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egional Revitalization Effects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Comparison of the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거리정비사업의 주민참여방식 비교를 통한 지역활성화 효과 연구

  • Chae, Jin-Hae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Graduates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ng-Hak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Graduates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ang, Byoung-E (Dept. of Environment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s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채진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김성학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양병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1.01.13
  • Accepted : 2011.03.17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treet improvement projects in particular regions are carefully scrutinized, classified, and compared based on the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ose projects which are offered as one of several urban regeneration methods. The Wonju and Siheung Street Improvement Projects were selected for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and a survey are conducted in both region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the Wonju project is the community initiative type in which the community has responsibilities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On the other hand, Siheung is the community participative type in which the opinions of the community have been limited The survey targeted more than 100 local merchants, and they were asked to answer to the question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21 items with a 5-point Likert scale. The analysis method was carried out through a reliability test, regression. average analysis on each group, and a T-test by SPSS 18.0. Factor analysis results show four factors: physical, partnership, community, and economical revitalization. These results reveal that the social factor can be sub-divided into a community factor and partnership factor. As a result of revitalization factors by citizen participation type, the resident initiative type is more revitalized than the resident participative type in all four factors, and shows positive responses in physical and economical revitalization factors. In particular, the physical revitalization factor has a big impact on resident satisfaction regardless of type. The community revitalization factor also has an impact on two types. It reveals that the communication is as important as physical improvement. However, it shows that no type of project affects partnership revitaliz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f we considered only physical improvement as project achievement, you can achieve the desired outcome without considerat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types. Furthermore, if regional revitalization is the goal of a street improvement project, we must consider other factors such as a partnership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거리정비사업에 참여한 주민 특성에 따른 지역의 거리정비사업 활성화 효과를 알아보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원주시와 시흥시에서 시행된 주민참여형 거리정비사업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심층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조사 결과, 원주시는 주민의 참여가 적극적이며 주도적인 주민주도형으로 분류되고, 시흥시는 주민의 의견이 제한적인 주민참가형으로 분류되었다. 설문조사는 상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활성화 항목 21가지를 5점 리커트척도로 질문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회귀분석, 집단별 평균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분류하고 있는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지표에서 더 세분화된 물리적 경제적 파트너쉽 커뮤니티 4가지 지표로 나뉘어졌다. 주민참여 특성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민주도형이 주민참가형보다 모든 지표에서 활성화가 높게 나타났고, 물리적 경제적 활성화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물리적 활성화 지표가 사업추진방식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지역주민의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 활성화 지표도 두 사례에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물리적 성과만큼 소통도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사업추진 방식에 있어 주민주도형과 주민참여형은 파트너쉽활성화에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살펴볼 때 사업의 성과를 물리적 개선에만 본다면 굳이 주민참여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더라도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도시재생의 목적에서 거리정비사업을 지역활성화의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파트너쉽과 커뮤니티와 같은 사회적 지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규(2010)청담동 패션 특구의 가로 활성화에 대한 연구.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지 29(1):5-1
  2. 김선기,이소영(2007)주민주도형 지역만들기 추진 모형.한국지방행정연구원.
  3. 국가균형발전위․국토연구원(2006)시민이 참가하는 마치즈쿠리.서울: 한울아카데미.
  4. 박천보(2009)물리환경적 도심재생 관점의 특화거리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8):285-29
  5. 서원희,이현희,강준모,황기연(2008)도시재생에 있어 주민참여형 거버넌스 체계 도입방안.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협동학술대회 pp.257-27
  6. 손재룡,최준호,이용준,이상호,이경희(2003)특화거리 조성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Network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1):487-49
  7. 이승엽(2008)주민참여를 통한 도심상업지역 활성화 방안.건설환경논총 제10호 91-110
  8. 정재훈(2010)주민조직 리더십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사동,부평 문화의 거리,건대앞 노유 로데오거리 중심으로.서울시립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정철모(2009)선진국의 도시재생을 위한 파트너쉽제도에 관한 연구.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2(1):69-91.
  10. 홍인옥(2006)도시와 주민참여.도시해석.서울:푸른길.
  11. 황희연(2005)주민참여 도시만들기 정착화.대한건축학회지 49(8):52- 54.

Cited by

  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Urban Regeneration for Disaster Prevention vol.18, pp.6,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6.79
  2. A Numerical Analysis on Windbreak Effect of the Uiseong Sachon Maeulsoop vol.18, pp.4,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4.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