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성배, 배일현. (2005). 명품선호도의 선행변수 및 그 결과에 관한 연구-백화점 명품구매 고객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23(2), 29-51.
- 김재휘, 김태훈, 전진안. (2008). 체면이 비계획적 상향소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9(2), 149-168.
- 김선숙. (2005). 매스티지 명품에 관한 고찰(제1보)- 추구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11), 1381-1388.
- 김미정. (2008). 명품브랜드의 가치, 관계품질 및 향후 행동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20대 여대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양하. (2005). 상징소비의 문화.사회적의미 분석: 상징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개인적, 사회적 요인의 다차원적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재문. (2009, 5. 29). LG경제연구원. 자료검색일 2010, 7. 21, 자료출처 http://www.lgeri.com
- 두산동아백과사전. (2003). 서울: 두산동아출판사.
- 박민주, 이유리. (2005). 패션 명품 소비자의 상표 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1), 1485-1497.
- 배준환. (2004). 명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소비자 가치와 브랜드 기능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불황에도 백화점 명품매출. (2010, 3. 29). 헤럴드경제. 자료검색일 2010, 7. 21, 자료출처 http://www.biz.heraldm.com
- 성영신. (1994). 한국인의 그릇된 물질주의와 과소비 유형. 한국심리학회지, 1(1), 69-82.
- 신종국, 공혜경, 강명주. (2006). 명품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감정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1(1), 39-62.
- 송지은. (2008). 성인여성의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명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승희, 이랑, 정소연. (2003). 패션 명품브랜드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41-1251.
- 유승엽. (2007). 한국인의 문화심리 특성요인과 의례소비. 한국심리학회지, 8(2), 205-233.
- 임지훈, 김형석, 이학식. (2006). 브랜드 명품성 측정도구의 개발. 광고연구, 73, 185-216.
- 안충영, 홍성표, 박완규. (2000). 기초 계량경제학(제3판). 서울: 진영사.
- 조희정. (2009). 미혼여성의 소비성향 및 소비윤리가 명품 및 명품 복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은영, 이규혜. (2002). Underlying values of prestige seeking and its influence on brand loyalty in clothing consumption. 복식문화연구, 5(2), 102-114.
- 잘 나가는 명품시장 일등공신은 '2030' 여성. (2009, 10. 23). 한국경제. 자료검색일 2009, 10. 25, 자료출처 http://www.hankyung.com
- 지식경제부. (2009). 2009. 9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 지식경제부 자료검색일 2009, 10. 19, 자료출처 http://www.mke.go.kr
- 최상진, 김기범. (2000). 체면의 심리적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14(1), 185-202.
- 최상진, 유승엽. (1992).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6(2), 137-157.
- 최상진, 최인재. (1999). 정(情), 체면(體面)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4(1), 41-56.
- 최선형. (2001).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 최선형. (2003). 지각된 제품 특성과 과시적 소비 성향이 패션 명품 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2), 209-218.
- 최창호. (1993). 체면과 자기존중감, 통제성향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진숙, 양정하. (2004). 패션제품의 명품 추구혜택과 상표충성도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862-871.
- 한수진. (2007). 명품구매경험에 따른 명품구매행동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3), 137-149.
- 한준오. (2004). 한국인의 체면민감성과 신분-가문의식이 과시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승수. (2005). 자아표현적 소비 성향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바람직성(social desirability) 통제에 의한 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지, 49(6), 493-516.
- 한글학회. (1991). 우리말 큰 사전. 서울: 어문각
- Dubois, B., & Laurent, G. (1994). Attitude towards the concept of luxury: an exploratory analysis. Asia-Pacific Advanced in Consumer Research, 1(2), 273-278.
- Dubois, B., & Duquesne, P. (1993).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7(1), 35-45. https://doi.org/10.1108/03090569310024530
- Grossman. G. M., & Shapiro, C. (1988). Counterfeit-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s Review, 78(3), 59-75.
- Nia, A., & Zaikowsky, L. (2000).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s?.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7), 485-497. https://doi.org/10.1108/10610420010351402
- Shah, D. (2000). A new definition luxury. Textile View, 52, 6-7.
- Vigneron, F., & Johnson, L. W. (1999). A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of prestige-seeking consumer behavior.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Review, 99(1), 484-506.
Cited by
- The influences of psychological and consumption-related variables on fashion consciousness vol.22, pp.6, 2014, https://doi.org/10.7741/rjcc.2014.22.6.979
- Differences in Preference Depending on Signal Explicitness when Selecting Fashion Luxury Brand -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strual and Implicit Theory - vol.66, pp.1,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1.013
- The Effects of Fashion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Groups vol.36, pp.11, 2012, https://doi.org/10.5850/JKSCT.2012.36.11.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