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hroud Design, and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Hanji Shroud Designs

수의(壽衣)현황 및 한지수의(韓紙壽衣)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전양배 (고려한지수의) ;
  • 금기숙 (홍익대학교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
  • Received : 2010.12.29
  • Accepted : 2011.03.15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s the current status of shroud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Hanji shrouds and sets its goal on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a futuristic shroud design, suitable for the changing funeral culture. For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hrouds were studied, standard shrouds' and Hanji shrouds' current statuse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tion for design of Hanji shroud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Hanji shrouds are superior in cremation and burial, and the design expressions were more effective. Also the previously established shrouds were shown to have an increase in value through use of different materials, changing designs through various patterns, or through the added symbolic value. Thus the direction of shroud development designs based on the advantages of Hanji have been drawn out to as follows: First, traditional shrouds used the ceremonial dresses, such as official uniforms or wedding dresses, from the Tang dynasty which made it multicolored. Afterwards colors were limited with the use of hemp clothes shrouds but with the appearance of Hanji shrouds, the possibility for mulitcolors and patterns became larger. Second, Hanji is superior in its expression of colors and patterns, making designs with symbolic sides such as religion possible, to meet the demands of the customers. Third, Hanji shrouds are more environmentaly friendly than the standard shrouds in cremation and burial, and it presents a much better image of shrouds for the future society. Such development of Hanji shrouds design developments satisfies the distinct and gentrified demands of the customers and it looks to be able to suggest an opportunity for environmentaly friendly actions while preparing itself for the chaning market demands and values.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2006). 세계의 장례문화.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pp. 4-5.
  2.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2007년 장사문화 발전을 위한 국가전략계획 수립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p. 162.
  3. 이은주 외 (2002). 조선수의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한국의 수의문화. 서울: 도서출판 신유.
  4. 남민이 (2000). 우리나라 수의와 그 착의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유관순 (1990). 우리나라 수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임현주 외 (2004). 조선시대 16.17세기 출토복식의 직물유형 및 문양에 관한 연구. 복식, 54(8), pp. 113-128.
  8. 장인우 (1995). 조선중기 출토복식 중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민주 (2000). 상.장례문화의 변화에 따른 수의 연구. 복식문화연구 8(6), pp. 97-108.
  10. 조효숙 외 (2002). 현대사회의 바람직한 수의문화, 한국의 수의문화. 서울: 도서출판 신유.
  11. 곽명숙 (2009). 한국 상.장례 변천에 따른 현대 수의문화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2. 서옥영 (2002). 우리나라수의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협회, 5(1), pp. 77-83.
  13. 옛길박물관 (2010). 문경 최진 일가 묘 출토복식[중요민속자료 제259호] 중치막자락에 깃든 사연. 서울: 민속원, p. 104.
  14. 옛길박물관 (2010). 문경 최진 일가 묘 출토복식[중요민속자료 제259호] 중치막자락에 깃든 사연. 서울: 민속원, p. 109.
  15. 이덕무 (1795). 청장관전서 제30권 사소절6 부의 복식. 한국고전번역원. 자료검색일 2011. 5. 11, 자료출처 http://itkc.or.kr
  16. 곽명숙 (2009). 한국 상.장례 변천에 따른 현대 수의문화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p. 211.
  17. 옛길박물관 (2010). 문경 최진 일가 묘 출토복식[중요민속자료 제259호] 중치막자락에 깃든 사연. 서울: 민속원, p. 104.
  18. 유희경 (1999). 한국 전통복식에 사용된 소재 연구. 한국과학재단, p. 51.
  19. 조선총독부, 의례준칙 '수의는 포목 등으로 하고 고가의 실크는 사용치 말 것이며, 충이, 멱목, 악수 등 은 생략해도 무방하다', 五襲及. 1934
  20. 곽명숙 (2009). 한국 상.장례 변천에 따른 현대 수의문화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p. 150.
  21. 자료검색일 2010. 4. 21, 자료출처 http://009988.com
  22. 자료검색일 2010. 4. 21, 자료출처 http://andongsui.com
  23. 자료검색일 2010. 4. 21, 자료출처 ttp://mssambe.com
  24. 자료검색일 2010. 4. 21, 자료출처 http://andongsambe.com
  25. 자료검색일 2010. 4. 21, 자료출처 http://536.co.kr
  26. 자료검색일 2010. 4. 21, 자료출처 http://koreahanji.com
  27. 조병묵 (2010). 제지기술의 기원과 한반도 전래. 제지기술인, 3(1), p. 29.
  28. 日本書紀: 推古天皇18年3月: 曇徵知五經, 且能作彩色及紙黑,幷造碾磑
  29. 편일평 (2009). 페이퍼 로드 기행. 서울: MBC프로덕션, p.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