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ultivativation of a Fisheries Expert to revitalize Transfer of Fisheries Management Right

수산업 경영이양 활성화를 위한 수산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 Received : 2011.04.12
  • Accepted : 2011.07.1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In line with post-1970s industrialization, the manpower shortage in fishing villages has been fueled by rapid desertion;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have tended to avoid fishing by migrating to cities, driving the emergence of a national issue in terms of securing fisheries management succession. For the fisheries industry to maintain competitiveness, we need to cultivate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to be leaders of the domestic fishing industry through promoting inspiration for the fishing industry, teaching fisheries expert knowledge, and fostering the ability to promote business. In addition to safe supply of marine products through continued fisheries operation, securing young and skilful workers is essential in order to promote balanc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including job creation. The study therefore seeks to provide measures to foster specialists in order to enable the transfer of management through an opinion survey of fishermen. To cultivate specialists for enabling the transfer of management, the following solution should be promoted at the state level. First, to support the introduction of young and talented workers to the fisheries industry through transfer of management, Second, in order to enable the transfer of management, change is required first in the fisheries industry for it to become a value-added industry. Third, despite fisheries being a composite industry that is syncretized to tertiary industries from primary industries, the fisheries industry is still recognized as a labor intensive industry, which reflects the current status of fisheries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2004). 농업인력 구조변화에 따른 정예농업인력 육성방안연구, 농림부 연구보고서.
  2. 강석훈(2008). 가업승계 A에서 Z까지, 중소기업청
  3. 김경근(2006). 해양수산계 교육기관의 중장기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 개발, 농림수산식품부.
  4. 김삼곤(2003). 사회수산교육의 현황상황과 발전방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5. 김삼곤(2007). 수산교육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수산고등학교 체제개편의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9(1), 105
  6. 김삼곤(2008). 수산업의 산업적 분류에 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1), 23-35.
  7. 김삼곤(2008). 우리나라 수산업의 유망직종 예측과 개발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1), 23-35.
  8. 김삼곤.차철표(2006). 수산전문인력 양성방안, 해양수산부.
  9. 김삼곤.김종화(2007). 한국고용직업분류에 의한 수해양산업의 직업분류에 관한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9(3), 332-333.
  10. 김수석 외(2007). 농지은행활성화 및 유휴농지관리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김수석(2008). 농업인의 고령화에 대응한 농업구조정책의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김정부 외(1995). 농지규모화 사업의 평가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김태균(2006). "경영이양직불제 지급단가 어떻게 할 것인가", 농업문제의 쟁점 10주제 GS&J인스티튜트.
  14. 김홍상 외(2005). 쌀협상이후의 농지이용 구조변화 전망과 대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박석두 외(2004). 농지제도개편의 방향과 추진방안, KREI 농정연구속보, 제17권.
  16. 박석두.황의식(2002). 농지소유 및 이용구조의 변화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7. 박현출(2004). 농업부문의 구조조정 전략 및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공무원교육원 고위 정책과정.
  18. 윤순덕.김경미.조영숙(2008). 고령농업인의 은퇴와 경영이양 의사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제18집.
  19. 윤종국(2007). 경영이양 직접지불제에 대한 농가 선호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 이용기(2006). "쌀산업 직접지불제의 생산 및 소득효과", 농업경제연구 47(2), 한국농업경제학회.
  21. 이정환 외(1984). 농지 및 노동의 유동성과 농업구조정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2. 이정환 외(1997). 농업의 구조 전환 그 시작과 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3. 이정환 외(1998). 한국농업과 농정비전 전략시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4. 이정환 외(2006). "농업구조정책의 꿈과 현실" 농업문제의 쟁점 10주제, CS&J인스티튜트.
  25. 조재현(1998). 어업인후계자육성사섭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6. 채동렬(2009). "수산업의 변화와 수산전문인력 양성방향, 수협통계조사월보 연구논단.
  27. 허장.장기환(2009). 국제농업협력의 추진전략 및 실천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