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od/FoodSafety/RetailFoodProtection/FoodCode/FoodCode2005/ucm124080.htm. Accessed Dec. 27 2010 (2005).
- Food Safety Research Consortium. FSRC. Prioritizing opportunities to reduce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 a conceptual framework. Available from http://www.card.iastate.edu/food_safety/national_conference/FSRC_Conceptual_Framework_final.pdf. Accessed Dec. 27 2010 (2005).
- Newsome, R., Tran, N., Paoli, G.M., Jaykus, L.A., Tompkin, B., Miliotis, M., Ruthman, T., Hartnett, E., Busta, F.F., Petersen, B., Shank, F., McEntire, J., Hotchkiss, J., Wagner, M. and Schaffner, D.W.: Development of a risk-ranking framework to evaluate potential high-threat microorganisms, toxins, and chemicals in Food. J. Food Sci., 74, 39-45 (2009).
- FDA's fresh produce risk ranking tool. Available from http://www.foodrisk.org/exclusives/RRT/. Accessed Dec. 27 2010.
- Australia's food safety information portal. Risk Ranger.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centre.com.au/riskranger.php. Accessed Dec. 27 2010.
- Ross, T. and Sumner, J.: A simple, spreadsheet-based, food safety risk assessment tool. Int. J. Food Microbiol., 77, 39-53 (2002). https://doi.org/10.1016/S0168-1605(02)00061-2
- Sumner, J., Ross, T., Jenson, I. and Pointon, A.: A risk microbiological profile of the Australian red meat industry: risk ratings of hazard-product pairings. Int. J. Food Microbiol., 105, 221-232 (2005).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05.03.016
- Mataragas, M., Skandamis, P.N. and Drosinos, E.H.: Risk profiles of pork and poultry meat and risk ratings of various pathogen/product combinations. Int. J. Food Microbiol., 126, 1-12 (2008).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08.05.014
- Perni, S., Beumer, R.R. and Zwietering, M.H.: Multi-tools approach for food safety risk management of steam meals. J. Food Prot., 72, 2638-2645 (2009).
-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식품별 리스크 프로파일 개발. (2009).
-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정량적 위해평가를 통한 식품으로부터 고 위해 식 중독균의 risk profile 및 위해관리 연구(2008).
- 박경진: 국내 주요 가공식품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4, 200-203 (2009).
-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식중독균미생물의 위해평가를 위한 종합계획 및 예측 모델링개발. (2010).
-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Available from http://e-stat.kfda.go.kr/ Accessed Jan. 7 2011 (2010).
- 오소영, 최선태, 김지상, 임채일: 쌈채소의 세척방법에 따른 잔류농약 및 미생물 제거 효과. 원예과학기술지, 23, 250-255 (2005).
- 서교영, 이민정, 연지혜, 김일진, 하지형, 하상도: 유통 중인 샐러드 및 반찬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1, 263-268 (2006).
- 통계청.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Accessed Dec. 27 2010.
- New Zealand Food Safety Authority. NZFSA. Risk Profile: shiga-toxin producing escherichia coli in leafy vegetables. Available from http://www.nzfsa.govt.nz/science/risk-profiles/FW0456_STEC_in_leafy_veges_February_2006_Final_version_to_NZFSA.pdf. Accessed Dec. 27 2010 (2006).
- 김희연, 김은정, 박용춘, 조준일, 이종옥: 경인지역에 유통되는 분쇄육 중 장출혈 성대장균의 분포 조사 및 특성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38, 773-778 (2006).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 규격.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고시 제 2010-16호 (2010).
- 박신영, 최진원, 연지혜, 이민정, 오덕환, 홍종해, 박경진, 우건조, 박종성, 하상도: 김밥제조단계에서의 김밥 주원료에 대한 위해미생물의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37, 122-128 (2005).
- 김하규, 이학태, 김종호, 이상선: 즉석섭취식품에 대한 미생물 오염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3, 285-290 (2008).
- 국민건강영양조사.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2008).
- 나호명, 고바라다, 박성도, 김용환: 도계장 도계의 Campylobacter 균 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0, 77-84 (2007).
-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고위해 식중독균 Salmonella와 Campylobacter의 모니터링 및 위해도평가. (2002).
