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ue and Practice for Green Growth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녹색성장을 위한 가정경영의 가치와 실천

  • Cha, Sung-Lan (Dept.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Daejeon Univ.)
  • 차성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Received : 2011.01.15
  • Accepted : 2011.03.22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Since environmental problems were globalized, discussions on 'Sustainable Development' started from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Rio Agenda 21). In Korea, the idea of 'Green Growth' was introduced and generalized since the celebration speech made on 8.15(Independence Day of South Korea) on 2008. And Low Carbon- Green Growth Basic Law was established on 2010. There are 3 strategies and 10 sub-tasks to achieve green country-traffic and green revolution of life. Family resource management is capable of changing life style from energy wasty to ecologically green. The value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plays a critical role in changing the lifestyle through influencing the goal and standard setting. So,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the green value and green way of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green value is to change from 'material-oriented' to 'people-oriented'. The 'material-oriented value pursues pleasure from possessing, but the 'people-oriented' value pursues pleasure from being itself. Second, the change from the value of 'human-mastery of the nature' to the value of 'mother -nature' is necessary. The value of 'human-mastery of the nature' seeks pleasure from the velocity and tangible outcome. But the value of 'mother- nature' seeks pleasure from the time to relax and slow way of life. 'Third, the change from the value of 'individualism' to the value of 'community sprit' is necessary. Individualism focuses on man's achievement, which may fall into family egoism. And the green way of life suggests the change from 'results-oriented' to 'enjoy the process itself", from 'consumption' to 'ecological restoration' and from 'work to home and then home to community'.

Keywords

References

  1. 강수돌(2010). 시속 12킬로미터의 행복. 서울:굿모닝미디어.
  2. 공혜원(2010). 가치관, 소비가치 및 환경의식적 행동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3. 권성희(2002).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부모의 가치 지향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논문.
  4. 김성숙(2007). 소비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와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15-32.
  5. 김철수(2004). 지속가능한 성장과 "자발적 단순성"과의 관계. 사회과학논총 23(1), 27-49.
  6. 노남숙(1994).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와 환경관리행동.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노영래․김시월(2002). 소비자의 환경의식. 재활용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 163-178.
  8. 녹색성장위원회(2009). 녹색성장 5개년 계획:2009-2013. 녹색 성장위원회.
  9. 민현선․이기춘(1999). 환경친화적 소비태도와 소비행동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7(1), 29-44.
  10. 박운아․이기춘(1997).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행동과 관련요인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5(5), 221-238.
  11. 서미란․지영숙(1999). 가정철학의 실천적 생활 연계를 위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3(2), 91-103.
  12. 슈마허, E. F.(1973), 이상호 역(2002). 작은 것이 아름답다. 서울: 문예출판사.
  13. 엥겔스, F.(1891), 김대웅 역(1989).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서울:아침.
  14. 오진숙․김정숙(2009).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와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10), 13-28.
  15. 유두련․심미영․정경옥(1996). 환경교육이 환경의식적 소비 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97-210.
  16. 윤구병(2010). 자연의 밥상에 둘러앉다. 서울:휴머니스트.
  17. 이상협(2003). 환경친화적 가정자원관리행동과 환경의식, 환경지식, 환경교육,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91-102.
  18. 이정전(2008). 우리는 행복한가. 서울:한길사.
  19. 일리히, 이반(2004). 이한(역). 성장을 멈춰라. 서울:미토.
  20. 임정빈․지영숙․문숙재․이기영․이연숙(1994). 가정관리학. 서울:학지사.
  21. 임혜연․박선희(2006). 중학생 자녀와 어머니의 생활자원관 리에 대한 친환경 지식과 의식 및 태도. 한국가정과학회지. 9(3), 23-36.
  22. 장혜연․한경미(1997). 주부의 가치와 친환경적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5(3), 1-13.
  23. 지식경제부(2008). 지식․혁신주도형 녹색성장을 위한 산업 발전전략. 지식경제부
  24. 최남숙(1994). 환경교육과 환경의식이 환경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5), 29-44.
  25. 쿤데라, 밀란(1995). 느림. 서울:민음사.
  26. 통계청(2010). 2010년 10월 고용동향 보도자료. 통계청
  27. 프롬, 에리히(1997). 소유냐 존재냐. 서울:범우사.
  28. 한면희(2010). 현실 녹색정책의 이념과 생태주의 사상. 동서사상, 8, 161-184.
  29. 함연자(2009). 현대 패션에 나타난 '느림'의 패러다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4), 527-536.
  30. 함태성(2009). '녹색성장'과 '지속가능발전'의 관계정립에 관한 법적 고찰-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안) 제정에 관한 법적 논쟁과 관련하여. 환경법연구, 31(1), 355-376.
  31. 허경옥(2004). 소비자구매행동유형과 환경에 대한 태도 및 환 경친화적 행동,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569-579.
  32. 허은정․김지웅(2010). 친환경농산물 구매지출에 대한 소비 자지식과 소비자태도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9(5), 883-896
  33. 헤럴드 경제(2010. 11. 23). 30년 후 삶의 질 결정요소는 건강, 여가, 연금 순.
  34. 현금희(1991). 환경문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일치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35. 홍승아(2009). 녹색성장과 젠더. 젠더리뷰 13, 여름호, 4-11.
  36. 홍은실․황덕순(1997). 가치대상에 따른 주부의 도구적 가치의 차이 비교-가정생활과 가정외의 생활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355-368.
  37. 황정규(1972). 교육평가. 서울:교육출판사.
  38. Capra, F.(2002). The Hidden Connection: A Science for Sustainable Living. Anchor Books.
  39. Kluckhohn, F . & F. Strodtbeck(1961). Variation in value orienations. Evanston, Illinois: Row, Peterson and Company.
  40. Kluckhohn, F. R.(1960). Variations in the basic values of family systems, in N. W. Bell & E.F. Vogel, The Family. Illinois: The free press of Glenogof.
  41. Rokeach, M.(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Glencoe, IL: Free Press.
  42. http://www.un-documents.net/ocf-02.ht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