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달맞이꽃 염색시 율피매염 효과

Effects of Chestnut hulls Mordant on Oenothera Odorata Jacguin-Dyed Fabrics

  • 서혜영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김혜림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송화순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Seo, Hye-Yo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Hye-Rim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Song, Wha-Soo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1.05.19
  • 심사 : 2011.07.25
  • 발행 : 2011.12.31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ordant effects of Chestnut hulls. The color of post and pre-mordanted fabrics were measured in terms of H, V, C, $L^*$, $a^*$, $b^*$, and K/S values. In addition, color fastness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evaluated. The pre-mordant concentration of Chestnut hulls for cotton, mercerized cotton and silk was optimized to 50% (o.w.f.) and 70% (o.w.f.), respectively. Post-mordant concentration of Chestnut hulls of mercerized cotton, silk and cotton was optimized to 50% (o.w.f.) and 90% (o.w.f.), respectively. The hue of fabrics was influenced by mordant methods, such as pre-mordant and post-mordant, slightly. Wet cleaning fastness of pre-mordanted cotton and mercerized cotton fabrics was higher than that of post-mordanted fabrics. The wet cleaning fastness of silk fabrics was not affected by the mordant method, and their fastness were proved to be excellent. The dry cleaning fastness of post-mordanted cotton fabrics was higher than that of pre-mordanted cotton fabrics. The dry cleaning fastness of mercerized cotton and silk was proved to be excellent regardless of mordant method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Oenothera odorata jacquin dyed fabrics and Chestnut hulls mordanted fabrics was proved to 99.9%, and their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remained after wet and dry clea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환구, 박병성. (2007). 브로일러에 대한 감마리놀렌산의 급원으로써 달맞이꽃종자 유와 삼씨유: 닭 껍질, 다리살 및 가슴살 지질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24(2), 196-204.
  2. 강환구, 김상호, 김지혁, 강근호, 나재천, 유동조, 김동욱, 서옥석, 이현수. (2007). 사료 내 유화 달맞이꽃유의 첨가가 산란계 생산성 및 계란 내 감마리놀렌산 함량 축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pp. 70-71.
  3. 구강, 김삼수, 최종덕, 유재영, 박영미. (2006). 알칼리 처리한 PET 직물의 소목염색에서 키토산 및 매염제의 사용.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8(1), 1-9.
  4. 김성련. (2006). 피복재료학. 서울. 교문사, pp. 393-394.
  5. 박아영, 김인영, 송화순. (2009). 견직물의 자초 염색 시 오배자의 매염 효과. 한국의류학회지, 33(2), 256-265.
  6. 배상경. (2007). 면직물에서의 자색 양파 껍질 추출물의 염색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4), 441-444.
  7. 서혜영, 송화순, 김혜림. (2011). 달맞이꽃을 이용한 천연염색. 한국의류학회지, 35(2), 181-191.
  8. 송현주, 김수미, 송화순. (2005). KOH 처리 면직물의 물성 및 염색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1), 91-95.
  9. 신남희, 김성연, 조경래. (2005). 오배자에 의한 회색계열 염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5), 547-552.
  10. 유혜자, 이혜자, 변성례. (1997). 도토리를 이용한 직물의 염색. 한국의류학회지, 21(4), 661-668.
  11. 유혜자, 이혜자, 임재희. (1998). 밤의 외피에서 추출한 염료를 이용한 직물 염색. 한국의류학회지, 22(4), 469-476.
  12. 이정아, 김지영, 윤원종, 오대주, 정용환, 이욱재, 박수영. (2006). 애기달맞이꽃 추출 물의 생리활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지. 38(6), 810-815.
  13. 이정진, 문정철, 김도훈, 엄성일, 김재필. (2000). 탄닌 후처리에 의한 천연염색물의 일광견뢰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섬유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33(1), pp. 327-330.
  14. 임명은, 유혜자, 이혜자. (1997). 쑥을 이용한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5), 911-921.
  15. 정영옥. (1997a). 밤껍질 염액을 이용한 염색포의 물성변화. 동신대학교 논문집, 9, 365-376.
  16. 정영옥. (1997b). 밤껍질에서 추출되는 천연염료의 염색성 연구.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8(2), 83-91.
  17. 조경래. (1997). 천연염료에 관한 연구(9)-도토리 탄닌의 견섬유에 대한 염색성. 부산여자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3, 207-226.
  18. 주영주. (1998). 잿물로 매염처리된 소방염포의 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 699-705.
  19. 주영주. (2005). 천연염색에 사용되는 천연매염제에 관한 연구(II)-철장액과 백반. 한국복식학회지, 55(6), 45-50.
  20. 주영주, 남성우. (1997). 천연염색에 사용되는 천연매염제에 관한 연구(I)-볏짚재-. 한국염색가공학회지, 9(6), 33-41.

피인용 문헌

  1. The Mordant Effects Used by Natural Tannin Dyed with Lac powder: Tara and Myrobalan vol.18, pp.4, 2014, https://doi.org/10.12940/jfb.2014.18.4.114
  2. Dyeabilities with Various Fabr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rown Colorants from Pine Bark vol.15, pp.1, 2013, https://doi.org/10.5805/SFTI.2013.15.1.138
  3. Dyeing Conditions and Mordant Effects on the Cow Leather Dyed with Lac Powder vol.17, pp.4, 2013, https://doi.org/10.12940/jfb.2013.17.4.140
  4. The Development of Enzymatic Mordanting Using Laccase for Phenolic Natural Dye vol.20, pp.3, 2018, https://doi.org/10.5805/SFTI.2018.20.3.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