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iring Risk Assessment of Film Manufacturing Process

필름제조 공정의 착화 위험성에 관한 연구

  • 민세홍 (경원대학교 공과대학 소방방재공학과) ;
  • 허원일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소방방재공학과)
  • Received : 2011.04.08
  • Accepted : 2011.06.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We have considered the fire hazard by the static in anti-static film manufacturing factory on this study. Solvents that the flash point as ethanol, methanol and iso-propyl alcohol is low are used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nti-static film, and the minimum ignition energy of these solvents is ignited easily despite less discharge energy form 0.16 mJ to 0.65 mJ. After the static electric potential produced on each of the manufacturing plants was measured, electric potential on films of paste board is measured form 17 kV to 20 kV. But this exceeds 5 kV, which is electrifiable of objective of nonconductor for fire & explode protection. Therefore, We figure out the fire hazard was high by a static discharge in anti-static film manufacturing factory.

본 연구에서는 대전방지필름 제조공장에서의 화재위험성 등을 고찰하였다. 대전방지필름 제조공정에서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같은 인화점이 낮은 용제가 사용되며 이들 용제의 최소점화에너지는 0.16 mJ~0.65 mJ로 낮은 방전에너지에도 쉽게 착화할 위험성이 있다. 제조공정 각 부분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전위를 측정한 결과, 합지 과정의 필름에서 17kV~20kV의 전위가 측정되었다. 이는 화재 폭발 방지를 위한 부도체의 대전 목표 값인 5kV를 초과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전방지필름 제조공장에서 정전기 방전에 의한 화재위험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성제, "차세대 전자산업용 고기능 필름기술 및 전망", KOSEN 첨단기술보고서,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2003).
  2. 전기재해통계보고서, 한국전기안전공사(1997-2006).
  3.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도위험물통계자료, 소방방재청.
  4. 중대산업사고속보, KOSHA-CCPS-070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7).
  5. www.ytn.co.kr/_ln/0103_200704061...03580381.
  6. 민세홍, 김미숙, "중소형화재실험을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EIFS) 화재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논문지, Vol.12 No.1, pp.1-9(2010).
  7. Mark Blitshteyn Ion Industrial, "Electrostatic Hazard Risk Management In Coating and Printing on Moving Webs",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36th Annual Loss Prevention Symposium, AIChE (2002).
  8. "NFPA 77 Recomended Practice on Static Electricity", 2007 Edition,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9. "정전기 위험성 평가 및 대책에 관한 기술 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7).
  10. 정재희, 가연성 액체의 정전기 방지대책, 한국화재보험협회, 방재와 보험, pp.6-9(1996).
  11. 원종수, "전기화재(IV)-가연물 취급장소에서 고려하여야 할 정전기 대책",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 No.3, pp.47-57(1988).
  12. 이춘하, "정전기에 의한 폭발.화재 방지", 조명.전기설비학회, Vol.10, No.6, pp.19-22(1996).
  13. 이금환, "가스충전소에서 작업복의 정전기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석사논문(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