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utdoor Landscape Design Proposal for a Resort using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as a Theme

백제정원을 주제로 한 리조트 외부 공간 계획

  • Received : 2011.01.04
  • Accepted : 2011.03.21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concerns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one of the open spaces in the Lotte Resort in the Baekje Historical Reappearance Complex, which is par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specific areas in the Baekje cultural area.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has historic value, and its excellent garden style influenced the ancient Japanese gardens. This study dealt with three issues: (1) The context in which Lotte Buyeo Resort accepted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particularly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such; (2) The original form of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and (3) How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should be represented in the open space of the resort. Representation is accomplished in two ways: using the structure of the original garden and in the borrowing of elements. For representation using the structure of the original garden, Imrugak was used as the main entrance space, and Wolsunjung was represented from the Ganbuklee remains. In the rear garden are wave watercourses and other garden facilities of the Wanggungri site in Iksan. Borrowing of elements, on the other hand, was accomplished in the plant plan and detailed development. In addition, mountaintops (three mountains and five mountain summits), a clean stream between mountains, and a pine forest are visualized in the garden. This is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of the Taoist hermit world that appeared in the Baekje Gilt Bronze Incense Burner and Landscape patter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e Baekje Traditional Garden is a fresh trail because there has been no previous research concerning it. Second, while past research concerning traditional spaces focused on the results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This means that this research work tried to extend the study concerning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spaces from the conceptual to the practical approach. This study, however, also has its limitations. The authenticity of the represent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may be questioned later because efforts have been made to preserve the original Baekje Traditional Garden. In addition, this study should seek a balance between authenticity on one hand and amusement and diversity of experience on the other, because the site is a resort.

본 연구는 롯데 부여리조트의 외부공간 중 백제 테마정원을 대상으로 한다. 리조트는 백제역사재현단지 내에 있으며, 이 사업은 '백제문화권 특정지역 종합개발 계획' 중의 하나이다. 백제정원은 역사적으로 유구할 뿐만 아니라 고대 일본에 영향을 주었을 정도로 양식에서도 뛰어났다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백제정원의 재현 방식을 공간적으로 구현했다. 구체적 내용으로는 첫째, 백제정원을 롯데 부여리조트에 조성하게 된 배경과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백제정원의 공간적 구현 방식을 설정하는 것이다. 둘째, 백제 정원의 조경사적 의미와 함께 현재까지 문헌연구와 발굴을 통해 밝혀진 백제 정원의 양식적 특성에 대한 것이다. 셋째, 리조트 외부공간에서 백제정원 재현의 공간적 실현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에서 재현은 구조 적용과 구성요소 차용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구조 적용에서는 임류각 공간을 주진입공간으로 하여 관북리 백제 유적을 재현한 월선정 공간을 인접하여 배치하였다. 이 두 공간을 통해서는 건축과 정원의 관계를 보여주는데 주력했다. 후면에는 후원 성격을 지닌 익산 왕궁리 정원의 곡수로와 석조원, 비폭원을 재현하였다. 구성요소 차용은 식재계획과 건축물을 비롯한 시설물 계획에서 이루어졌다. 이외 정원주변으로는 금동대향로와 산수문전에서 표현되는 대표적 경관인 신선계의 모습과 삼산오봉(三山五峰)형 봉우리, 산 사이 맑은 시냇물, 소나무 숲(송림(松林)) 경관을 형상화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먼저 백제정원이라는 주제 자체가 새로운 시도라는 것이다. 백제정원에 대한 선행연구와 실제적인 공간에 구현된 사례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둘째, 백제시대에 대한 심도 있는 고증을 토대로 백제정원을 개념적 차원뿐만 아니라 계획적 설계적 차원에서 적용 재현하고자 시도했다는 것이다. 전통의 적용이나 재현을 다루는 기존 연구가 사례 중심으로 분석과 평가에 치중해왔던 것과 차별성을 갖는다. 한계는 백제정원의 사실에 대한 선행 연구가 많지 않고, 현재 관련 유적에 대한 발굴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진행된 연구이기 때문에 추후에 새로운 사실이 발견된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재현에 대한 진정성의 문제와 다양한 대안이 제시되지 못했다는 한계를 드러낼 수 있다. 그러나 전통의 재현과 계승의 화두는 어느 시점에서의 완결성보다는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시도가 요구되는 진행형이라는 측면에서 본 연구가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발굴된 유적을 그 자리에 '원형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리조트의 외부공간에 '재현'하다 보니 그 자체로 체험의 다양성과 완결성까지 부여되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주사범대학(1982)공주 공산성내 건물지 발굴조사 보고서.
  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1999)궁남지 발굴조사보고서.문화재청.
  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09a)익산 왕궁리유적.서울:주류성.
  4.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09b)왕궁리 발굴 중간 보고 VI.대전:파피루스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10a) 21차 익산 왕궁리유적,2차 제석사지 발굴조사 자문회의 및 현장설명회 자료.
  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10b)익산 왕궁리유적(제22차 조사)보고서.
  7. 김한배(1997)한국조경의 전통과 설계적 상상력,환경과 조경.통권 110호:98-103
  8. 부여군(2005)부여 관북리 백제 유적 정비 기본계획 보고서.
  9. 부여군(2008)부여 서동공원 관광 명소화 사업 기본 계획 보고서.
  10. 삼국사기(三國史記)백제본기 무왕 35년.
  11. 삼국사기(三國史記)백제본기 무왕 37년.
  12. 삼국사기(三國史記)백제본기 진사왕 7년.
  13. 삼국사기(三國史記)백제본기 의자왕 15년.
  14. 삼국사기(三國史記)백제본기 동성왕 22년 봄.
  15. 삼국사기(三國史記)백제본기 동성왕 22년 5월.
  16. 소현수,김해경,최기수(2006)주거단지 외부공간에서의 전통 재현 양상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2):86-100.
  17. 신상섭(1997)우리나라의 유상곡수연 유구(곡수거)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5(1):133-141.
  18. 전통조경연구소(2009)롯데 부여리조트 백제조경 가이드라인 설정 보고서.
  19. 정재훈(1996)한국전통의 원.서울:도서출판 조경.
  20. 주남철(2009)한국의 정원.서울:고려대학교출판부
  21. 한국전통조경학회(2009)동양 조경 문화사.서울: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