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품질경영시스템과 흡수역량이 전기전자분야 중소벤처 제조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Absorptive Capacity o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Manufacturing Company in Electric and Electronic Industry

  • 진성한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
  • 이철규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
  • 이동명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 Jin, Sung-Han (Department of Venture Technology & Management, Konkuk University) ;
  • Lee, Cheol-Gyu (Department of Venture Technology & Management, Konkuk University) ;
  • Lee, Dong-Myung (Department of Venture Technology & Management, Konkuk University)
  • 투고 : 2011.04.27
  • 심사 : 2011.06.13
  • 발행 : 2011.06.30

초록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core factors of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venture manufacturing company in electric and electronic industry and to do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lations with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systematic approach and to provide implications of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for the improvement factors for the domestic small and medium venture manufacturing company in electric and electronic industry. The report is analyz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was discussed in existing literature and the core factors of absorbing capability impact to the enterprise management perform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철모.최정일(2008), 조직의 흡수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경영학연구, 제37권 제3호, pp.515-535.
  2. 김계수(1999), 프로세스 품질경영 성과개선을 위한 6시그마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제27 권 제4호, pp.216-279.
  3. 김준태(2005), "다국적기업 한국 내 자회사의 흡수역량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18.
  4. 김재룡(2003), "품질경영혁신기법의 이행수준이 품질 원가관리와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강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38-142.
  5. 김진환(2000), "TQM 실행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5-76.
  6. 설동수(2006), "제조역량 및 제조유연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45.
  7. 송장준(2004), 중소기업 입장에서 바라본 대.중소기업 협력방안, 삼성경제연구소.
  8. 안민섭(2000), "품질리더십이 품질시스템을 통하여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1-75.
  9. 연찬호(2002),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2-117.
  10. 이갑수(2004), 대기업 입장에서 바라본 대.중소기업 협력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1. 이왕탁(1998), "종합적 품질경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8-123.
  12. 이명용(2008), "한.일기업의 TQM핵심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모형",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9-115.
  13. 진임근(2004), "품질인증 정착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98-101.
  1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06), 국내.외 과학기술혁신 정책동향(I), p.16.
  15. Lane, P.J., Koka, B.R. and Pathak, S.(2006), The Reification of Absorptive Capacity: A Critical Rev iew and Rejuvenation of the Construct, Academy Management Review. Vol.31 No.4, 833-863. https://doi.org/10.5465/AMR.2006.22527456
  16. Stogdill, R.M.(1974), Handbook of leadership, New York: The Fre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