimating the carbon dioxide emission in terms of land use specific settings. The cadastral category based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carbon dioxide emission,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Government statistic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successively increasing trends in the human-related parcels such as housing land while decreasing trends of carbon dioxide in sink parcels(eg. for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dastral parcel could be used not only as a tool to monitor carbon dioxide emission, but also as an evidence to restrict initiation of development activities causing negative influence to carbon dioxide emission such as road construction. As a result, the research findings have established the new concept of "carbon dioxide emission monitoring based on cadastral category", proposed as an initial aim of this paper.

키워드

참고문헌

  1. A. Afshari and C. Reinhold, 2008, Deposition of fine and ultrafine particles on indoor surface materials, Journal of Indoor Built Environment, 17(3): 247-251. https://doi.org/10.1177/1420326X08091244
  2. B. D. Dent, 1993, Cartography: Thematic Map Design(3), Addison Wesley.
  3. IPCC,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2006.
  4. H. R. Linden, 1998, Are the IPCC Carbon Emission and Carbon Dioxide Stabilization Scenarios Realistic? Energy and Environment, 9(6): 647-658. https://doi.org/10.1177/0958305X9800900609
  5. S. K. Pandey and K. H. Kim, 2007, The Relative Performance of NDIR-based Sensors in the Near Real-time Analysis of $CO_2$ in Air, Journal of Sensors,(7): 1683-1696. https://doi.org/10.3390/s7091683
  6. B. Tutmez, Trend Analysis for the Projection of Energy-Related Carbon Dioxide Emissions, Energy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24(1-2): 200, 139-149. https://doi.org/10.1260/014459806779387994
  7. M. Utamura, 2005, Analytical model of carbon dioxide emission with energy payback effect. Energy and Environment, 30(11-12): 2073-2088.
  8. WDCGG(World Data Centre for Greenhouse Gases), 1999, WMO WDCGG data catalogue GAW data, 208pp.
  9. 강동환, 김성수, 권병혁, 김일규, 2008, 고흥만 인공습지의 토양유기탄소와 이산화탄소 변동 관측.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 58-67.
  10. 고종현, 2009, 대전지하철역사 실내공기질 관리에 관한 연구, 한밭대학교 석사논문.
  11. 기상청, 2008, 지구대기감시 보고서.
  12. 김용성, 이진원, 류권걸, 민윤희, 김덕희, 홍성호, 2008, 생활영역별 실내환경 공기질 조사연구,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보, 제17권, pp. 45-84.
  13. 김윤덕, 2006,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환경실태에 관한 측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제11호, pp. 289-296.
  14. 대구기상청, 2009, http://www.kma.go.kr, 2009. 10.
  15. 오동훈, 2008, 지구온난화 방지 대책으로의 도시확산규제 정책효과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16. 우제윤, 구지희, 김태훈, 홍창희, 2003, 친환경 건설을 위한 GIS 기반의 환경영향평가시스템 개발,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5권 제2호, pp. 33-53.
  17. 우제윤, 이철용, 김계현, 2008, 한강과 경기만 지역 GIS 기반 통합수질모의 시스템 개발,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0권 제4호, pp. 77-88.
  18. 유재일, 권효정, 이동호, 김준, 2008, 여름철 광릉 활엽수림의 기온,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 농도의 연직 분포 특성, 한국기상학회 봄 학술대회논문집.
  19. 이동근, 박찬, 2009,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식생 및 토양의 이산화탄소 저감잠재량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제12권 제2호, pp. 95-105.
  20. 장성기, 2004,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 화학물질정보, pp. 20-33.
  21. 전의찬, 김정식, 1997,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기타 온실기체 및 기상요소의 영향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대기환경학회.
  22. 최재천, 2003, 한반도 온실가스 배경농도의 특성 및 배경농도 변화에 미치는 요인 해석, 강원대학교 박사논문.
  23. 홍성언, 이동헌, 박수홍, 2004,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지목 불부합의 정도 측정, 한국GIS학회지, 제12권 제1호, pp. 43-56.
  24. 환경부, 2008,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