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Ranger를 활용한 잠재적 위해식품과 미생물 조합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

Determination of Risk Ranking of Combination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Using a Risk Ranger

  • 민경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황인균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미생물과) ;
  • 이순호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미생물과) ;
  • 조준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미생물과) ;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Min, Kyung-J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 Hee University) ;
  • Hwang, In-Gyun (Food Microb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Lee, Soon-Ho (Food Microb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Cho, Joon-Il (Food Microb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 Yoon, Ki-S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1.03.08
  • 심사 : 2011.05.05
  • 발행 : 2011.06.30

초록

국내 주요 잠재적 위해식품에 오염된 미생물 조합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은 식품안전관리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Risk Ranger는 위해식품과 위해미생물 조합에 대해 11가지 정보를 Microsoft Excel Spreadsheet에 입력하여 간단하게 위해순위를 결정하는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23개의 잠재적 위해식품과 위해미생물 조합의 위해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Risk Ranger의 활용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E. coli 위해미생물에 대하여 신선편의식품 샐러드가 가장 높은 위해순위 79를 나타내었다. 초밥의 V. parahaemolyticus, 육가공식품의 Salmonella, 햄버거 패티의 E. coli O157:H7 오염에 대한 위해순위는 0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된 품목 중 가장 낮은 위해순위를 나타내었다. 이는 발표된 모니터링 연구에서 불검출로 나온 결과에 기인한다. Risk Ranger는 위해성의 순위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지만, 정확한 data가 부족한 경우 결과의 정확성에 한계를 가진다. 또한 문헌조사 결과 국내의 위해식품 섭취빈도 조사, 원재료의 위해미생물 오염도, 위해미생물에 미치는 가공과정 영향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해순위 결정 도구로서 Risk Ranger 활용성을 소개하며 위해식품과 위해미생물 조합의 위해순위 결과는 국내 식품안전관리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isk ranking must be determined for various hazards/food combinations to conduct microbial risk management effectively. Risk Ranger is a simple, easy-to-use calculation tool developed in Microsoft Excel and designed to rank the risk (low, medium, and high) for semi-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The user is required to answer 11 questions in Risk Ranger related to 1) severity of the hazard, 2) likelihood of a disease-causing dose of the hazard being present in the meal, and 3) the probability of exposure to the hazard in a defined time. This study determined the risk ranking for twenty three combinations of foodborne pathogens/potentially hazardous foods (PHFs) using a Risk Ranger. In this study, pathogenic E. coli in fresh cut produce salad was scored as 79, which was the highest rank among the 23 combinations of the foodborne pathogens and PHFs. On the other hand, zero risk was obtained with V parahaemolyticus in sushi, Salmonella in meat products and E. coli O157:H7 in hamburger patties. Although Risk Ranger is very simple method to rate the risk of foodborne pathogens and PHFs combination, the accuracy of result was mainly affected by the availability and accuracy of data in th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the data are needed for contamination rate of raw materials, consumption amount/frequency of PHFs, and the effect of processing on pathogen. Risk ranking must be continuously revalidated with new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od/FoodSafety/RetailFoodProtection/FoodCode/FoodCode2005/ucm124080.htm. Accessed Dec. 27 2010 (2005).
  2. Food Safety Research Consortium. FSRC. Prioritizing opportunities to reduce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 a conceptual framework. Available from http://www.card.iastate.edu/food_safety/national_conference/FSRC_Conceptual_Framework_final.pdf. Accessed Dec. 27 2010 (2005).
  3. Newsome, R., Tran, N., Paoli, G.M., Jaykus, L.A., Tompkin, B., Miliotis, M., Ruthman, T., Hartnett, E., Busta, F.F., Petersen, B., Shank, F., McEntire, J., Hotchkiss, J., Wagner, M. and Schaffner, D.W.: Development of a risk-ranking framework to evaluate potential high-threat microorganisms, toxins, and chemicals in Food. J. Food Sci., 74, 39-45 (2009).
