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Pants Pattern for the Improvement of Obese Women's Fit

피트성 향상을 위한 비만여성의 바지패턴 개발

  • Lee, Jin-Suk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ng-Ran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10.26
  • Accepted : 2010.12.21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mprovement of the pants fit for obese wom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5 obese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selected for the testing 3D body.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comparing with the data of 5th Size Korea body dimensions. The average waist circumstance of the subjects' 3D body dimensions was 87.0 cm and hip circumstance was 102.4 cm, and their obese body types had similar mean valu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the 3D body dimensions of 5th Size Korea body dimensions, a pants pattern to supplement their body type and improve a fit was designed with waist circumference(88 cm), hip circumference(103 cm), crotch length(27.1 cm), thigh circumference(62 cm), pants length(97 cm), pants hem line circumference(44 cm). Based on the detailed design of ready made pants and the study results of young obese women's preference for pants design, pants of straight silhouette and semi-tight fit which have waist line lowered by 3.5 cm from the waist circumference line, 3.5 cm belt width, no front dart and one back dart, were manufactured with 100% black cotton and cotton spandex mixed fabrics.

Keywords

References

  1. 건강검진 수검자 3명 중 1명 비만. (2010, 3. 26).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검색일 2010, 3. 29, 자료출처 http://www.nhic.or.kr
  2. 김경화. (2001). 비만 노인 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에 따른 슬렉스 기본 원형에 관한 연구- 엉덩이 둘레 적용 방법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현아, 천종숙. (2004). 20대 여성의 기성복 바지 맞음새와 하반신 체형 인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지, 12(4), 638-647.
  4. 남윤자, 최경미, 정의승, 윤명환. (2004). Size Korea 3차원 인체측정 방법 표준화-전신스캐너를 중심으로-. 패션정보와 기술, 1, 6-19.
  5. 박성준. (2006). 2006년 한국인 인체 치수 조사사업 학술연구용역 결과보고서- 한국인 비만 체형의 분류 및 유형별 특성 분석. 서울:산업지원부 기술표준원.
  6. 박장숙. (2002). 중년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에 따른 슬랙스 원형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백경자. (2006). 3차원 바디스캐너를 이용한 인체측정 및 상의 원형평가-20대 전반 남성을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5).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자료. 사이즈 코리아 자료검색일 2009, 1. 18, 자료출처 http;//www.sizekorea.kats.go.kr
  9.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6). 2006년 한국인 인체 치수 조사사업 학술연구용역 결과보고서-한국인 비만 체형의 분류 및 유형별 특성 분석.
  10.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4). 인체측정 표준용어집.
  11. 이승렬. (1999). 이승렬의 패턴이야기1. 서울: 기술과 감성.
  12. 이진희. (2002). 성인 여성의 체형에 따른 기성복 적합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2), 189-197.
  13. 이진숙, 이정란. (2010). 비만여성의 기성복 바지 착용실태 및 선호디자인. 한국의류학회지, 34(2), 291-302.
  14. 정수진. (2007). 중년기 비만여성의 슬랙스 원형 제작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최영순. (2000). Plus-size 소비자의 의복행동에 따른 one-to-one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최진. (2008). 3차원 형상 데이터에 의한 성인여성의 하반신 체형분석 및 부츠컷 청바지 패턴 설계-3차원 가상착의평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황송이. (2007). 복부 비만여성의 슬랙스 원형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ited by

  1. A Suggestion of the Size-designation for the Underweight Women's Tops in their 20s-30s vol.15, pp.3, 2013, https://doi.org/10.5805/SFTI.2013.15.3.423
  2. Characteristics of Lower-Body Shapes in Obese Women for the Improvement of Fit vol.15, pp.2, 2013, https://doi.org/10.5805/SFTI.2013.15.2.240
  3. Study on Preferred Style and Fit according to Stature Groups of Women aged 18 to 59 vol.14, pp.5, 2012, https://doi.org/10.5805/KSCI.2012.14.5.821
  4. Comparison of Eye Movement and Fit Rating Criteria in Judging Pants Fit Between Experts and Novices- Using Eye Tracking Technology - vol.19, pp.2, 2017, https://doi.org/10.5805/SFTI.2017.19.2.230
  5. Comparison on the Pants Fitting for Obese Women between 3D Virtual Garment and Real Garment vol.17, pp.2, 2013, https://doi.org/10.12940/jfb.2013.17.2.33
  6. A Case Study on the Comparison of Fit Evaluation Results between an Expert Group and a Novice Group vol.67, pp.8, 2017, https://doi.org/10.7233/jksc.2017.67.8.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