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 중심의 교수역량에 근거한 교수행동 분석

Analysis of Teaching Behavior Based on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Competency

  • 투고 : 2011.04.20
  • 심사 : 2011.07.16
  • 발행 : 2011.09.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ing behavior based on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competency. For the study,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experiences and suggestions in developing of learner-centered teaching competency. In addition, interviews with 6 professors were conducted and their teaching design were analyzed. The keys of analysis were perspective of teaching behavior, self-monitoring of teaching behavior, consulting of teaching behavior based on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competen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professors recognized correla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But, there were some barriers co-work of learners in teaching behavior.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전(2009). 논문: 효과적인 철학, 논술, 윤리교육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모델연구(1): 말하기 듣기 형식의 방법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87, 313-338.
  2. 길양숙(2001). 대학교원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 및 지원활동의 조건, 교육학연구 39(2), 329-350.
  3. 김경희.정은희(2000). 대학수업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성숙의 장으로서의 대학수업, 교육이론과 실천 10(2), 81-122.
  4. 김기영(1996). 우리나라 경영교육의 교수방법에 관한 탐구, 한국경영학회 창립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34-50.
  5. 김창환(2007). 2007년 교육통계 논총: 제3회 교육 통계 자료를 활용한 연구논문 공모 수상작 모음집(RM2007-113),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6. 김회용(2007). 좋은 교사의 자질, 교육철학 38, 27-46.
  7. 노혜란.최미나(2004).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수역량 모델 개발, 직업능력개발연구 7(2), 1-28.
  8. 박성미(2011). 학습자 중시의 '강의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3(1), 13-22.
  9. 박의수(2006). 한국 대학교육의 본질적 문제와 개혁의 방향, 교육철학 35, 31-47.
  10. 박태수(2001). 교실수업 개선을 위한 학습자 중심 교육 방안, 제주대학교 백록논총 3(2), 91-113.
  11. 방정숙.정희진(2006).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교사의 이해와 실태형태, 학습자중심교육과교육연구 6(1), 297-321.
  12. 석주연(2007).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문법 제시방안 연구: 두 모델 적용에의 개선안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45, 379-409.
  13. 손승남(2005). 교사직에서의 능력개발 - 한국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0(1), 1-20.
  14. 양은하(2010).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양은하.정재삼(2010).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변화필요도 분석, 교육공학연구 26(2), 25-52.
  16. 염민호.정나래(2010). 대학'교수-학습지원센터'경영사례연구: C대학교 K센터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8(1), 103-129.
  17. 오은주(2009).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역량 탐구, 사고개발 5(2), 107-134.
  18. 오인탁(2004). 대학의 정신과 이념회복, 대학교육 2004, 1(2), 9-22.
  19. 유택열(2002). 수업 연구와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0. 이상오(2006). 대학의 본질과 대학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 고찰, 교육철학 35, 7-29.
  21. 이성흠(2001). 교수설계이론에 근거한 대학 강의평가 도구개발, 교육공학연구 17(1), 81-108.
  22. 이옥주.김주현(2009). 교육수요자의 관점에서 본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교과과정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58, 327-350.
  23. 이은화(2006). 대학 수업평가의 개념모형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18(3), 314-328.
  24. 임은미.박승민.장선숙(2007).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 조절과정 분석-과다사용 변화집단과 지속집단의 체험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8(3), 819-838.
  25. 임우섭(2007). 대학교수의 핵심 교육역량 모델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임우섭.김용주(2007). 대학교수의 핵심 강의역량 분석, 대학행정교육연구 25(4), 414-433.
  27. 정미경(2006). 교원양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교육과정연구 25(3), 247-264.
  28. 허옥련(2006). 온라인 커뮤니티를 보조로 이용하는 환경이 대학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 계원논총 11, 441-451.
  29. Bloom, B. S.(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N.Y. McGraw hill Book Co.
  30. Borich(2000). Effective Teaching Methods(4th ed.), N.J.: Prentice-Hall Inc.
  31. Bruce, J. & Marsha, W.(1972), Models of Teach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ill, Inc.
  32. Cameron, J. & Pierce, D. P.(1994). "Reinforcement, reward, and intrinsic motivation: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64, 363-367. https://doi.org/10.3102/00346543064003363
  33. Guba, E. G., & Lincoln, Y. S.(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4. Knowles, M.(1999). Definite Classics on Adult Education, New York : Association Press.
  35. Lather(1986). "Issues of validity in openly ideological research", Interchange Vol.17, No.4, 63-84. https://doi.org/10.1007/BF01807017
  36. Lincoln & Guba(1985), Naturalistic Inquiry.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37. Masqsud, M. & Pillai, C. M.(1991). "Effect of self-scoring on subsequent performances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Educational Research, Vol.33, 151-154. https://doi.org/10.1080/0013188910330208
  38. Merrian, S. B. & Cafarella, R. S.(1999). Learning in Adulthood: A Comprehensive Guide, San Francisco: Jossey-Bass.
  39. Morgan, C. & Glyn Morris(1999). Good Teaching and Learning: Pupils and Teachers Speak, Buckingham.
  40.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41. Van Manen(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2. Zemelman, S., H. & Daniels, A. H.(2005). Best Practice: Today's Standards for Reaching and Learning in America's Schools, Portmo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