  4. FDA's fresh produce risk ranking tool. Available from http://www.foodrisk.org/exclusives/RRT/. Accessed Dec. 27 2010.
  5. Australia's food safety information portal. Risk Ranger.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centre.com.au/riskranger.php. Accessed Dec. 27 2010.
  6. Ross, T. and Sumner, J.: A simple, spreadsheet-based, food safety risk assessment tool. Int. J. Food Microbiol., 77, 39-53 (2002). https://doi.org/10.1016/S0168-1605(02)00061-2
  7. Sumner, J., Ross, T., Jenson, I. and Pointon, A.: A risk microbiological profile of the Australian red meat industry: risk ratings of hazard-product pairings. Int. J. Food Microbiol., 105, 221-232 (2005).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05.03.016
  8. Mataragas, M., Skandamis, P.N. and Drosinos, E.H.: Risk profiles of pork and poultry meat and risk ratings of various pathogen/product combinations. Int. J. Food Microbiol., 126, 1-12 (2008).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08.05.014
  9. Perni, S., Beumer, R.R. and Zwietering, M.H.: Multi-tools approach for food safety risk management of steam meals. J. Food Prot., 72, 2638-2645 (2009).
  10.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식품별 리스크 프로파일 개발. (2009).
  11.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정량적 위해평가를 통한 식품으로부터 고 위해 식 중독균의 risk profile 및 위해관리 연구(2008).
  12. 박경진: 국내 주요 가공식품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 200-203 (2009).
  13.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식중독균미생물의 위해평가를 위한 종합계획 및 예측 모델링개발. (2010).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Available from http://e-stat.kfda.go.kr/ Accessed Jan. 7 2011 (2010).
  15. 오소영, 최선태, 김지상, 임채일: 쌈채소의 세척방법에 따른 잔류농약 및 미생물 제거 효과. 원예과학기술지, 23, 250-255 (2005).
  16. 서교영, 이민정, 연지혜, 김일진, 하지형, 하상도: 유통 중인 샐러드 및 반찬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1, 263-268 (2006).
  17. 통계청.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Accessed Dec. 27 2010.
  18. New Zealand Food Safety Authority. NZFSA. Risk Profile: shiga-toxin producing escherichia coli in leafy vegetables. Available from http://www.nzfsa.govt.nz/science/risk-profiles/FW0456_STEC_in_leafy_veges_February_2006_Final_version_to_NZFSA.pdf. Accessed Dec. 27 2010 (2006).
  19. 김희연, 김은정, 박용춘, 조준일, 이종옥: 경인지역에 유통되는 분쇄육 중 장출혈 성대장균의 분포 조사 및 특성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38, 773-778 (2006).
  20.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 규격.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고시 제 2010-16호 (2010).
  21. 박신영, 최진원, 연지혜, 이민정, 오덕환, 홍종해, 박경진, 우건조, 박종성, 하상도: 김밥제조단계에서의 김밥 주원료에 대한 위해미생물의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37, 122-128 (2005).
  22. 김하규, 이학태, 김종호, 이상선: 즉석섭취식품에 대한 미생물 오염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3, 285-290 (2008).
  23. 국민건강영양조사.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2008).
  24. 나호명, 고바라다, 박성도, 김용환: 도계장 도계의 Campylobacter 균 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0, 77-84 (2007).
  25.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고위해 식중독균 Salmonella와 Campylobacter의 모니터링 및 위해도평가. (2002).
  26.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고위해 식중독균 Salmonella와 Campylobacter의 모니터링 및 위해도평가. (2004).
  27.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즉석섭취편의식품의 Staphylococcus aureus 저감화를 위한 위해관리 연구. (2006).
  28. 홍은경, 김윤아, 이도경, 강병용, 하남주: 식사대용 식품 (Ready-to-eat meals) 중 병원성 세균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양상. 미생물학회지, 42, 265-270 (2006).
