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춘천지역의 기상요소가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해석

Analyzing the Effect of Climatic Variable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Chuncheon Region

  • Lee, An-Soo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Kim, Jae-Rok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Cho, Youn-Sang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Kim, Yong-Bog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Ham, Jin-Kwa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Jeong, Jeong-Su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Sa, Jong-Gu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Shin, Jin-Chul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 투고 : 2010.08.27
  • 발행 : 2011.06.30

초록

1988년부터 2009 년까지 강원도 춘천지역에서 수행된 벼 작황조사시혐의 오대벼와 일품벼 관련 기상요소 및 조사성적을 바탕으로 각 기상요소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벼 출수기, 간장, $m^2$당 수수 및 수당립수는 품종 및 생육 단계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대제로 총수기 까지의 일평균 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기온일교차, 풍속 및 상대습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수기는 일평균 기온과 상대습도의 영향을, 간장, $m^2$당 수수 및 수당립수는 일교차 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벼 등숙율, 천립중 및 쌀 수량은 벼 출수기 부터 40 일간의 일평균 기온, 기온일교차, 강수량, 일조시간에 대하여 오대벼와 일품벼가 전혀 다른 반용을 보였으나, 풍속 및 상대습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비슷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 쌀 수량은 풍속이 높을수록,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풍속과 상대습도는 기온, 기온일교차, 일조량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국내 벼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 상대습도가 낮고 바람이 충분한 환경에서 벼는 활발한 증산 작용과 광합성을 통해 수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ere we reported an analyzing resul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variables and rice(c.v. Odaebyeo and Ilpumbyeo) yield characteristics (including some growth characteristics) based on a long-term observed data at GARES and at KMA for rice and weather, respectively. Most of crop parameters investigated, such as heading date, culm height, panicle number $m^{-2}$, grain number $panicle^{-1}$ ripening rate, 1,000 grain weight and yield were strongly affected by wind velocity and relative humidity, as well as by daily mean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sunshine hours and daily variations in air temperature depending on variety and crop developmental stages. Air velocity and relative humidity had not been studied as climatic variables affec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ice growth and yield, however, they turned out to affect all the characteristics of rice investigated, especially ripening rate and yield, as much as any other climatic variables in this study. Air velocity appeared to affect highly the culm height and yield of Odaebyeo and ilpumbyeo. Relative humidity appeared to affect highly grain number and ripening rate of Odaebyeo and yield of Ilpumbyeo. Consequently Rice yield revealed to increase in the climatic conditions of high air velocity and low relative humid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현, 박현수. 2000. 접목묘의 증발산속도에 미치는 기온과 상대습도의 효과.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 9(1) : 51-54.
  2. 농촌진흥청. 1981. 수도냉해실태분석과 종합기술대책. p. 168.
  3. 박석홍. 1975. 수도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기상영향의 해석적 연구. 한작지 16 : 1-35.
  4. 안종범. 2007. 벼 품종들의 최적기상환경 예측 및 수량과 수량 구성요소의 기상반응 분석. 공주대 박사논문.
  5. 윤성호, 이정택. 2001. 기후변화에 따른 벼 적정등숙기간의 변동과 대책.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1) : 55-70.
  6. 이은웅외 38인. 1997. 수도작. 향문사. pp. 100-101.
  7. 이종훈, 오윤진. 1996. 신편 식용작물학 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8. 이충근, 김덕수, 권영업, 이재은, 서종호, 이변우. 2009. 등숙기기온 및 일사량이 벼 종실중 및 종실질소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54(1) : 36-44.
  9. 조경숙, 윤진일. 1999. 일기상자료에 의한 읍면별 벼 작황진단 및 쌀 생산량 예측. 충남대.
  10. 주영철, 임갑준, 한상욱, 박중수, 조영철, 김순재. 2000. 1999년에 발생한 기상재해 유형별 벼 수량반응조사 연구.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1) : 1-8.
  11. 황정동, 신동경, 이기영, 박성태, 김순철, 김길웅. 1998. 동해안 냉조풍지 벼 요철골 담수직파 파종한계기 구명. 식작논문집(1) 40(2) : 62-69.
  12. 허휘. 1987. 수도 Indica*Japonica 원연교잡종의 생리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농시연보(작물) 20 : 1-48.
  13. Duncan, W. G., R. S. Loomis, W. A. Williams, and R. Hanau, 1967. A model for simulating photosynthesis in plant communities, Hilgardia, 38, pp. 181-205. https://doi.org/10.3733/hilg.v38n04p181
  14. Loomis, R. S. and W. A. Williams, 1963. Maximum crop productivity : An estimate, Crop Sci, 3 : 67-71. https://doi.org/10.2135/cropsci1963.0011183X000300010021x
  15. Sato. K and M. Takahashi. 1971. The development of rice grain under controlled environment. I. The effects of temperature, its daily range and photoperiod during ripening an grain development. Tohoku J. Agri. Res. 22 : 57-68.
  16. Tajima, K. 1965. Studies on the physiology of crop plants in response to effects of light and temperature. I. Effect of light and temperature on growth and respiration of crop. Crop Sci. 33 : 371-378. https://doi.org/10.1626/jcs.33.371
  17. Yoshida, S. 1977. Effects of air temperature and light on grain filling of an Indica and Japonica rice(Oriza sativa L.)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Japan). Vol 23(1) : 93-107. https://doi.org/10.1080/00380768.1977.10433026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elevated CO2 concentration and increase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crop yield of rice (Oryza sativa) cultivars in Korea -cv. Odaebyeo and cv. Saechucheongbyeo- vol.16, pp.4, 2014, https://doi.org/10.17663/JWR.2014.16.4.363
  2. The Quality and Yield of Early Maturing Rice Varieties affected by Cultural Practices in Gangwon Plain Region vol.57, pp.3, 2012, https://doi.org/10.7740/kjcs.2012.57.3.233
  3. Comparative Analysis of Anion Concentration by the Type of Roadside Buffer Green vol.23, pp.7, 2014, https://doi.org/10.5322/JESI.2014.23.7.1339
  4. Comparison of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n Mid-Late Maturing Rice Cultivars in Major Cultivation Areas of Gangwon Province vol.60, pp.4, 2015, https://doi.org/10.7740/kjcs.2015.60.4.421
  5. Estimating the Yield of Potato Non-Mulched Using Climatic Elements vol.59, pp.1, 2014, https://doi.org/10.7740/kjcs.2014.59.1.089
  6. 우리나라 시군단위 벼 수확량 예측을 위한 다종 기상자료의 비교평가 vol.37, pp.2, 2011, https://doi.org/10.7780/kjrs.2021.37.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