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Grant : 농촌마을 어메니티 증진 및 환경개선 연구
Supported by : 농촌진흥청
References
- 국가인권위원회, 2006,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주거 실태조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 국토해양부. 대한주택공사, 1999, 서민주거안정과 주거기준 달성방안 연구.
- 김현중, 강동우, 이성우, 2010, 최저주거기준으로 측정한 농촌지역 고령자의 주거수준 변화와 지역간 격차, 1995-2005, 농촌계획, 16(1), 49-62.
- 대한주택공사, 2000, 주거빈공가구의 실태와 최저주거기준 달성방안, 성남, 대한주택공사.
- 박상현, 권종욱, 박두용, 1998, 근대집합주거에 적용된 시대적 대응성의 구현원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4(6), 85-94.
- 박환용, 2000, 효율적 주택공급을 위한 주거수준의 지표설정, 국토계획, 35(2), 59-70.
- 배순석, 2000, 최저 주거기준의 정책적 의의와 도입방안, 최저주거기준 도입과 공공부문의 역할 토론회 자료집, 19-57.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7, 복지주거기준 개발 및 정책 개발,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윤희정, 김태현, 신상현, 2009, 최저주거기준의 읍.면 지역 적용 및 문제점 분석 -양평군 및 가평군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4(4), 7-20.
- 이성재, 2007,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요인의 특성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3(12), 269-275.
- 임세희, 이봉주, 2009, 최저주거기준 미달 주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0(3), 243-265.
- 임영수, 이지은, 이명훈, 2009, 주택재개발 임대주택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4(7), 109-122.
- Burridge R., D. Ormandy, 1993, Unhealthy housing Research, Remedies and Reform, London: E&FN Spon.
Cited by
- A Study on Selection of Areas for Comprehensive Arrangement Project in Areas of Eup and Myeon vol.19, pp.4,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4.227
- 국토정보를 활용한 빈곤·취약지구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vol.46, pp.2, 2011, https://doi.org/10.22640/lxsiri.2016.46.2.5
- '최저주거기준'에 관한 국내 선행 연구경향 분석 vol.26, pp.4, 2011, https://doi.org/10.14774/jkiid.2017.26.4.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