-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고위해 식중독균 Salmonella와 Campylobacter의 모니터링 및 위해도평가. (2004).
- 식품의약안전청 연구보고서: 즉석섭취편의식품의 Staphylococcus aureus 저감화를 위한 위해관리 연구. (2006).
- 홍은경, 김윤아, 이도경, 강병용, 하남주: 식사대용 식품 (Ready-to-eat meals) 중 병원성 세균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양상. 미생물학회지, 42, 265-270 (2006).
- 박헌국, 류경: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건포류 조리식품의 미생물적 품질평가.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2, 172-184 (2006).
- 함희진, 김수언, 유승희, 황영욱, 최성민: 그대로 섭취하는 수산가공식품 중 조미 건어포류에 대한 주요 식중독균류 분포(2009).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5, 10-15 (2010).
- 김진숙, 방옥균, 장해춘: 즉석 섭취 야채샐러드의 미생물 오염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9, 60-65 (2004).
- Oh, S.K., Lee, N.R, Cho, Y.S., Shin, D.B., Choi, S.Y. and Koo, M.S.: Occurrence of toxigenic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food in Korea. J. Food Prot., 70, 1153-1158 (2007).
- 곽효선, 황인균, 박종석, 김미경, 이근영, 고영호, 배윤영, 문성양, 변주선, 권기선, 우건조: 시판생식에서 식중독균의 정량적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1, 41-46 (2006).
- 장태은, 문성양, 이건욱, 백장미, 한정수, 송옥자, 신일식: 시판생식의 제조공정 및 최종제품의 미생물분포. 한국식품과학회지, 36, 501-506 (2004).
- 오윤지, 박금덕, 이인숙, 권상호, 정윤화: 유통생식제품의 미생물 오염 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9, 798-802 (2009).
- 한국소비자보호원: 시중 유통 중인 생식 상품 시험 결과. Available from http://www.kca.go.kr/front/announcing/per_01_view.jsp?no=627 (2005).
- Lee, E.J., Kim, S.G., Yoo, S.R., Oh, S.S., Hwan, I.G., Kwon, G.S. and Park, J.H.: Microbial contamination by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Enterobacter sakazakii in sunsik. Food Sci. Biotechnol., 16, 948-953 (2007).
- 조용선, 정은영, 이명기, 양철영, 신동빈: 선식에서 Bacillus cereus의 분리 및 특성조사와 열에 대한 사멸률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3, 343-347 (2008).
- 정선순, 한영실: 시판 선식, 생식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와 영양성분 및 위생안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 235-243 (2003).
- Kim, S.K., Kim, K.P., Jang, S.S., Shin, E.M., Kim, M.J., Oh, S.S. and Ryu, S.Y.: Prevalence and toxigenic profiles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dried red pepper, rice, and sunsik in Korea. J. Food Prot., 72, 578-582 (2009).
- 환경부 상하수도국: 지하수 중 노로바이러스 관리대책(안). Available from http://www.me.go.kr/kor/intro/intro_03_03.jsp?tap=file&boardMode=view&code=&dept=&depart_code=1480665&pg=3&key=title&search=지하수&search_regdate_s=&search_regdate_e=&inpymd=20070531142338 (2007).
- 식품의약품안전청: 노로바이러스 3차 실태조사 결과 발표. Available from http://kfda.go.kr/index.kfda?mid=56&seq=13092&cmd=v (2010).
- Kim, H.J., Lee, D.S. and Paik, H.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isolates from raw soybean sprouts. J. Food Prot., 67, 1031-1035 (2004).
-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식품 중 Bacillus cereus의 분포조사 및 감소방안 연구. (2003).
- Kim, M.G., Oh, M.H., Lee, G.Y., Hwang, I.G., Kwak, H.S., Kang, Y.S., Koh, Y.H., Jun, H.J. and Kwon, K.S.: Analysis of major foodborne pathogens in various foods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7, 483-488 (2008).
- 정도연: 전통장류에 오염된 Bacillus cereus의 모니터링 및 저감화를 위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2-46 (2007).
- 농림부 연구보고서: 육가공품 및 난가공품의 위해요소 중점관리모델 개발 (2002).
- 김명희, 신원선: 서울시 일부 중, 고등학교의 급식용 식재료 및 조리식품의 미생 물학적 품질.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 1343-135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