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Safety of Commercial Fruit Teas in Gwangju Area

유통 열매 차류의 안전성 조사 - 구기자, 오미자, 산수유를 중심으로 -

  • Kan, In-Sook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Institute of Gwangju) ;
  • Lee, Hyang-Hee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Institute of Gwangju) ;
  • Seo, Jung-Mi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Institute of Gwangju) ;
  • Oh, Mu-Sul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Institute of Gwangju) ;
  • Jeong, Ji-Hee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Institute of Gwangju) ;
  • Yu, Yen-A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Institute of Gwangju) ;
  • Cho, Bae-Sik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Institute of Gwangju) ;
  • Seo, Kye-Won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Institute of Gwangju) ;
  • Kim, Eun-Sun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Institute of Gwangju) ;
  • Moon, Yong-Woon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Institute of Gwangju)
  • 강인숙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이향희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서정미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오무술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정지희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유연아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조배식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서계원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은선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 문용운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Received : 2011.04.20
  • Accepted : 2011.05.1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idue amount of harmful materials on the 113 commercial fruit teas (Gugija, Omija, Sansuyu) in Gwangju area. It was performed using the GC-ECD, GC-NPD, GC-MSD and the LC-UVD, LC-FLD, LC-MSD to analyze 200 pesticides. The heavy metals were determined using a Mercury analyzer and AAS. The sulfur dioxides were analyzed by modified Monnier-Williams method. The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4 samples (Gugija). The mean values of heavy metal contents (mg/kg) were Pb, 0.024; Cd, 0.031; As, 0.010; Hg, 0.003. The measured values of Pb, Cd, As, Hg showed within MRLs. The sulfur dioxides were over MRLs in 4 samples (Gugija).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establish on the regulation of commercial fruit teas in Gwangju area.

광주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작은 열매차류인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113건(국내산 79건, 중국산 34건)에 대해 잔류농약, 중금속, 이산화황 함유량 등 유해물질 잔류 실태를 조사하였다. 열매차류에 대해 잔류농약 200종을 검사한 결과, 구기자 4건에서만 잔류농약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원산지별로는 국내산 1건, 중국산 3건이었다. 검출된 농약은 Azoxystorbin, Chlorpyrifos, EPN, Floxystrobin 이 었고, EPN, Floxystrobin은 현재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실정이며, 유해 중금속인 Pb, Cd, As, Hg의 경우 잔류허용치를 초과한 검체는 없었다. 이산화황의 경우, 전체 113건 중 구기자 4건이 부적합 제품 이였으며, 검출 결과는 국내산 331 mg/kg, 1,045 mg/kg, 중국산에서는 1,760 mg/kg, 2,027mg/kg 이 검출되었고. 세 종류의 열매차류 중 산수유와 오미자에서는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은 반면, 구기자에서는 잔류농약 및 이산화황에서 검출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그에 따른 적절한 안전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9-35호, (2009).
  2.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2008).
  3. 식품의약품안전청,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2007).
  4. 김희연, 김재인, 김진철, 박지은, 이경진, 김성일, 오재호, 장영미: 국내 유통 중인 농산물의 중금속 함량 모니터링, 한국식품과학회지, 41, 238-244 (2009).
  5. 한은정, 김동규, 한창호, 김옥희, 곽재은, 정삼주: 서울지역 유통 식.약곡용 한약재 중 중금속 함량,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보, 44, 126-139 (2008).
  6. 이용근: 환경과 인간. 자유아카데미, pp. 217-229 (2005).
  7. 하동룡, 박종진, 서정미, 이향희, 오무술, 김은선, 박종태: 광주지역 유통 건조농산물의 유해물질 실태조사, 광주보건환경연구원보, pp. 1-16 (2008).
  8. 오창환, 서동원, 육창수, 이영종, 장승엽, 제금련, 박주영, 이종필, 성락선, 박지용, 고성권, 이평재: 건조방법에 따른 한약재 중 이산화황 잔류량 및 지표성분 변화, 생약학회지, 38, 299-304 (2007).
  9. 이화정, 곽효선, 성준현, 최장덕, 최용훈, 최선희, 최정희, 김일, 김광수, 이승경, 최주희, 이주연, 소유섭, 이전영, 황아름, 이유성, 최은옥, 채갑용: 신선식품 중 천연유래 이산화황 함량 모니터링,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6, 539-545 (2002).
  10. 김미경, 허문희, 이창희, 진종성, 진선경, 이영자: 유통 한약재의 잔류이산화황에 대한 모니터링, 생약학회지, 35, 276-282 (2004).
  11. 신영민, 조태용, 이광수, 김성훈, 박흥재, 임동길, 이창희, 김우성, 채갑용, 이영자, 최수영: 유통 한약재의 이산화황 함유량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3, 1109-1115 (2004).
  12. 김충모, 송병준, 나환식: 생약재에 함유된 이산화황 함유량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 375-379 (2000).
  13. 강길진, 오금순, 조진호, 김형일, 최용훈, 김용재, 박성렬, 고경희, 정지현, 정연찬: 한약재 중 천연유래 이산화황 함유량 및 그 시험법 개선에 관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연보, 3, 313-326 (1999).
  14. 이영자, 김우성, 이창희, 허문회, 정지윤, 이선화, 김재이, 진종성, 김미경, 진선경, 이명자, 박영채, 홍기형: 유통 한약재의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에 대한 모니터링,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6, 678-693 (2002).
  15. 오창환, 서동원, 최시내, 박종세: 생약의 잔류이산화황 기준제정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6, 964 (2002).
  16. 강길진, 오금순, 김형일, 최용훈, 김용재, 정연찬: 생약재 중 천연유래 이산화황 함유량 및 그 출처, 한국식품과학회지, 33, 514-520 (2001).
  17. 이향희, 서정미, 오무술, 강인숙, 박종진, 서계원, 하동룡, 김은선: 광주지역 유통 한약재의 유해물질 잔류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광주보건환경연구원보, pp. 83-90 (2010)
  18. 조정희, 김도훈, 김혜수, 오미현, 강인호, 심영훈, 황완균, 명승운, 최병기: 유통한약재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로서의 잔류농약에 관한 연구(I), 생약학회지, 31, 455-458 (2000).
  19. 조해전, 황인숙, 최병현, 배청호, 김명희: 한약재중의 잔류농약 분석. 생약학회지, 32, 200-211 (2001).
  20. 정홍래, 김영숙, 김종화, 김명길, 오상헌, 이정복, 김종찬: 유통 한약재의 중금속에 대한 안전성 조사 및 시료 전처리 방법 연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보, pp. 19-27 (2007).
  21. 차윤엽, 허성규, 김동건, 백태현, 서형식, 박희수, 김병우, 권기록, 이승기, 유준상, 손영주, 선승호, 차배천, 서승학: 한약재내 중금속 함량 및 잔류농약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 21, 226-230 (2007).
  22. 한국작물보호협회, 농약사용지침, 173-577, 2011.
  23. 김영숙, 박주황, 박종우, 이영득, 이규승, 김장억, Chloropyrifos 및 Chlorothalonil의 사과 생산단계별 잔류특성. 한국환경농학회지, 22, 130-135,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