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Trans Fatty Acid Contents of Bakery Products in Seoul

서울시 일부 제과점 제품의 지방산 조성 및 트랜스지방 함량 분석

  • Tu, Ock-Ju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Kim, Ae-Kyeo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Kim, Mi-Su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Park, Young-Hy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Park, Hea-W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Kim, Yeon-Che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Chae, Young-Zo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두옥주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애경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미선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 박영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 박혜원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연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 채영주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Received : 2010.12.07
  • Accepted : 2011.06.0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bakery products from 35 bakeries in Seoul was analyzed by GCFID. The contents of crude fat in bakery products were represented 9.54-44.30% in pastries, 14.67-41.22% in cookies and 7.63-28.15% in whipped cream cakes. The total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pastries, cookies and whipped cream cakes were 12.8-75.1 %, 8.7-81.6% and 50.2-85.9%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trans fatty acids in pastries ranged from 0.00 to 3.37%. Cookies and whipped cream cakes were represented varying amount of trans fatty acid with highest value of 4.55% in cookies and 2.13% in whipped cream cakes. Total estimated daily intakes of fatty acids from pastries and whipped cream cakes were as follows: 1.2 g/day/person for saturated fatty acids and 0.014 g/day/person for trans fatty acids.

서울 시내 제과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을 35개 업소에서 패스츄리, 쿠키 그리고 생크림 케익을 각 업소 당 1건 씩 총 105건을 수거하여 그 지방산 조성과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GC-FI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제과점 제품들의 조지방 함량은 패스츄리가 평균 20.48%(9.54 - 44.30), 쿠키는 평균 29.68%(14.67 - 41.22) 그리고 생크림 케익이 평균 17.83%(7.63 - 28.15)였으며, 조지방 함량은 쿠키가 이들 세 품목 중 가장 높았다. 포화지방산의 평균값의 경우 쿠키에 함유된 평균량이 56.4%, 패스츄리에서 56.4%가 측정되었는데 생크림 케익의 경우는 앞의 두 가지 품목에 비해 높은 69.0%로 나타나 전체 지방에서 포화지방산의 비중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이들의 포화지방산의 분포는 각 업소 별로 패스츄리 12.8% - 75.1%, 쿠키 8.7% - 81.6% 그리고 생크림 케익의 경우 50.2% - 85.9%로 업소 별로 매우 차이가 큰 것을 볼 수 있었다.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은 생크림 케익이 가장 높게 나타나 평균 0.96%(0.00 - 2.13)였으며, 패스츄리가 0.37%(0.00 - 3.37) 그리고 쿠키는 0.66%(1.00 - 4.55)였다. 대부분의 패스츄리 (35개 중 19개), 쿠키 (35개 중 26개) 그리고 생크림 케익 (35개 중 17개)에는 트랜스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지 않았으며, 트랜스지방산의 함량 범위는 패스츄리에서 0.00 - 3.37%, 쿠커가 0.00 - 4.55% 그리고 생크림 케익이 0.00 - 2.13%로 나타났다. 평균 트랜스지방산의 함량은 생크림 케익에서 0.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전체 조지방의 양에 대한 함량으로 전체 제품 중에 함유된 양으로 환산했을 때 1% 이상의 트랜스지방을 함유한 제품은 쿠키에서 2 종류가 분석되었다. 케익과 패스츄리의 평균 포화지방산 함량은 각각 12.19g/100g과 11.78g/100g으로 평균 12.0g/100g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케익과 패스츄리의 평균 트랜스지방 함량은 각각 0.19g/100g 과 0.09g/ 100g으로 두 품목의 평균은 0.14g/100g 이었는데 이를 국민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루 섭취량으로 환산하면 포회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이 각각 l.2g/일/인과 0.014 g/일/인이었으며, 이는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의 트랜스 지방 일일 섭취 권고량의 7.7 - 12.0%와 0.64%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oletzko, B. and Decsi, T. : Metabolic aspects of trans fatty acids, Clin. Nutr., 16, 229-237 (1997). https://doi.org/10.1016/S0261-5614(97)80034-9
  2. Semma, M. : Trans fatty acids Properties, benefits and risks, J. Health Sci., 48, 7-13 (2002). https://doi.org/10.1248/jhs.48.7
  3. Mesink, R. P. and M. B., Katan : Effect of dietary trans fatty acids on high-density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in healthy subjects, N. Engl. J. Med., 23, 439-445 (1990).
  4. Ascherio, A., Katan, M. B., Zock, P. L., Stampfer, M. J. and Wilett, W. C. : Trans fatty acids and coronary heart disease, N. Engl. J. Med., 340, 1994-1998 (1999). https://doi.org/10.1056/NEJM199906243402511
  5. 장주리, 임선영 :트랜스 지방 섭취가 마우스의 혈청 및 조직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J. of Life Sci., 18, 1147-1153 (2008). https://doi.org/10.5352/JLS.2008.18.8.1147
  6. 길복임, 노정해 : 인체에 미치는 트랜스 지방의 위해와 규제현황.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3, 1015-1024 (2007).
  7. Van Erp-baart, M. A., Couet, C., Cuadrado, C., Kafatos, A., Stanley, J. and Von Poppel, G. : Trans fatty acids in bakery products from 14 European Countries: The TRANS FAIR Study, J. of Food Compost. and Anal., 11, 161-169 (1998). https://doi.org/10.1006/jfca.1998.0571
  8. 김은희, 박건용, 장민수, 최영희, 이경아, 배청호, 조남준 : 과자류 중 지방산 조성 및 트랜스 지방 함량 조사.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보, 42, 3-13 (2006).
  9. 김복희, 박복천, 이소정 : 광주지역 일부 청소년의 트랜스 지방 함유 간식의 상대적 섭취빈도에 따른 식행동, 체성분 조성, 영양소 섭취량 비교.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3, 410-419 (2008).
  10. Leth, T., Jensen, H. G., Mikkelxen, A. E. and Bysted, A. : The effect of the regulation on trans fatty acid cintent in Danish food, Atheroscler Suppl., 7, 53-56 (2006).
  11. 김유미, 허옥순, 이기택 : 대전, 충청 지역 제빵류의 조지방 및 트랜스 지방산 함량 조사. 동아시아 식생활학회지, 17, 540-546 (2007).
  12. 김유미, 허옥순, 이기택 : 대전, 충청 지역에서 판매되는 즉석식품의 트랜스지방 및 조지방 함량 모니터링.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 1010-1014 (2007).
  13. 황부연, 김유미, 이기택 : 일반 고체지와 저트랜스 고체지를 이용한 베이커리 제품의 특성 비교. 동아시아 식생활학회지, 17, 64-71 (2007).
  14.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2006-40호, 식품의약품안전청 (2007).
  15. 식품공전, 식품의약품안전청(2009).
  16. 노경희, 원미숙, 송영선 : 한국인 상용 가공식품의 trans 지방산 이성체.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 325-337 (2003).
  17. 유지연, 김영남 : 고등학생의 과자류 섭취 실태 및 과자류의 영양표시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4(2), 147-157 (2009).
  18. Hunter J.E. : Diatery levels of trans-fatty acids : basis for health concerns and industry efforts to limit use. Nutr. Res., 25(4), 499-513 (2005).
  19. Moss J. : Labelling of trans fatty acid content in food, regulations and limits-The FDA view. Athetoscler. Suppl., 7(1), 57-59 (2006).
  20.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2차년도(2008),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2009).
  21.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 한국영양학회(2010).
  22. Margaret, C.C.S. : World-wide consumption of trans fatty acids. Atheroscler. Suppl., 7, 1-4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