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ptic Characteristics of the Main Path Types of 850hPa Surface Water Vapor Flux for Heavy Changma Rainfall in the South Coastal Region of Korea

한국 남해안의 장마철 호우 시 850hPa 등압면 수증기 수송 주 경로 유형의 종관 특성

  • Park, Byong-I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1.25
  • Accepted : 2011.03.25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ynoptic characteristics and frontal structures over East Asia according to the main path types of water vapor flux (WVF) of 850hPa surface in cases of the heavy rainfall in the south coastal region of Korea during the Changma season (June and July), In the cases of type A in which the main path of WVF is running from the South china Sea via the South china to the South Sea of Korea, the North Pacific subtropical anticyclone (NPSA) expands to the South China and strong cyclones appear in the Yellow Sea. In cases of type B and C in those the main paths of WVF are running from the South China Sea via the Western Pacific Ocean near Taiwan to the South Sea and from the Western North Pacific Ocean to the South Sea respectively, tropical cyclones appear frequently near Taiwan and the NPSA shifts northward. In the case of type D in which the main path of WVF appear only near the South Sea, strong cyclones appear near the Yellow Sea. In all cases upper jets are intensifi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heavy rainfall region and low-level jets appear near the main paths of WVF. In the view of frontal structure, deep active-type of the Changma front is identified in most cases of all types. In this point the Changma season is different from the Baiu season in Western Japan where many cases of shallow active-type of the Baiu front appear.

이 연구는 장마철 남해안 호우 사례의 850hPa 면 수증기 수송의 주축 유형에 대해 우리나라의 강수량 분포 특성, 동아시아 규모의 종관 특성과 장마전선의 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결과 유형 A(남중국해~화남~남해안)의 경우 아열대고기압이 화남지방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황해를 중심으로 뚜렷한 저압부가 나타났다. 강수량도 대체로 동서 방향으로 분포하며 지형의 영향이 잘 나타나지 않았다. 유형 B(남중국해~타이완 부근~남해안), 유형 C(북태평양~남해안)에서는 타이완 부근에 열대저기압이 자주 나타났고 북서태평양고기압은 북쪽으로 이동하였다. 남해안 부근에서만 수증기 수송 주축이 나타나는 유형 D에서는 황해에 강한 저기압이 나타났다. 주축 유형 B, C, D의 경우 강수량 분포에서 북동~남서 방향이 잘 나타나며 지형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층 제트기류는 남해안의 북쪽에서 강화되었고 하층 제트기류는 수증기 수송 주축과 거의 일치하여 나타났다. 전선의 구조를 살펴본 즉, 거의 전체 사례에서 저기압성 순환이 대류권 상층에까지 나타나는 깊은 활동전선 유형을 보였다. 이 점에서 장마는 바이우계 동안 상당한 빈도로 얕은 활동전선 유형이 나타나는 일본 남서부 지역의 경우와 차이를 나타냈다.

Keywords