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lculation of orthometric correction by observed gravity at Korean benchmark line

우리나라 수준노선에서 실측중력에 의한 정사보정량 계산

  • 김철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석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6.17
  • Accepted : 2011.06.2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t has been used not orthometric height but normal orthometric height for the official height in Korean benchmark because it has been used not observed gravity but normal gravity for the computation of orthometric cor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eight renewal method of Korean benchmark. For this purpose, we observed gravity by CG5 digital gravimeter in both the first benchmark line between Sokcho and Gangneung area and the second benchmark line between Soksa and Inje area. We calculated relative gravity value and orthometric correction in all benchmarks. So, the maximum orthometric correction shows -0.349mm in the first benchmark line, and the maximum orthometric correction shows -44.060mm in the second benchmark line. In conclusion, we can confirm that the orthometric correction based on observed gravity is necessary for more accurate official height computation in the Korean benchmark.

우리나라의 수준점은 성과계산에 있어서 실측중력에 의한 정사보정량 계산을 실시하지 않고 정규중력을 이용한 정사보정량 계산을 함으로써 정확한 정표고가 아닌 정규정표고를 사용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2등 수준노선을 대상으로 직접 중력을 관측하고 정사보정량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 수준점 체계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강원도 지역의 속초~강를구간의 1등수준 노선과 속사~인제구간의 2등 수준노선을 대상으로 CG5 디지털중력계를 이용하여 직접 중력관측을 실시하고 상대중력성과를 계산하였으며, 중력성과에 기초하여 정사보정량을 계산한 결과 1등 수준노선에서 최대 -0.349mm, 최대 -44.060mm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보다 정확한 수준점 체계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실측중력에 의한 정사보정량의 계산과 정사보정량을 고려한 정표고 산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원, 김철영, 이석배 (2011) 중력관측에 의한 속초-강릉구간의 부게이상 결정,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지형공간정보학회 , pp. 285-288.
  2. 김철영 (2010) 우리나라 수준점에서의 정사보정량을 고려한 정표고 산정, 석사학위논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3. 윤홍식, 조재명 (2004) 정사보정에 의한 정표고의 정밀계산, 한국측량학회지, 제22권 제2호, pp. 117-125.
  4. 이창경, 서용철, 전부남, 송창현 (2008) 우리나라 1등 수준망 조정, 한국측량학회지, 제26권 제1호, pp. 17-26.
  5. 최광선, 이정모 (1997) 강원도 한계령 지역의 정규고 보정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제18권 제6호, pp. 522-528.
  6. Forsberg, R., Tscherning, C.C., and Knudsen, P. (2003) An Overview Manual of the GRAVSOFT, Kort & Matrikelstyrelse.
  7. Heiskanen, W.A. and Moritz, H. (1967) Physical Geodesy, Freeman and Company, pp. 160-172.
  8. Hwang, C. and Hsiao Y.S. (2003) Orthometric Corrections from Leveling, Gravity, Density and Elevation data : a Case Study in Taiwan, Journal of Geodesy, No.77, pp. 279-291.
  9. M.L. Dennis1, W.E. Featherstone (2007) Evaluation of Orthometric and Related Height Systems Using a Simulated Mountain Gravity Field, Western Australian Centre for Geodesy,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GPO Box U1987, Perth, WA 6845,
  10. Nassar, M.M. (1977) Gravity Field and Levelled Heights in Canada, Geodesy and Geomatics Engineering Technical Report, No.41, pp. 54-72.
  11. Strang van Hees, G.L. (1992) Practical Formulas for The Computation of The Orthometric, Dynamic and Normal Heights, Zeitschrift fur Vermessungwesen, pp. 727-734.

Cited by

  1. Development and Inspection of the Ortho-Calc v1.0 Program for the Calculation of the Orthometric Correction vol.23, pp.3, 2015, https://doi.org/10.7319/kogsis.2015.23.3.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