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Analyzing Priority Area of Forest Fire Surveillance Using Viewshed Analysis

가시권 분석을 이용한 산불감시 우선지역 선정 방안

  • Lee, Byung-Doo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Ryu, Gye-Sun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Sun-Young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yong-Ha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Myung-Boa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유계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김선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김경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이명보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Received : 2011.06.30
  • Accepted : 2011.08.1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algorithm for priority area of forest fire surveillance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ire detection. The high priority surveillance area for forest fire detection was defined as the area with not only low value of viewshed analysis of the lookouts and detection cameras but also high fire occurrence probability. To build the priority map, fuzzy function and map algebra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of Bonghwa-gun, Gyeongbuk Province, showed that the surveillance priority of central and southern area is higher than north area. This algorithm could be used in the allocation of fire prevention resources and selection of suitable point for new fire detection system.

산불 감시 시설의 탐지확률을 높이고, 감시 자원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디를 감시해야 하는가에 대한 사전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 감시 우선지역을 기존 감시 시설의 가시권과 해당 지역의 산불발생 확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발생 확률이 높으면서, 가시성이 떨어지는 곳을 우선 감시 지역으로 정의하고, 퍼지함수를 이용한 변환과 가중치 부여에 의한 중첩분석을 통해 산불감시 우선지도를 생성하였다. 봉화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감시 우선 지역은 산지가 많은 북부 지역보다는 인구가 많은 중남부 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개발된 산불감시 우선지역 분석 체계는 한정된 감시 자원의 적정 배치 위치를 선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10. 1991-2009 산불발생 위치지도. 242쪽.
  2. 김영훈. 2010. 가시권 분석에서의 지형 요소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7(1):73-84.
  3. 산림청. 2010. 산불통계연보. 228쪽.
  4. 안상현, 원명수, 김동현, 강영호, 이명보, 이시영. 2005. 의성군지역 산불발생 및 대형화 위험지역 구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117-124.
  5. 안상현, 이시영, 원명수, 이명보, 신영철. 2004. 공간분석에 의한 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및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4): 57-64.
  6. 이시영, 안상현. 2008. 삼척지역 산불위험지 구분에 따른 감시시설의 위치 적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2(3):265-271.
  7. Catry, F.X., F.C. Rego, T. Santos, J. Almeida and P. Relvas. 2007a. Forest fires prevention in Portugal - Using GIS to help improving early fire detection effectiveness.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Wildland Fire Conference. Seville, Spain. May 13-17, 2007.
  8. Catry, F.X., P. Damasceno, J.S. Silva, M. Galante and F. Moreira. 2007b.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wildfire ignitions in Portugal.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Wildland Fire Conference. Seville, Spain. May 13-17, 2007.
  9. Catry, F.X., R.M. Almeida and F.C. Rego. 2004. Producao de cartografia de visibilidades para Portugal Continental. A Importancia da sua Utilizacao na vigilancia Contra Incendios Florestais. Silva Lusitana 12(2):227-241.
  10. Marín, P.G., S.M. Raúl, R.T. Efraín, P.A. Alfredo, A.F. Diana, H.D. Ciro and V.B. Efraín. 2010. Viewshed analysi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watchtowers, in the north of Mexico. The Open Forest Science Journal 3:17-22. https://doi.org/10.2174/1874398601003010017
  11. Rego, F.C. and F.X. Catry. 2006. Modelling the effects of distance on the probability of fire detection from lookout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5:197-202 https://doi.org/10.1071/WF04016

Cited by

  1. The Study on the Viewshed Analysis and the Estimation of Proper Number of Forest Fire Surveillance Cameras (Focusing on Samcheok-Si) vol.13, pp.3, 2013, https://doi.org/10.9798/KOSHAM.2013.13.3.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