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의 하악전방이동장치 적용에 있어서 전방이동량이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Amount of Mandibular Advancement in the Application of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김영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 윤인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 김정훈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
  • 이철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
  • 윤필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Kim, Young-Kyun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Yoon, In-Yo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Kim, Jeong-Whun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Lee, Chul-He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Yun, Pil-Young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투고 : 2011.03.30
  • 심사 : 2011.06.01
  • 발행 : 2011.06.30

초록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으로 하악 전방이동장치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에게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하악전방이동창치 치료시 하악의 전방이동량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을 주소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야간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폐쇄성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에서, 치료법으로 하악전방이동장치를 선택한 총 8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임상기록과 수면다원검사를 포함한 모든 환자의 자료를 검토 및 분석하였다. 결 과: 총 86명의 환자 중 65명(75.6%)에게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경과관찰 기간 중에 28명의 환자에게서 경미한 전치부와 턱관절의 불편감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하악의 전방이동량에 따른 불편감은 7.0 mm 이상의 환자에게서 두드러지게 보고되었다. 하악의 전방이동량과 임상 결과와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다. 결 론: 중증도와 상관없이 하악전방이동장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의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잠재적인 치과적인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치료시에 하악의 전방이동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effect of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an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advancement amount of mandible in the application of MAD for obstructive sleep apnea (OSA) patients. Methods: From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OSA by polysomnographic stud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rom January 2007 to February 2009, the patients who chose MAD as treatment op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the patients’ data including clinical records and polysomnographic studies (both pre- and post-treatment)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sults: Successful results were obtained in 65 patients of 86 patients (75.6%). In the follow-up period, mild discomfort of anterior teeth or temporomandibular joint (TMJ) were described in 28 patients, especially in the cases the amount of mandibular advancement were more than 7.0 mm. There wa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andibular advancement and clinical outcome. Conclusion: MAD was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the OSA patients regardless of severity. For the prevention of potential dental complications, the amount of mandibular advancement should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MAD treat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