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ies on Utilization Survey and For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as Native Grasses in Paju and Ansan District, 2010

2010 파주, 안산지역 갈대, 억새 등 야초류의 이용실태와 사료가치 평가

  • Received : 2011.03.07
  • Accepted : 2011.04.2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0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nutritive value of native grass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which might reduce the cost of feeding domestic cattle. The regions within the Civilian Control Line in Paju and Sihwa region in Ansan were surveyed. In Paju, the yearly silage production was 900 MT harvested from 90 ha (10 MT/ha). About 30~50% of these were sold out at the marketing price of 52,000~55,000 Won per roll (130~137.5 Won/kg). Regrown Miscanthus sinensis of 70 cm in length contained 9.6% of crude protein (CP), 82.4 of relative feed value (RFV), and 67.7% of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Regrown Phragmites communis of 70 cm in length contained 13.8% of CP, 84.3 of RFV, and 67.9% of IVDMD. As harvesting was delayed, the quality was decreased dramatically. In Ansan region, Phragmites communis plantation covers 100 ha. The silage production was 550 MT from the area of 50 ha (11 MT/ha) in 2009. And the marketing price was 50,000 Won per roll. But in 2010 only a small amount of grasses could have been baled due to frequent and much rainfall from spring to summer season. However, the good forage quality was observed from regrown Phragmites communis of 80 cm in length, 12.9% CP, 99.8 RFV and 66.6% IVDMD, while that of late matured grasses was very low, 2.2% CP, 52.9 RFV and 36.4% IVDMD, greatly lower than forage quality of rice straw. The quality of grasses at bloom stage of 150 cm in length was similar to that of rice straw, showing 4.5% CP, 59.9 RFV and 42.2% IVDMD. In co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most native grasses in this survey were very poo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should be harvested during June or July to obtain better forage quality which is richer in forage values than rice straw. Production of high quality forage crops was also desirable for self sufficiency of forage.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의 이용을 활성화하여 수립사료를 줄이고 가축 사료비를 절감하고자 2010년도에 경기 파주(민통선지역)와 경기 안산(시화지구)에서 갈대와 억새 등 야초자생지를 탐색하고, 수확 이용실태 조사와 함께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파주 민통선 내억새(Miscanthus sinensis)와 갈대(Phragmites communis)혼합 자생지는 90~100 ha규모로, 1520톤(ha당 6톤), 2차로 380톤(ha당 4톤)을 제조하여, 연 사일리지 900톤(ha당, 10톤)을 생산하였다. 곤포의 유통가격은 롤당 52~55천원으로 kg당 130~137.5원이었다. 곤포는 자가소비 50~70%,판매유통 30~50%로, 수익성은 인건비 정도로 추정되었다. 초장 70 cm의 재생억새는 조단백질 9.6%, 상대사료가치 82.4 (건초 4등급), 건물 소화율 67.7%, 초장 70 cm의 재생갈대는 각각 13.8%, 84.3 (4등급), 67.9%로 사료가치는 높았으며, 수확이 늦어짐에 따라 사료가치는 크게 낮아졌다. 안산 시화지구(3공구)의 갈대 등 야초류 자생지는 100 ha 정도로 2009년도에는 50 ha에서 사일리지 550톤(ha당 11톤)을 생산하여 롤당 50천원에 유통하였으며, 2010년도는 잦은 강우와 장마로 부분 이용에 그쳤다. 고초기의 갈대는 건물률89.8%, 조단백질 2.2%, NDF 80.6%, ADF 55.4%, 상대사료가치 52.9 (5등급), 건물 소화율 36.4%로 볏집에 비해서도 사료가치는 크게 낮았다. 