  29. 박헌국, 류경: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건포류 조리식품의 미생물적 품질평가.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2, 172-184 (2006).
  30. 함희진, 김수언, 유승희, 황영욱, 최성민: 그대로 섭취하는 수산가공식품 중 조미 건어포류에 대한 주요 식중독균류 분포(2009).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5, 10-15 (2010).
  31. 김진숙, 방옥균, 장해춘: 즉석 섭취 야채샐러드의 미생물 오염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9, 60-65 (2004).
  32. Oh, S.K., Lee, N.R, Cho, Y.S., Shin, D.B., Choi, S.Y. and Koo, M.S.: Occurrence of toxigenic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food in Korea. J. Food Prot., 70, 1153-1158 (2007).
  33. 곽효선, 황인균, 박종석, 김미경, 이근영, 고영호, 배윤영, 문성양, 변주선, 권기선, 우건조: 시판생식에서 식중독균의 정량적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1, 41-46 (2006).
  34. 장태은, 문성양, 이건욱, 백장미, 한정수, 송옥자, 신일식: 시판생식의 제조공정 및 최종제품의 미생물분포. 한국식품과학회지, 36, 501-506 (2004).
  35. 오윤지, 박금덕, 이인숙, 권상호, 정윤화: 유통생식제품의 미생물 오염 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9, 798-802 (2009).
  36. 한국소비자보호원: 시중 유통 중인 생식 상품 시험 결과. Available from http://www.kca.go.kr/front/announcing/per_01_view.jsp?no=627 (2005).
  37. Lee, E.J., Kim, S.G., Yoo, S.R., Oh, S.S., Hwan, I.G., Kwon, G.S. and Park, J.H.: Microbial contamination by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Enterobacter sakazakii in sunsik. Food Sci. Biotechnol., 16, 948-953 (2007).
  38. 조용선, 정은영, 이명기, 양철영, 신동빈: 선식에서 Bacillus cereus의 분리 및 특성조사와 열에 대한 사멸률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3, 343-347 (2008).
  39. 정선순, 한영실: 시판 선식, 생식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와 영양성분 및 위생안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 235-243 (2003).
  40. Kim, S.K., Kim, K.P., Jang, S.S., Shin, E.M., Kim, M.J., Oh, S.S. and Ryu, S.Y.: Prevalence and toxigenic profiles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dried red pepper, rice, and sunsik in Korea. J. Food Prot., 72, 578-582 (2009).
  41. 환경부 상하수도국: 지하수 중 노로바이러스 관리대책(안). Available from http://www.me.go.kr/kor/intro/intro_03_03.jsp?tap=file&boardMode=view&code=&dept=&depart_code=1480665&pg=3&key=title&search=지하수&search_regdate_s=&search_regdate_e=&inpymd=20070531142338 (2007).
  42. 식품의약품안전청: 노로바이러스 3차 실태조사 결과 발표. Available from http://kfda.go.kr/index.kfda?mid=56&seq=13092&cmd=v (2010).
  43. Kim, H.J., Lee, D.S. and Paik, H.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s from raw soybean sprouts. J. Food Prot., 67, 1031-1035 (2004).
  44.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식품 중 Bacillus cereus의 분포조사 및 감소방안 연구. (2003).
  45. Kim, M.G., Oh, M.H., Lee, G.Y., Hwang, I.G., Kwak, H.S., Kang, Y.S., Koh, Y.H., Jun, H.J. and Kwon, K.S.: Analysis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in various foods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7, 483-488 (2008).
  46. 정도연: 전통장류에 오염된 Bacillus cereus의 모니터링 및 저감화를 위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2-46 (2007).
  47. 농림부 연구보고서: 육가공품 및 난가공품의 위해요소 중점관리모델 개발 (2002).
  48. 김명희, 신원선: 서울시 일부 중, 고등학교의 급식용 식재료 및 조리식품의 미생 물학적 품질.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 1343-135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