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남성의 연령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가방 선호도

Bag Preference of Men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role Identity Types

  • Lee, Young-Ju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투고 : 2010.09.10
  • 심사 : 2011.01.13
  • 발행 : 2011.02.28

초록

This study examines if men in the 20's and 30's have different preference for bag types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role identity types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male bag market to segment its customers and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otal 288 questionnaire sheets were distributed to 186 men in the 20's and 102 men in the 30's residing in Busan.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ir preference for bag types, adult men in the 20's and 30's preferred cross bags the most. It was also shown that men who are feminine or androgynous prefer back packs, shoulder bags, and tote bags to the other two types. Second, about cross bags, men in the 20's showed a higher rate of having two or three than those in the 30's. Men in the 20's possessed back packs more than those in the 30's. And men tend to show a lower rate of having shoulder bags compared with that of cross bags or back packs. Men in the 30's possessed briefcases more than those in the 20's. Masculine men had more briefcases than the other types of bags, and androgynous men tend to have more tote bags than the other types of bags. Third, men in the 20's and 30's all deemed that back packs go well with the casual style. Men in the 20's regarded shoulder bags are the type of bags that harmoniously matches all styles including casual or semi-suit; however, men in the 30's think they only suit casual or semi-suit. And it was also found that men in the 20's think briefcases are the type of bags that goes well with various styles of clothes while men in the 20's consider they are the type of bags only matching sui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연. (2004). 럭셔리 제품의 디자인 가치요소에 관한 연구-여성용 핸드백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진형. (2001). 라파엘 비뇰리(Rafael Vinoly)의 건축 작품을 응용한 구두 핸드백 디자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현정. (2009). 남녀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성역할정체감과 외모관련 태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현정, 이명희. (2010).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신체 노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60(3), 99-109.
  5. 남자, 가방에 눈뜨다. (2010, 1. 13). 중앙일보.
  6. 방수경. (2003). 패션 잡화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여성 구두와 핸드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안혜진. (2004). 가방을 적용한 상의의류 디자인 연구-18세에서 24세 여대생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양진화. (2006). 남자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유행 선도력 및 의복 관심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윤수인. (2003). 섬유 공예기법에 의한 패션 액세서리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윤은아, 이선재. (2000). 성역할정체감의 겉옷, 속옷에 대한 의복행동 및 의복이미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4(2), 152-163.
  11. 이나영. (2009). 몬드리안 회화를 모티브로 한 남성 가방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명희. (1993). 한국과 미국 남녀 대학생의 의복이미지 선호도와 성 역할 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3), 367-379.
  13. 이선배. (2009). 맨즈잇 스타일. 넥서스 book, p. 161.
  14. 이영숙. (2008).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과 외모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원정, 이경희. (2008). 의상과 가방 디자인 관련성과 코디네이션. 한국의류학회지, 32(1), 12-23.
  16. 이윤정. (2007). 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의 동기에 관한 연구-성역할 정체성과 의복 추구혜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4), 551-562.
  17. 이지선. (1998). 의류부속품에 대한 제품관여와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지현. (2004). 남자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장윤영. (2004). 안토니오 가우디(Antonio Gauni) 건축의 조형성을 응용한 가방 디자인-칠공예 기법을 활용하여- . 계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진경. (1990). 한국 성역할 검사(KSRI). 한국심리학회지, 5(1), 82-92.
  21. 조혜윤. (2005). 웰 루킹(Well looking)족 커리어 우먼을 위한 핸드백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한윤진, 최정훈, 김영미. (1989). 성역할 고정관념과 남성의 스트레스와의 관계(1) -남성 스트레스 척도 개발과 관련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4(2), 70-83.
  23. 허지은, 김경민, 김지영. (2008). 패션액세서리의 현대적 가치- 여성의 구두와 백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총. 12(2), 181-195.
  24. Bem, S. L. (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155-162. https://doi.org/10.1037/h0036215
  25. Bem, S. L. (1975). Sex role adaptability : One consequence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4), 634-643. https://doi.org/10.1037/h0077098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Sociocultural Attitude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accordance with Gender Role Identity vol.16, pp.3, 2012, https://doi.org/10.12940/jfb.2012.16.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