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교)의 보육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

An Analysis of Pre-service Curriculum for Child Care Teacher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 투고 : 2011.04.04
  • 심사 : 2011.05.15
  • 발행 : 2011.06.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re-service curriculums for child care teacher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To accomplish this, a survey was implemented to gather the lists of courses from each department traini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 total of 225 department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across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37 different courses offered for child-care teacher licensure were different by school type (university or college) and major. Departments in colleges with specific major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offer courses that are also required for other certificates, including kindergarten teachers or social workers, so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may not have the opportunity to take cours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ir specific teaching needs or interests. Accordingly, there may be a restricted number of courses from which to choose during pre-service training period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everal poli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child-care teacher professionalism were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교육통계연보 2009. 서울: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
  2. 김선영, 신나리, 김향은. (2009). 보육. 아동학회지, 30(6), 267-279.
  3. 김은설, 안재진, 최윤경, 김의향, 양성은, 김문정. (2009). 보육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4. 김명순. (2010). 보육선진화를 위한 보육교사 및 시설장 전문성 향상에 관한 개선안 논의. 육아정책연구소.한국보육진흥원 정책세미나, 보육선진화를 위한 보육인력의 전문성 제고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 김의향, 신나리, 민미희, 이형민. (2010). 보육교사 2급자격 취득자의 교과목 이수 실태 조사. 유아교육연구, 30(5), 53-76.
  6. 김정신, 노은호. (2006). 전문직으로서의 보육교사와 자격제도.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5, 207-234.
  7. 김정신, 노은호, 이행숙, 정해은, 조희진. (2004). 보육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개발: DACUM법. 한국영유아보육학, 36, 147-175.
  8. 박은혜. (2006). 육아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유아교육과 보육의 협력 및 통합 방안에 대한 토론. 육아정책개발센터 창립 1주년 기념 세미나, 육아정책의 통합적 접근(I).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9. 보건복지부. (2010).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입법예고. (2009, 10. 16). 보건복지부 사이트, 자료 검색일 2011, 1. 20, 자료출처 http://www.mw.go.kr/front/jb/sjb0403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3&page=7&BOARD_ID=200&BOARD_FLAG=&CONT_SEQ=240587&SEARCHKEY=&SEARCHVALUE=영유아보육법&SCH_SILKUK_ID=&SCH_DEPT_ID=&DATA_GUBUN=&DATA_STATE=&CREATE_DATE1=&CREATE_DATE2=
  10. 보육자격관리사무국. (2009). 표준교과개요 개발 사업보고서. 서울: 보육자격관리사무국.
  11. 서영숙, 이미화, 임승렬, 조부경. (2005). 한국 유치원/보육교사 교육의 역사와 미래: 유아교육.보육의 질적 향상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사교육. 한국유아교육학회 창립 30주년 기념식 및 정기 학술대회, 한국 유아교육과 보육의 자리매김. 서울: 서울여자대학교 인사랑당.
  12. 송태민, 서문희, 박지혜, 최진원. (2005). 보육교사 자격증 발급 기준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13. 유희정, 문무경, 원명순, 김애리, 김홍희. (2007). 보육시설종사자 경력 및 호봉체계 개선방안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14. 윤건호. (2006). 개정된 영유아보육법 보육교사 자격관련 교과목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6(2), 1-19.
  15. 이미화, 유희정. (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6. 이미화, 장명림, 신나리, 김문정, 김현철. (2006). 육아지원인력의 수급전망과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17. 이미화, 임승렬, 조형숙, 유은영, 송신영. (2007). 육아지원인력 양성교육과정 모형 개발.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18. 이연승, 조미나. (2005).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41-67.
  19. 지성애. (2001). 영유아 보육시설장과 교사의 전문적자질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7, 138-168.
  20. 지성애, 최미숙. (2006). 보육교사 자격제도의 실시현황과 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 45, 27-52.
  21. 한국보육진흥원. (2010a). 국가자격증 교부현황 및 교부예정 현황: 보육교사 및 보육시설장.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인력개발국.
  22. 한국보육진흥원. (2010b). 보육교사 2급 자격 취득 교과목: 표준교과개요.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보육인력개발국.
  23. Bloom, P. J., & Sheer, M. (1992). The effect of leadership training on child care program qualit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 579-594.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112-C
  24. Howes, C. (1997). Children's experiences in center-based child care as a function of teacher background and adult-child ration. Merrill-Palmer Quarterly, 43, 404-425.
  25. Kagan, S., & Bowman, B. (1997).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 Issue and challenges. (Eds.) In Kagan, S., & Bowman, B. Leadership (pp. 3-8). Washington, DC: NAEYC.
  26.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2). Child care structure, process, outcom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ild care quality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Psychological Science, 13, 199-206. https://doi.org/10.1111/1467-9280.00438
  27. OECD. (2006). 유희정, 안재진옮김 (2008). OECD 국가들의 유아교육.보육 동향 연구[Starting strong II].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8. Wiseman, D. J., Cooner, D. D. & Knight, S. L. (1999). Becoming a teacher in a field-based setting. Florence. KY: Wadsworth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