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Construction of CO2 Inventory Using GIS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CO2 인벤토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Oh, Sang-Hak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 Kim, Dae-Wuk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 Ryu, Ji-Won (Daegu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
  • Cha, Jae-Gyu (Daegu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
  • Jung, Eung-Ho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Keimyung University)
  • 오상학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
  • 김대욱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
  • 류지원 (대구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
  • 차재규 (대구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
  • 정응호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11.03.18
  • Accepted : 2011.04.1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n this study, $CO_2$ emission quantities by spatial characteristics using GIS were investigated for building a $CO_2$ emission inventory. Eventually, this study provides the guidelines to buil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for reducing greenhouse gas and contributes to the transition to environmental friendly green city. The attribute data for GIS were energy (electricity and gas) usage in the city of Daegu for 2009 and used for Tier 1 as suggested by the IPCC guideline to estimate amount of $CO_2$ emission. The spatial data were built based on land use types categorized by building purposes with connecting building registers to cadastral maps for Daegu city. Spatial $CO_2$ emission quantities could be calculated by combining $CO_2$ emission inventory for energy and GIS. Also, $CO_2$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y land use types.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 인벤토리 구축에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공간 특성에 따라 분포되고 있는 탄소 배출 규모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공간대응형 탄소배출 인벤토리를 구축함으로서 온실가스 저감형 도시 공간구조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친환경적인 녹색 도시로의 변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 입력되는 기초 Data 중 속성정보는 대구광역시 에너지 부문(전력, 도시가스)의 2009년 연간 사용량을 가지고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Tier 1에 대입하여 $CO_2$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공간정보는 대구광역시 건축물 대장과 지적도를 연계하여 지번에 따라 건축물 용도별로 토지이용 분류를 실시하여 구축하였다. 에너지 부문의 $CO_2$ 배출 인벤토리 구축에 지리정보시스템을 접목함으로서 공간별 $CO_2$ 배출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토지이용에 따라 $CO_2$ 배출 현황이 각기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 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국토관리 전략(I) - 지역별 온실가스인벤토리 구축 및 지역특성 분석-. 189-205.
  2. 대구광역시. 2010. 대구광역시 통계연보.
  3. 백태경, 김영훈, 최정미. 2004. 지적도와 건축물대장 연계를 통한 토지이용 DB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4):133-42.
  4. 어재훈, 김기태, 정길섭, 유환희. 2010.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탄소배출과 토지이용변화 분석 - 진수시를 대상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8(1):129-134.
  5. 이상중, 임정균. 2007. 화력발전소 입출력 특성계수를 이용한 순시 발전출력 대비 $CO_{2}$ 대기배출량 계산.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 21(5):120-125.
  6. 환경부.환경관리공단. 2008. 국가 온실가스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7. CERC. 2006. EMIT : Atmospspheric Emissions Inventory Toolkit, User Guide.
  8. IPCC. 2007.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Vol. (2).
  9. Newzealand Government. 2010. Land Use and Carbon Analysis System(LUCAS): Satellite Imagery Interpretation Guide for Land-use classes.

Cited by

  1. U-City 시스템 도입에 따른 탄소배출량 저감 효과 분석 vol.20, pp.1, 2011, https://doi.org/10.12672/ksis.2012.20.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