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cessity and Task of Qualification System in Protection Specialist Guard

신변보호사 자격제도의 필요성과 과제

  • 안황권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Received : 2011.04.01
  • Accepted : 2011.05.06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Quantitative rise and qualitative seriousness in crime have limitation to preventing crime just with public police security. Ultimately, in order for private security guard to fulfill the duty of preventing crime, its members' excellent quality and ability need to be preceded. This change in the environment of crime prevention came to demand professionalism in the security field. Furthermore, it became an opportunity of being emerged the necessity of specialist qualification. For this, first, there is a need of reinforcing the public confidence of the security guard association, and of vitalizing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Second, qualification functions as linking education and labor market. Thus, many qualification acquisitors need to strengthen direction that the security guard company can reflect and utilize this. Third, there is a need of positively supplementing the result of utilizing qualification or the insufficient management system so that the private security guard qualification system can be recognized as the qualification system of being authorized by the country.

범죄의 양적 증가와 질적 심각성은 공경비만으로는 범죄예방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민간경비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결국 민간경비가 범죄예방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그 구성원의 우수한 자질과 능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치안환경의 변화는 시큐리티 분야에 전문성을 요구하게 되었고 나아가 전문자격증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경비협회의 공신력을 제고하고, 자격증을 활성화 시킬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자격은 교육과 노동시장을 연계시켜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많은 자격취득자는 노동시장인 경비업계가 이를 반영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재고해야 한다. 셋째, 신변보호사 자격제도가 국가에서 공인해주는 자격제도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자격증의 활용 실적이니 미비한 관리체계를 적극적으로 보완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배완, "민간경호․경비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문교육 및 인증제도의 필요성제고", 경호경비연구 제9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05.
  2. 국제경호협회, 경호자격규정집, 2005.
  3. 김철수, 지식정보화시대 자격제도의 현황과 과제,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04.
  4. 박동균, "한국 경비지도사제도의 발전방안", 경호경비연구, 제5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02.
  5. 안황권, "민간경비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경호경비연구, 제11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06.
  6. 안황권 강민완, "민간경비원과 경찰의 협력이 범죄예방에 미치는 영향", 경호경비연구, 제10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05.
  7. 이상철.안성조, "한국 시큐리티자격제도의 실태 및 발전방안: 신변보호사 자격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5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08.
  8. 정지운, "민간자격증의 의의와 전망", 경호경비연구 제13호, 한국경호경비학회, 2007.
  9. 최선태, 민간경비산업의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0.
  10. (社)全國警備業協會, Security Time, vol.311, 2005.7.
  11. 星澤哲也, 新警備業法令集, 東京: 東京法令出版, (1983).
  12. (社)全國警備業協會, 警備業法解說, 2009.
  13. Becker, Donald C., Security Administration. Illinois: Charles C Thomas, 1985.
  14. Cunningham, Willam C., John J. Stauchs, Clifford W. Van Meter. Private Security Trends 1970 To 2000, The Hallcrest Report II. Butterworth-Heinemann, 1990.
  15. International Foundation for Protection Officers, Protection Officer Training Manual, 6th edition. Boston: Butterworth-Heinemann, 1998.
  16. Johnson, Brian R.. Principles of Security Management. NJ: Pearson Prentice Hall, 2005.
  17. Simonsen, Clifford E., Private Security in America. NJ: Prentice Hall, 2000.
  18. 국제경호협회, http://www.ibg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