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e Case Report of Peptic ulcer Patient Who was Administered by Anjungsan

안중산 투여 후 증상호전을 보인 급성 소화성 궤양 환자 1례 증례보고

  • Kim, Min-Chul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Hospital of Sam-Se Oriental Medicine)
  • 김민철 (삼세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Received : 2011.01.20
  • Accepted : 2011.06.1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Objectives : The prevalence of peptic ulcer disease is estimated about 10% in Korea, and has declined due to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Symptoms of peptic ulcer are postprandial epigastric pain, hunger pain, anorexia, nauea, vomiting, soreness, postprandial fullness, postparandial discomfor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njungsan in the improvement of the symptoms in patients with peptic ulcer. Methods : After taking Anjungsan to patient with peptic ulcer, Examined to assess the improvemnet by Ordinal Scale VI grade and VAS. Results : Patients with symptoms of the appeal was taking Anjungsan gets better after 3 dyas appeared to be more than half. And 11 days after treatment all symptoms were improved under the VAS 1-2 except for epigastric lump sensation. Conclusions : After treatment with Anjungsan, patient showed improvement in all symptoms associated with peptic ulcer.

Keywords

References

  1. 김상균, 김재규, 신성관, 김현수, 설상영, 대한 Helicobacter 및 상부위장관 연구학회, 대한소화기학회. 소화성궤양의 진단 가이드라인.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4:279-84.
  2. 현진해. 소화성 궤양의 진단. 대한내과학회잡지. 1987;33(3):279-83.
  3. 박인서. 소화성궤양. 대한내과학회지. 1999;57(4):648-60.
  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83.
  5. 김종숙. 소화성궤양. 고려의학. 1995:45, 93-7, 99.
  6. 陳貴延, 楊思樹. 實用中西醫結合診斷治療學. 一中社. 1992:437.
  7. 黎明 外. 實用中醫內科學.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6:217.
  8. 馬貴同 外. 實用中醫脾胃病學. 上海中醫藥大學出版. 1996:669-72.
  9. 이익행, 김수정, 김진규, 백정한, 강석봉. 도화탕이 백서의 소화성궤양 및 장관수송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 2001;22(2):207-13.
  10. 전창호, 민건우, 박종혁, 정지천, 강정준, 신억섭, 김형진. 단삼음이 흰쥐의 소화성 궤양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 2000;21(4):597-604.
  11. 李載熙. 圖說 韓方診療要方. 醫方出版社. 2002:494-6.
  12. 최명규. 위장관 증상의 평가.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1998;4(2):251-68.
  13. Cline ME. Herman J.Shaw ER. Morton RD.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arch. 1992;41:378.
  14. 대한가정의학회. 최신 가정의학. 도서출판 한국의학. 2007:1183-91.
  15. 현진해. 소화성 궤양의 진단과 내시경검사-소화성 궤양 증상 환자의 진단에 내시경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가?-. 대한소화기학회 세미나. 2002:81-90.
  16. 정대영, 정훈용, 송호준, 정성우, 정현채, 대한 Helicobacter 및 상부위장관 연구학회, 대한소화기학회. 비출혈 소화성궤양 치료의 가이드라인.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4:285-97.
  17. 김나영, 김재준, 최연호, 김현수, 김진일, 정인식, 대한 Helicobacter 및 상부위장관 연구학회, 대한소화기학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진단 및 가이드라인.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4:269-78.
  18. 이준행, 이용찬, 전성우, 김정욱, 이상우, 대한 Helicobacter 및 상부위장관 연구학회, 대한소화기학회. 비스테로이드소염제 관련 소화성궤양의 예방과 치료 가이드라인.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4:309-17.
  19. 정일권, 이동호, 김흥업, 성인경, 김진호. 대한 Helicobacter 및 상부위장관 연구학회, 대한소화기학회. 출혈 소화성궤양 치료의 가이드라인.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4:298-308.
  20. 김지현, 문정섭, 지삼룡, 신운건, 박수헌, 대한 Helicobacter 및 상부위장관 연구학회, 대한소화기학회. 특수한 질환에서 소화성궤양 치료의 가이드라인.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4:318-27.
  21. 나윤주, 심기남, 강민정, 정지민, 김성은, 정성애, 유권, 문일환. 소화성 궤양 출혈에서 노인군과 청장년군의 임상 특징과 경과의 후향 비교. 대한소화기학회지. 2009;53:397-304.
  22. 서영철, 임성우, 이원철. H.pylori에 감염된 소화성궤양 치료에 관한 문헌고찰-近來 中醫雜誌를 中心으로-.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1998;7(1):53-64.
  23. 黃奎東, 朴東源, 柳基遠. 烏貝散과 三七根 및 烏貝散合三七根이 胃十二指腸 潰瘍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회지. 1992;13(1):90-101.
  24. 姜在春, 朴東源, 柳逢夏. 槐花散이 抗消化性潰瘍 및 血液 凝固作用에 미치는 實驗的 硏究. 대한한의학회지. 1998;19(1):179-204.
  25. 노기환, 정기현, 정상현,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뇌경색 환자로 위장관출혈 소인이 있는 위궤양환자의 단삼보혈탕을 이용한 치험 1례. 대한한의학회지. 2000;21(3):220-4.
  26. 임성우. 십이지장 궤양, 출혈설 위염, 미란성 위염 병발 환자의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5;16(1):33-9.
  27. 陳昭定, 閏慧敏, 李素亭, 燕潤菊. 胃平沖濟治療小兒消化性潰瘍98例臨床關察與隨訪報告.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1;15(1):261-5.
  28. 이정환, 김정호, 김영일. 한방치료로 호전된 십이지장 궤양환자 1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9;26(2):201-6.
  29. 민영일, 김진호, 홍원선, 정훈용, 명승재, 김경모. ATLAS 상부 위장관 내시경. 군자출판사. 2001:80, 278, 281, 283.
  30. 李載熙. 圖設韓方診療要方. 醫方出版社. 2002:494-6.
  31. 全國韓醫科大學 本草學敎授 共編著. 本草學. 永林社. 1991:124-5, 136-7, 294-6, 343-5, 413-4, 513-4, 5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