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토지이용도와 기상모델을 이용한 서울기후분석(CAS)지도 개발

Development of Climate Analysis Seoul(CAS) Maps Based on Landuse and Meteorogical Model

  • 이채연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 엄정희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최영진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 김규랑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 ;
  • ;
  • 김근회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투고 : 2010.09.17
  • 심사 : 2011.01.24
  • 발행 : 2011.03.31

초록

도시 및 환경계획에서는 국지적 기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지속시킬 수 있는 계획 도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의 도시 및 환경계획 수립을 위해 국지 기온과 바람의 흐름을 고려하여 현실적인 기후분석지도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기후분석(Climate Analysis Seoul, CAS) 지도는 서울의 도시환경 구조 변화 양상을 적시에 반영하기 위하여 도시기후 분석 및 기후지도 프로세스를 갖춘 전자지도(digital map)이다. 지면의 피복과 기복에 대한 분석자료와 중규모 기상모델인 MetPhoMod의 모의수행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생성 이동 정체, 바람흐름, 열적 환경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가 CAS 지도에 담겨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CAS를 이용함으로써 도시 개발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및 평가가 용이하게 되었다. 도시기후분석지도를 통해 도시 및 환경 분야의 계획 과정에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후요소의 활용이 더욱 편리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needed to preserve good effects and to prevent bad influences on local climate in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This study seeks to develop climate analysis maps to provide realistic information considering local air temperature and wind flows. Quantitative analyses are conducted by CAS for the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stagnation of cold air, wind flow and thermal conditions by incorporating GIS analysis on land cover and elevation and meteorological analysis from MetPhoMod - a mesoscale weather model. The CAS helps The easier analysis and assessment of urban development on local climate. It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 life of the people in cities by providing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ocal climate to the urban space plann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태,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42-154.
  2. 변혜선, 송영배, 한봉호. 2009. 도시녹지와 도시기후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기법.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지 44(4):37-50.
  3. 송봉근, 박경훈. 2010.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14-127.
  4. 엄정희. 2010. 용산미군기지 지역의 기후정보 구축 및 계획적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지 45(1):185-198.
  5. 엄정희. Johann Koppel, Dieter Scherer, Ute Fehrenbach. 2008. 공간계획에서 도시기후정보의 활용 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733-740쪽.
  6. Eum, J.H. 2008. Integration of climate information into spatial planning in Seoul, South Korea. Dissertation, Technische Universitӓt Berlin.
  7. Mosimann, T., T. Frey, P. Trute. 1999. Schutzgut Klima/Luft in der Landschaft splanung. Informationsdienst Naturschutz Niedersachsen 19(4):201-276.
  8. Parlow, E., D. Scherer and U. Fehrenbach. 2006. Regionale Klimaanalyse der Region Sudlcher Oberrhein(REKLISO). Abschlussbericht. Sudlcher Oberrhein.
  9. Perego, S. 1999. MetPhoMod, A numerical mesoscale model for simulation of regional photosmog in complex terrain; model description and application during Pollumet 1393(Switnerland). Meteorological and Atmospheric Physics. 70:43-69. https://doi.org/10.1007/s007030050024
  10. Scherer, D., U. Fehrenbach and E. Parlow. (In press) Klimaanalyse der Stadt Zurich(KLAZ).
  11. Verein Deutscher Ingenieure. 2003. Umweltmeteorologie: Lokale Kaltluft. VDI/DIN-Handbuch Reinhaltunb der Luft, Band1b. Düsseldort: Beuth Verlag.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Roughness Length Spatial Distribution in Relation to the Seoul Building Morphology vol.25, pp.2, 2015, https://doi.org/10.14191/Atmos.2015.25.2.339
  2. Impact of the Local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Heat Island to Suburban Areas on the Night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vol.17, pp.1,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1.035
  3. Analysis of the Thermal Environment around an Urban Green Area in Seoul, Korea Using Climate Analysis Seoul (CAS) vol.26, pp.3, 2016, https://doi.org/10.14191/Atmos.2016.26.3.413
  4. Estimating spatial patterns of air temperature at building-resolving spatial resolution in Seoul, Korea vol.36, pp.2, 2016, https://doi.org/10.1002/joc.4363
  5. Surface Micro-Climate Analysis Based on Urba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emperature Deviation Estimation and Evaluation vol.26, pp.3, 2016, https://doi.org/10.14191/Atmos.2016.26.3.445
  6. Study On Lagrangian Heat Source Tracking Method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 Simulations vol.33, pp.6, 2017, https://doi.org/10.5572/KOSAE.2017.33.6.583
  7. A Study on the Urban Heat Simulation Model Incorporating the Climate Changes vol.34, pp.5, 2018, https://doi.org/10.5572/KOSAE.2018.34.5.697
  8. 인간 열환경 지수(HumanThermal Sensation)를 이용한 조경계획 및 디자인 방법 vol.40, pp.1, 2011, https://doi.org/10.9715/kila.2012.40.1.001
  9. 상세 공간정보를 활용한 국지기온 분석 개선 - 서울 은평구 뉴타운을 사례로 - vol.15, pp.1,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1.144
  10. 비오톱 지도와 항공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바람통로 분석 및 기후평가 vol.40, pp.6, 2011, https://doi.org/10.9715/kila.2012.40.6.148
  11. 고밀도 관측자료를 이용한 야간 지면냉각과 찬공기 이동 분석 - 서울 은평구 뉴타운 사례 vol.15, pp.4,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4.124
  12. 인간 열환경 지수를 이용한 생기후지도 작성 및 도시·조경계획 및 디자인에의 적용방안 vol.41, pp.1, 2013, https://doi.org/10.9715/kila.2013.41.1.021
  13. 서울 도시계획 정책을 적용한 기후영향평가 - 남북녹지축 조성사업을 대상으로 - vol.24, pp.2, 2015, https://doi.org/10.14249/eia.2015.24.2.134
  14. WUDAPT Protocol을 활용한 Local Climate Zone 분류 - 서울특별시를 사례로 - vol.45, pp.4, 2011, https://doi.org/10.9715/kila.2017.45.4.131
  15. 여름철 도시 인근 산림에 의한 냉각효과의 정량화에 대한 연구 vol.20, pp.1, 2011, https://doi.org/10.5532/kjafm.2018.20.1.73
  16. 식생냉각효과 적용을 통한 BioCAS의 폭염기간 일 최고기온 추정 개선 - 서울 및 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 vol.29, pp.2, 2011, https://doi.org/10.14191/atmos.2019.29.2.131
  17. 도시 바람길 활용을 위한 수원시 찬공기 유동 분석 vol.22, pp.4,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9.22.4.024
  18. Heat Exposure Information at Screen Level for an Impact-Based Forecasting and Warning Service for Heat-Wave Disasters vol.11, pp.9, 2011, https://doi.org/10.3390/atmos11090920
  19. Local Climate Zone과 토지피복에 따른 여름철 야간의 인간 열환경 분석 - 경기도 수원시 호매실 택지개발지구 vol.7, pp.4, 2011, https://doi.org/10.17820/eri.2020.7.4.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