초장 80 cm의 재생 갈대는 조단백질 12.9%, 상대사료가치 99.8 (3등급),건물소화율 66.6%로 사료가치는 양호하였으며, 개화기의 초장 150cm 갈대는 조단백질 4.5%, 상대사료가치 59.9 (5등급), 건물소화율 42.2%로 볏짚의 사료가치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갈대, 억새 등 야초류는 현 상태에서 최대한 수거 이용하되, 사료가치를 유지하고 가축 기호성을 고려한 시기에 수확되는것이 중요하며, 최소한 볏짚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7월 중순 이전(늦어도 7월가지)에 수확 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야초류는 상대사료가치가 75 이하인 건초 5등급으로 사료가치는 매우 낮았으며, 키가 작은 영양생장기에 수확한 경우에만 4등급으로 나타났다. 부존 조사료자원의 이용은 양질의 사료작물 생산과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장남기. 1985. 낙동강 하류의 순갈대초지에 있어서 년순생산성과 그 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초지 5(1):8-12.
  2. 김대진, 임 완. 1988. 야초 사일리지의 품질향상에 관한 연구. 2 안고초 사일리지의 첨가제에 따른 사료가치의 비교. 한초지 8(3):169-174.
  3. 김대진, 김영길, 맹원재. 1989. Pepsin-Cellulase에 의한 국내산 주요 조사료의 DMD 에 관한 연구. I 화본과 야초의 세포벽 구성물질과 건물 소화율. 한축지 31(5):324-333.
  4. 김동암, 김병호, 김창주. 1976. 초지학. 제8장. 주요 목초 및 야초료의 종류와 특성 (화본과 야초, 두과야초). 선진문화사. pp. 170-181.
  5. 김범태. 1976. 달뿌리풀(Phragmites longivalvis Steudel)의 생산력과 소화율 검정. 한축지 18(1): 65-68.
  6. 김선영, 성경일, 김병완. 2010. 수확시기가 갈대의 초장,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학술발표회(건국대, 6.18). 학술논문발표초록. pp. 146-147.
  7. 농식품부. 2010. 양질 조사료 생산 확대 방안. 농림수산식품부 축산정책과.
  8. 농촌진흥청. 2003.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 기준. 조사료. 농촌진흥청.
  9. 박형수. 2007. 제주 야생목초 유전자원 탐색 연구. 난지농업시험연구보고서.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10. 서 성. 2008. 국내 조사료자원의 개발 및 이용. 한국동물자원과학회 춘계심포지엄 프로시딩 (Vol. 1) (서울대, 6. 26). pp. 99-114.
  11. 안산시. 2009. 2010. 안산 시화지구(3공구) 사료작물 재배 결과보고 자료.
  12. 양환승, 김동성, 박수현. 2004. 잡초(형태.생리.생태). 단자엽류, 양치류. III 이전농업자원도서. pp. 475-485, 541-549.
  13. 이성규. 1985. 억새 (Miscanthus sinensis)의 생장 및 재생특성에 관한 연구. 한초지 5(1):1-7.
  14. 전우복, 윤 창, 이준연, 박종만. 1983. 갈대 생산력에 관한 연구. 1. 생육시기에 따른 생산성의 변화. 한초지 4(2):89-97.
  15. 전우복, 윤 창, 노순형. 1986a. 갈대의 생산력에 관한 연구 2. 시비가 생육시기별 갈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6(1):24-30.
  16. 전우복, 윤 창, 손문호. 1986b. 갈대의 생산력에 관한 연구. 3. 예취시기가 갈대의 재생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6(2):78-83.
  17. 한국표준사료성분표. 2007.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18.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9.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 Handbook 37, U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20. Holland, C., W. Kezar,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Pioneer forage manual : 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Des moines, IA. pp. 1-55.
  21. Moore, R.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 of Florida, Dept. of Anim. Sci.
  22. Tilley, J.M.A. and R.A. Terry. 1963. A two-stage technique for th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J. Bri. Grassl. Soc. 18:104-111.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3.tb00335.x

Cited by

  1. Effects of Reed (Phragmites communi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in Hanwoo Steers vol.22, pp.10, 2012, https://doi.org/10.5352/JLS.2012.22.10.1392
  2. Utilization Survey and For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and Native Grasses in Haenam, Pyeongchang and Wonju Regions, 2010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1.1
  3.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Forage Growth, Yield and Quality of Native Reed (Phragmites communis) vol.33, pp.2, 2013, https://doi.org/10.5333/KGFS.2013.33.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